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실습 골관절염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이론적 배경
2.1. 골관절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
2.2. 골관절염의 원인
2.3. 골관절염의 증상 및 진단
3. 골관절염의 치료
3.1. 보존적 치료
3.1.1. 휴식과 관절 보호
3.1.2. 온·냉요법
3.1.3. 영양 및 운동요법
3.1.4. 약물요법
3.2. 수술적 치료
3.2.1. 관절경 수술
3.2.2. 절골술
3.2.3. 골연골 이식술
3.2.4. 전무릎관절치환술
3.2.5. 관절 고정술
4. 간호
4.1. 수술 전 간호
4.2. 수술 후 간호
5. 사례 연구
5.1. 대상자 소개
5.2. 간호과정
5.2.1. 간호사정
5.2.2. 간호진단 및 목표
5.2.3. 간호중재
5.2.4. 간호평가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골관절염은 흔히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불리우며 관절 질환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 골관절염 환자 수는 404만 명으로 2015년 353만 명보다 14%나 증가했다. 이렇듯 골관절염은 임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질환이므로 이번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골관절염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을 하고 싶어 2주간 OS 병동에서 임상실습을 하면서 골관절염 환자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해 보았다."
1.2. 연구 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골관절염 환자의 치료 및 간호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을 통해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의 치료 및 회복 과정을 돕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관절염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및 진단 등 이론적 배경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골관절염의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방법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각 치료법의 특성과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골관절염 환자의 수술 전후 간호중재에 대해 자세히 탐구하여 효과적인 간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넷째, 실제 사례를 대상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해 봄으로써 이론적 지식을 실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골관절염 환자들의 보다 나은 치료 및 간호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이론적 배경
2.1. 골관절염의 정의 및 병태생리
골관절염이란 관절이 부드럽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절 연골이 마모되어 연골 밑의 뼈가 노출되고, 관절 주변의 활액막에 염증이 생겨서 통증과 변형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절은 뼈와 뼈 사이가 부드럽게 운동할 수 있도록 연골, 관절낭, 활액막, 인대, 힘줄, 근육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골관절염의 경우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는 달리 활액막이 아닌 관절면의 연골부에서 병변이 시작된다.
연골이 닳게 되어 뼈끼리 서로 마찰을 일으키면 통증이 있고 관절이 붓는다. 시간이 흐르면 뼈의 모양과 관절 구조들이 변하고 관절의 가동력이 제한받게 된다. 즉, 골관절염은 마모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외부적 힘에 대하여 관절면의 견디는 힘이 약해지고 조직이 퇴행되는 것이다. 골관절염 대상자의 대부분은 비만형이며, 과다한 체중의 압력을 받는 관절은 더욱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기 쉽다.
골관절염은 연골부의 골기질 구성 성분이 상실됨으로써 시작된다. 그 다음으로 관절면의 미란이 생긴다. 연골부는 점차 갈라지고 얇아지며 뼈 조직이 노출되고 연골부의 뼈 조직이 과잉 증식된 결과 파생물로써 골증식체가 형성되는데 이를 골관절 구순이라고 한다.
2.2. 골관절염의 원인
골관절염의 원인은 불명확한 일차성 골관절염과 명확한 원인이 있는 이차성 골관절염으로 구분된다""
일차성 골관절염은 노화, 유전적 소인, 기계적 스트레스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여 발생하는데, 특히 중년 이후 나이가 많을수록 발병률이 높아진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며,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만한 경우 정상인보다 2배 이상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과다한 체중 부하가 관절에 가해지기 때문이다"" 심한 운동이나 관절 과사용, 근육 약화 등도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차성 골관절염은 선천적 관절 기형, 관절 손상, 감염, 대사성 질환 등 명확한 원인이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선천적 기형이나 외상, 관절 탈구 등은 관절 구조와 기능에 변화를 초래하여 골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 통풍, 베버트병 등의 대사성 질환도 골관절염의 위험요인이 된다"" 이 외에도 겸상적혈구빈혈, 혈우병 등의 혈액 질환도 골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처럼 일차성 골관절염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차성 골관절염은 명확한 원인이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따라서 골관절염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개인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2.3. 골관절염의 증상 및 진단
골관절염의 증상은 류마티스관절염과 비슷하지만, 질병이 진행될수록 차이가 있으므로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골관절염의 주요증상은 관절의 통증과 15~30분 미만의 아침 강직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아침 강직과는 다르게 관절강직은 활동 후나 한 자세로 오래 있을 때 나타나 수분 내에 완화된다"" 통증은 춥거나 습기가 많은 날씨와 관절 사용 시에 악화된다"" 초기의 관절통은 휴식을 취하면 완화되지만, 질병이 진행되면 휴식이나 수면 시에도 관절의 불편함이 증가한다"" 관절연골이 소실되거나 변성이 와서 관절면이 불규칙해지면 운동 시 마찰음이 느껴질 수 있다"" 뼈의 과잉증식은 원위지관절에 헤베르덴(Heberden)결절과 근위지관절에 부샤르(Bouchard)결절이 나타난다"" 통증으로 관절을 잘 사용하지 않으면 강직, 근육위축, 관절통이 악화된다"".
골관절염은 X-선 검사에서 구조적인 관절 변화가 나타난다"" 질병의 진행에 따라 관절면이 좁아지거나 뼈경화, 뼈증식체, 뼈낭종 등이 나타난다"" X-선상에 특별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거나 의심이 될 때는 CT, MRI, Bone scan 등으로 검사한다"" 2차성 윤활액낭염이 발생하면 ESR가 약간 상승한다"" 골관절염의 진행 정도는 X-ray로 평가할 수 있으며 무릎 골관절염의 정도를 측정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KL(Kellgren-Lawrence) 방법이다"" KL grading system은 5단계로 나뉘며 등급에 따라 치료의 방향이 결정된다""
3. 골관절염의 치료
3.1. 보존적 치료
3.1.1. 휴식과 관절...
...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상(제7판). 서울: 현문사.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하(제7판). 서울: 현문사.
송경애 외(2021). 기본간호학Ⅰ. 서울: 수문사.
송경애 외(2021). 기본간호학Ⅱ. 서울: 수문사.
김금숙 외(2020). 인체 구조와 기능. 서울: 학지사메디컬.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main.do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in/healthInfoMain.d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정보포털, “골관절염”,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1988
박수아,강현숙,최진이. (2010). 인공 슬관절 치환술 후 치료순응도와 경과기간에 따른 회복 양상. 동서간호학연구지, 16(2), 164-171.
강미경,김근진,김혜영. (2017). 하지 인공관절 치환술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24(3), 209-218.
염승철, 「가을철 심해지는 '무릎 통증' 퇴행성 관절염 가속화해」, 헬스조선,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08/2020100801121.html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의약품 안전나라, https://nedrug.mfds.go.kr/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경기도 파주
Drug information: http://www.druginfo.co.k
김강미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