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도정맥류 출혈 간호과정 성인간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헌고찰
1.1.1. 식도정맥류 출혈의 병태생리
1.1.2. 식도정맥류 출혈의 임상증상
1.1.3. 식도정맥류 출혈의 진단검사
1.1.4. 식도정맥류 출혈의 치료와 간호
1.2. 응급실 대상자의 건강상태 사정
1.2.1. 일반적 사항
1.2.2. 대상자의 건강력
2. 진단검사
2.1. 임상 병리 검사
2.2. 진단방사선 검사
3. 투약정보
4. 대상자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
4.1. 임상 병리 검사
4.2. 진단방사선 검사
5. 결론
5.1. 총평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헌고찰
1.1.1. 식도정맥류 출혈의 병태생리
간의 문맥압이 높아지면 혈액이 간으로 가지 못해 식도와 위장의 혈관으로 역류한다.""이를 문맥성 고혈압이라고 하며, 이로 인해 식도정맥으로 과도한 혈액이 들어오면 식도정맥벽이 늘어나고 얇아져 정맥류가 생성된다."" 이 부위에 압력이 높아지면 혈관벽이 터져 출혈이 일어나게 된다."" 정맥류의 출혈 가능성은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내시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정맥류는 흔히 식도 원위부에서 발생하지만 위에서도 발생한다.""
1.1.2. 식도정맥류 출혈의 임상증상
식도정맥류 출혈의 임상증상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태로, 심한 출혈과 혈액량감소 쇼크를 일으킨다. 출혈은 토혈(hematemesis)과 혈변(hematochezia) 형태로 나타나며 심하면 의식을 상실할 수 있다. 정맥류 출혈은 선행요인 없이도 발생할 수 있지만, 복압을 증가시키는 활동이 출혈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무거운 물건 들기, 힘을 많이 주는 운동 등을 피하도록 한다. 문맥성 고혈압 대상자는 식도정맥류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위질환이 발생하여 위점막이 서서히 출혈을 일으켜 만성적으로 혈액을 상실하고 대변 속에 혈액이 섞여나와 빈혈을 초래할 수 있다.
1.1.3. 식도정맥류 출혈의 진단검사
문진과 신체검사만으로는 식도 정맥류를 진단할 수 없다. 간경변증을 오랫동안 앓았다면, 황달, 복수, 하지 부종, 간성 혼수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식도정맥류 역시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없다고 해서 식도정맥류가 없는 것은 아니므로 간경변증이 의심되는 환자는 반드시 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다. 정맥류 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신체검사에서 맥박이 빨라지고 혈압이 떨어진다.
혈액 검사로 정맥류를 진단할 수는 없다. 다만 황달 수치의 증가, 알부민 수치 감소, 혈소판 감소, 혈액 응고시간의 증가 등 진행된 간경변증에 합당한 소견이 있으면 정맥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 소견의 이상 없이도 정맥류는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검사만 가지고 정맥류의 존재를 가늠하기란 어렵다. 정맥류 출혈이 있으면 출혈로 인해 혈색소가 감소하는 빈혈을 보이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량 출혈로 인해 간 기능의 급성 악화를 가져온다.
위내시경 검사는 정맥류를 진단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간 기능 여부에 따라서 수면 내시경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지만 황달, 복수, 간성 혼수가 있는 경우에는 수면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기가 어렵다.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정맥류의 위치, 크기, 색조에 따라 분류를 하는데 이렇게 분류하는 이유는 이에 따라 치료법과 출혈의 위험성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복부 방사선 검사, 초음파, MRI, CT를 촬영하여 진단을 내리고 병변을 확인하는데 보조할 수 있다.
1.1.4. 식도정맥류 출혈의 치료와 간호
식도정맥류 출혈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태로, 심한 출혈과 혈액량 감소 쇼크를 일으킨다. 따라서 출혈을 조절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신속한 치료와 간호가 필요하다.
식도정맥류 출혈에 대한 내과적 관리로는 약물요법, 내시경적 시술, 수액 및 수혈 등이 있다. 먼저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propranolol과 같은 β-차단제를 투여한다. 심박동수를 60회...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권⦁하권 / 황옥남 외 / 현문사
정신건강간호학 / 이숙, 김순오 외 / 신광출판사
간호과정의 적용 / 성미혜, 홍영혜, 정향미 외 / 수문사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20.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2020.
송경애 외 공저.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0.
성미혜 외 공역. 쉽게 배우는 응급간호학 2판. 정담미디어·(주)학지사. 2020.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cdc.go.kr/healthinfo
KCL (의)한국필의료재단 한국임상의학연구소, http://www.kcllab.com/m/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LTO, https://labtestsonline.kr/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https://health.amc.seoul.kr/health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KMLE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사구체 여과율(GFR)에 대한 CKD-EPI 방정식, https://www.mdcalc.com/ckd-epi-equations-glomerular-filtration-rate-gfr#pearls-pitfa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