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봄의제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의 리듬 분석
2.1. 잦은 변박
2.2. 악센트에 의한 강박과 약박의 불규칙
2.3. 혼합박자
2.4. 폴리리듬
2.5. 오스티나토
3. 현대발레와 한국무용의 비교
3.1. 무용이념과 장르적 특성 비교
3.2. 안무 및 테크닉 경향 비교
3.3. 죽음에 대한 표현 비교
4. 스트라빈스키와 신고전주의
5. 영화 「샤넬과 스트라빈스키」
5.1. 영화 줄거리
5.2. 「봄의 제전」
5.3. 감상 평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태초에 리듬이 있었다.'라는 독일의 지휘자 뷜로우(Hans von Bulow, 1830-1894)의 말은 음악에 있어서 리듬의 근원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전통적 리듬은 선율과 화성에 비해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를 차지해왔다. 그러나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전통적 리듬의 의미는 바뀌었는데, 기능적 조성의 해체와 함께 전통적 리듬의 해체가 현대 작곡가들에 의해 시도되었다. 특히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는 발레음악 「봄의 제전(The Rite of Spring)」(1913)을 통해 혁신적인 리듬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으로써 20세기 음악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스트라빈스키는 리듬의 다양한 변형과 주체적 사용을 통하여 선율 및 화성의 상위시대에 결별을 고했으며, 이러한 「봄의 제전」의 혁신적인 리듬은 초연 당시 큰 스캔들을 일으켰다.""
2.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의 리듬 분석
2.1. 잦은 변박
스트라빈스키 이전의 음악은 일반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박자를 갖고 진행되었으나, 「봄의 제전」은 박자의 변화가 매우 빈번하다. 스트라빈스키는 22종류의 박자를 사용했으며, 1087마디로 구성된 곡에서 박자가 450번이나 바뀌고 있다. 평균적으로 한 박자가 2.4마디 동안 지속되는 셈이다. 박자가 변화하는 패턴도 정해진 것이 없어 예측하기 어려운데, 악보에서 그 특성이 잘 드러난다. 특히 R.N. 142-143의 273마디 동안 박자가 159번이나 바뀌어 평균 마디 수가 1.7마디에 불과하다. 이런 잦은 변박은 일정한 리듬감을 느낄 수 없게 만든다. 스트라빈스키는 전통적인 리듬의 해체를 시도함으로써 20세기 음악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2.2. 악센트에 의한 강박과 약박의 불규칙
스트라빈스키는 한 박자표 안에서 악센트를 사용함으로써 강박과 약박을 불규칙하게 하였다"" 이는 기존의 전통적인 리듬에서 벗어나 새로운 리듬감을 창출하는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악보에서 살펴보면, 기보된 박자표는 2/4박자로 되어있지만 악센트에 의해 9/8의 리듬이 동시에 들리는 효과가 나타난다" 즉, 규칙적인 강박과 약박의 패턴을 벗어나 불규칙한 리듬이 연출되는 것이다" 이렇듯 스트라빈스키는 악센트의 사용을 통해 전통적인 리듬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리듬 세계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2.3. 혼합박자
혼합박자는 서로 다른 홑박자가 모여서 이루어진 박자이다. 예를 들어, 5박자(3+2, 2+3), 7박자(2+2+3, 2+3+2, 3+2+2 등)가 있겠다. 「봄의 제전」에서는 이러한 혼합박자의 사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혼합된 박자의 숫자가 기보된 유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다음의 악보에서 혼합박자가 잘 나타난다.
(악보 5) R.N. 41. 이 부분은 4/8와 5/8의 혼합박자이다. 4+5로 비대칭적인 리듬이 합해졌다.
이처럼 「봄의 제전」에서는 다양한 혼합박자가 사용되어 전통적인 균형미를 벗어난 독창적인 리듬을 만들어냈다고 볼 수 있다.
2.4. 폴리리듬
폴리리듬은 두 개 이상의 다른 박절의 리듬이 동시에 연주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특성은 제 1곡 R.N. 11, 제 1곡 R.N. 72, 제 1곡 R.N. 78, 제 3곡 R.N. 111에서 살펴볼 수 있다.
악보 6-9를 보면, 제 1곡 R.N. 11에서는 9개 박절의 리듬이 동시에 울리며, 제 1곡 R.N. 72와 제 1곡 R.N. 78에서는 각각 5개 박절의 리듬이 수직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제 3곡 R.N. 111에서는 4개 박절의 리듬이 동시에 연주된다. 이처럼 동시에 여러 개의 다른 박절의 리듬이 연주되어 정확히 맞아 떨어지지 않고 조금씩 어긋나는 효과를 낸다.
이러한 폴리리듬의 사용은 스트라빈스키가 「봄의 제전」에서 새로운 형태의 ...
참고 자료
20세기작곡가연구회. 「20세기 작곡가 연구 I」. 서울: 음악세계, 2000.
오희숙. 「20세기 음악 I 역사 미학」. 서울: 심설당, 2004.
오희숙. 「20세기 음악 I 시학」. 서울: 심설당, 2004.
장정익 편저. 「리듬」.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1999.
Baur, J.. 「악곡분석을 통한 음악 이론사 Ⅱ」. 박미경 역.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1994.
Griffiths, P.. 「현대음악사」. 신금선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Kostka, S.. 「20세기 음악의 소재와 기법」. 박재은 역. 서울: 예당, 2004.
Stravinsky, I.. 「나의 생애와 음악」. 박문정 역. 서울: 지문사, 1990.
Stravinsky, I.. 「스트라빈스키와의 대화」. 국민음악연구회 역. 서울: 국민음악연구회, 1976.
Strunk, O. 편저. 「서양음악사 원전」.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역. 서울: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02.
이미진. “현대음악의 리듬 특성을 반영한 분석모형”.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Stravinsky, I. The Rite of Spring, London: Boosey & Hawkes, 1947.
국립문화재연구소 민속예능연구실, 『살풀이춤』, 국립문화재연구소(1998)
김말복, 『무용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2003)
송지영, “살풀이 춤의 미적 특질에 관한 연구 : 이매방 살풀이 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심정민, “무용예술에 나타난 죽음의 해석”, (월간 객석 6월호, 2014.06)
최준식, “살풀이춤”, 네이버 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92&contents_id=2165,
2010.3.18, 검색어:살풀이춤
국립문화재연구소 영상자료관, “살풀이춤”, http://www.nrich.go.kr/kr/mmulti/index.jsp
Yutube, “Igor Stravinsky - Le Sacre du Printemps - Vaslav Nijinsky-Version 1913 - Ballett Mariinski-Theater”, http://www.youtube.com/watch?v=BryIQ9QpXwI
이헌석, 열려라 클래식, 서울:돋을새김, 2003.
정준호, 스트라빈스키(현대 음악의 차르), 서울:을유 문화사, 2008.
김성현, 오늘의 클래식(스트라빈스키부터 진은숙까지 현대 작곡가 40인 열전), 서울:아트북스, 2010.
임재서, 열정과 기질, 서울: 북스넛, 2004.
노승림, “초연때 신성모독 항의로 난리,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http://www.hani.co.kr(200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