소개글
"디자인의 이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글자의 역사와 특성
2.1. 역사와 지역에 따른 글자의 변화
2.2. 한글 명조체와 고딕체의 디자인 원리
3. 궁서체 분석
3.1. 시대 및 문화적 배경
3.2. 서체의 특성 분석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글자체를 인쇄물로만 접할 수 있었던 옛날과 달리, 우리 사회가 정보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우리는 더욱더 다양한 글자체를 접하고 있다. 단적인 예로 80년대~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텔레비전 방송의 자막은 거의 없다시피 하였다. 그보다 더 오래전에는 글자체는 신문, 간행물 등으로만 접했을 것이다. 하지만 9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예능 프로그램에 자막적인 요소를 넣으면서 재미를 더하였고, 자막이 없으면 허전한 느낌마저 든다. 요즈음은 스마트폰의 상용화로 인해 배달어플, SNS 등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더욱 다양한 서체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 맥락에서 유지원 작가의 '글자풍경'이라는 책은 우리가 현재 접하고 있는 글꼴의 역사, 시대적 배경과 문화적인 배경을 알려주는 서사적인 이야기로 독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이끌어 낸다. 본론에서는 이 책에서 풀어내는 글자의 역사와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글자의 특성, 특히 한글의 명조체와 고딕체가 만들어진 디자인 원리에 대해 알아보고, 필자가 좋아하는 서체를 선택하여 리서치를 진행해보도록 한다.
2. 글자의 역사와...
...
참고 자료
존 바니콧. 김 숙 옮김. 포스터의 역사. 시공사.
스티븐 에스크릿 지음. 정무정 옮김. 아르누보. 한길아트.
앨러스테어 덩컨 지음. 고영란 옮김. 아르누보. 시공사.
웹 사이트 http://mucha.new21.org (사진출처)
용어 정의 http://dic.naver.com
글자풍경, 유지원, 을유문화사, 2019년
한글 궁체 자형의미적 원리를 계승한 디지털 본문체 개발에 대한 고찰, 류현국,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