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소셜미디어와 공유경제
2.1. 소셜미디어의 개념과 특징
2.2. 공유경제의 정의와 사례
3. 국내 공유경제 기반 소셜미디어 서비스
3.1. 쏘카
3.2. 열린옷장
3.3. 프립
3.4. 모두의 주차장
4. 소셜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 분석
4.1. 정체성(Identity)
4.2. 존재(Presence)
4.3. 관계(Relationships)
4.4. 대화(Conversation)
4.5. 집단(Groups)
4.6. 평판(Reputation)
4.7. 공유(Sharing)
5. 공유경제 기반 소셜미디어의 한계와 발전 방향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터넷이 발전하고 모바일 기기가 등장함에 따라 소셜미디어는 일하고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놓았다.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고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소셜미디어의 특성은 기업에도 큰 영향을 주었고 이에 따라 산업 구조도 변화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는 소비자 구매 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업이 소비자와 소통하는 중요한 채널이 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경제의 영역에서도 '공유경제'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불러왔다. '공유경제'는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으로, 특정 자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람과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시스템이다. 빈집(방) 공유서비스인 '에어비앤비'나 승차 공유서비스인 '우버' 등이 성공사례로 꼽힌다. 한편, 소셜 네트워크의 정보구조 설계자인 진 스미스는 소셜 소프트웨어의 7가지 요소를 제시했는데, 정체성(identity)은 사용자 특정 개인을 구분 지을 수 있는 정보, 공유(sharing)는 사용자들이 정보나 자료를 공유하는 기능, 존재(presence)는 사용자의 존재 상태에 관한 정보, 관계(relationships)는 사용자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요소, 평판(reputation)은 사용자의 평판이나 신뢰도를 나타내는 요소, 그룹(groups)은 특정 주제나 관심사를 공유하는 그룹을 형성하는 기능, 대화(conversation)는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들과 대화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에, 본 보고서는 국내 소셜미디어 서비스와 그들이 제공하는 소셜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2. 소셜미디어와 공유경제
2.1. 소셜미디어의 개념과 특징
소셜미디어는 "사람들의 의견, 생각, 경험 등을 서로 공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온라인 도구나 플랫폼"이다. 소셜미디어는 텍스트,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 보드 등이 있다. 소셜미디어는 웹 2.0의 핵심 도구로 부상하면서 공유, 공개, 참여의 철학에 기반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분야와 용어가 출현하게 되었다. 특히 비즈니스 영역에서는 웹 2.0에 충실한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지식 경영 등의 모델이 나타나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사람들 간 연결을 도와주고, 경험을 공유하며, 학습 및 자기 계발을 돕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정신건강 문제, 중독, 현실 단절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소셜미디어는 현대 생활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가고 있으며,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2. 공유경제의 정의와 사례
'공유경제'는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이다. 특정 자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람과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시스템이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에어비앤비'와 '우버'를 들 수 있다.
'에어비앤비'는 개인이 보유한 빈집이나 방을 예약과 결제를 통해 숙소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숙소 제공자와 이용자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의 자원과 수요를 매칭시킨다. '우버'는 개인이 보유한 차량을 공유하여 운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이다. 운전자와 이용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필요와 공급을 매칭시킨다.
이처럼 공유경제는 소유에서 공유로 이동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이다. 과거에는 한 사람이 고가의 자산을 구매하여 소유하였지만, 공유경제에서는 일시적으로 자산을 공유하고 필요할 때만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자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도 편리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국내 공유경제 기반 소셜미디어 서비스
3.1. 쏘카
쏘카는 국내에서 대중적인 인지도를 확보한 대표적인 공유기업이다. 2011년 제주도에서 설립된 이래로 매년 80% 이상의 고속성장을 거듭해 왔다. 이용자는 앱에서 차량 키를 내려받거나 카드키를 통해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목적지 근처 쏘카존에 차량을 반납하면 등록한 카드로 분 단위로 이용료가 결제된다. 전국에 4,000개가 넘는 쏘카존이 있어 서울 어디든 5분 거리에 존재한다.
서비스 이용 전반은 앱과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차량 이용 내역, 결제·면허 정보, 보유 크레딧 내용 등 개인 차량 이용에 관한 정보로 정체성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관계, 그룹, 대화 등의 요소는 발견하기 어렵다. 다만 차량 찾기나 반납을 위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사용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김지예, 한인구(2020). 한국 차량공유사업의 성공요인 사례분석. 지식경영연구, 21(3), 1-25.
네이버 지식백과 한경경제용어사전
더퍼스트(2017.9.22). “입고, 면접 보고, 취업하라” 열린옷장 김소령 대표
매일경제(2018.3.2). 한해 2만6천명 혜택…세계 첫 정장대여 비영리기업 `열린옷장` 김소령 대표
이로운넷(2020.5.30). 국내 1위 주차 앱은 ‘사회적 가치’를 고민한다
전자신문(2012.10.28.). [좋아요! 비즈니스 모델] 면접, 결혼식 때 정장이 없다면, 열린옷장
조선일보(2016.06.27). 사람 놀게 해주고 돈 버는 스타트업
조선일보(2020.11.5). 전국 건물을 일일이 발로 찾아다니며 얻은 결과
최슬아, 홍미희(2015).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만족도를 위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0. 423-442.
한수현, 장정화, 최정혜, 장수령(2021). 소셜미디어와 소비자 구매 결정과의 관계: 서울 공유 자전거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2(4).135-155.
프립 홈페이지 https://www.frip.co.kr/
쏘카 홈페이지 https://www.socar.kr/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손에 잡히는 IT 시사용어, 2008.02.01.
서원주, [영국]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영국 교육현장의 사례,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2015.06.17.
문영호, 인스타그램 심리학 (더 버는 인플루언서의 브랜딩 법칙), 북스톤, 2022.09.30.
이준구, 페이스북 이펙트 (세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힘), 아라크네, 2010.11.15.
최슬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만족도를 위한 연구 –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의 기능적 요소를 중심으로 -, 한밭대학교, 2015.
미디어콘텐츠 4.0, 송해룡, 김원제, 조항민, 김찬원, 이윤경, 최현주, 권영성, 허난영, 이용준, 최부헌, 고두희 / 한국학술정보 / 2019.06.07.
법률시장에 ‘변호사 구독 서비스’ 첫 등장, 법률신문 / 2021.08.19
구독경제사업자, 무료에서 유료 전환하려면 7일전 고객에 알려야, 연합뉴스, 2021.10.28.
이용자 관점에서 본 구독경제 현황에 대하여, KISO JOURNAL Vol.42 이용자섹션, 조혜정 / 중소기업연구원 상생협력연구실 연구위원
온라인 구독경제(Subscription)서비스가 소비자의 지각가치와 구매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백남길, 고객만족경영연구 제23권 제2호 2021.7. pp. 4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