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발육발달론의 개요
1.1. 건강의 정의
'건강이란 각 개인이 사회적인 역할과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이다. 파슨스는 건강을 개인의 사회적 기능 수행 능력의 관점에서 정의했다. 이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건강한 상태에서 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건강은 개인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최적의 상태라고 볼 수 있다.
1.2. 발육, 발달, 성숙의 개념과 관계
발육은 "양적증가"로, 신체의 각 부위의 크기의 양적 증가와 신체적 변화 중 양적 증가에만 국한된다"" 개인의 의지가 직접 관여하지 않으며, 세포수와 세포크기가 증가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에 비해 발달은 "기능적 유능화"를 의미하며, 양적인 것보다는 기능적으로 유능해지는 것을 말한다"" 발달은 직접 개인의 관여를 통해 문화적 배경 속에서 사회적, 지적, 인지적, 감정적 능력의 변화를 수반한다"" 성숙은 "내적 유전적 메커니즘에 의해 출현되는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의미하며, 2차 성징이나 폐경기와 같은 생리적인 변화가 이에 해당된다"" 발육, 발달, 성숙의 개념은 서로 관련성이 있지만 구분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1.3.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유전은 성장과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가족 구성원들의 유사성이 발생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종 및 성별 또한 중요한 요인이다"" 미국계, 유럽계와 아시아계 여성과 남성 등의 차이에 따라 성장과 발달 양상이 다르다""
산전 환경, 즉 모체의 좋은 임신 중 건강 상태 유지가 태아 발달에 큰 영향을 준다""
영양, 기후, 계절, 운동, 가족 내에서의 지위 및 기타 내적 환경 등의 외부적 환경 요인도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염색체 이상, 미숙아, 부모의 약물 중독, 부모와의 격리 등 환경적 영향으로 인한 영양장애 또한 성장과 발달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1.4. 발육발달학의 성립 및 그 역할
발육발달학의 성립 및 그 역할은 다음과 같다.
발생학은 생장학에서 유래되어 발달학, 발육학, 성장학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를 통해 운동발달론, 신체발육 발달론 등으로 체계화를 시도해 왔다. 즉, 발생학에서는 생명체의 발생과 생장에 관한 것을 연구하게 되었고, 이는 후에 발달학과 발육학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발육발달학은 신체적, 생리적 측면과 체육과학적 측면을 함께 다루며, 인간의 발육 발달과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한 수단이 된다. 즉, 발생학과 생장학에서 시작된 이 학문은 발달학과 발육학으로 이어지며, 신체적 발육과 운동 발달을 종합적으로 다루게 되었다.
발육발달학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 관련 제 과학(신체적, 생리적 측면)과 체육과학(신체교육, 건강교육)을 아우르며, 인간의 발육 발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둘째, 신체 발육 및 운동 기능 발달의 원리와 특성을 탐구하여 발달 단계별 특징을 규명한다. 셋째,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교육과 실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5. 신체 발육발달의 원리
신체 발육발달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에는 일정한 순서가 있다. 신체 발달은 초보적인 반사운동에서 시작하여 포복 및 직립, 수의적 운동, 보행 및 주행, 능숙한 반사운동의 순서로 나타난다."
둘째, 발달에는 일정한 방향성이 있다. 신체 발달은 머리에서 사지(머리→꼬리), 팔 전체에서 손목 손가락(중심→말초), 물건을 잡을 때 손목과 손가락 이용(전체→특수), 부자연스러운 걸음걸이에서 보행에 필요한 근육(대근→소근), 움직임 방향성 발달(수평→수직)의 순서로 나타난다.
셋째, 발달은 연속적이며 점진적인 과정을 보인다. 신체 발달은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단순에서 복잡으로, 서투름에서 세련화로 진행된다.
넷째, 발달의 속도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일정하지 않다. 신체 발달은 영아기에 매우 빠르게 진행되다가 차츰 감소하며, 아동기에는 정체된 대로 머물다가 후기에 속도가 증대되며, 청소년기에는 신생아기 이후 가장 빠르게 발달한다.
다섯째, 발육 발달의 패턴은 신체 제 속성에 의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신장과 체중의 발달 패턴은 다르게 나타난다.
여섯째, 발달은 변용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체적 요인과 객체적 요인, 예기치 못한 변용성에 따라 발달이 달라질 수 있다.
일곱째, 발달의 속도와 정도에는 개인차가 있다. 이는 유전적 요인과 외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여덟째, 발달은 분화와 통합의 과정이다. 발달과정에서 생물과 무생물, 인간과 다른 동물, 인종 등을 구분하는 능력이 발달한다.
아홉째, 발달의 모든 측면은 서로 관련성이 있다. 신체적 발달-정신적 발달, 체격의 발육-운동기능 발달, 특정 부위의 발달-다른 부위 발달 등이 연관되어 있다.
열째, 발달은 개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이 있다. 행동(B)은 개체(P)와 환경(E)의 상호작용의 함수(F)로 표현할 수 있다.
1.6. 학자 별 발달단계의 구분
프로이트의 심리 및 정서적 발달단계는 입을 통해 만족감을 얻는 시기(구강기 0~1세), 배변훈련시기(항문기 1~3세), 남아의 오이디푸스콤플렉스와 여아의 엘렉트라콤플렉스(남근기 3~6세), 학교 공부 및 사회성기술의 중요시기(잠재기 6~11세), 자아정체성(생식기-청년기)으로 구분되어 있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는 유아기(신뢰 대 불신), 아동기(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학령 전기(주도성 대 죄의식), 학령기(근면성 대 열등감), 청소년기(정체성 대 혼돈), 성인 초기(친밀감 대 고립감), 성인기(생산성 대 침체성), 성인 후기(자아통합 대 절망)으로 구분된다"
프랜시스는 태아전기(0-8주), 태아기(8-40주), 유아기(출생?2년), 전학동기(2-5세), 학동기(6-11세), 청년기(12-20세), 성년 및 성숙기(20세 이후)의 7단계로 발달단계를 구분하였다"
스기는 태아기(수태~출생), 유아기(출생~이유), 유년기(이유~취학), 소년기(취학~13세경), 청년기(소년기~20세), 성년기(청년기~60세), 노년기(60세 이후)의 7단계로 발달단계를 구분하였다"
2. 태내기의 발달
2.1. 태내기의 발달
태내기의 발달은 수정으로부터 시작된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 하나의 세포를 형성한 순간 수정란이 되는 것이다. 난자는 난소에서 배출되어 3~7일에 걸쳐 자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자와 수정하게 되면 임신하게 되지만, 난관에서 수정되지 못하면 몸 밖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수정란은 자궁에 착상하기까지 급격한 세포분열을 하게 되며 약 2주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 시기까지 모체는 변화를 느끼지 못하며 착상되지 않은 경우 월경주기에 따라 배출되며, 착상되었을 경우 자궁벽에 안착하여 태아로 발육하게 된다. 이 시기를 발아기라 칭하며 발아기에는 태아를 보호하는 태반, 탯줄, 양막낭이 형성되며 모체로부터 영양분이나 산소 등을 공급받게 된다. 양막낭은 풍선 모양을 띠며 그 속에 양수가 들어 있어 태아를 보호할 수 있다. 양수는 태아의 체온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과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배아기는 수정 후 2주~8주의 시기로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한 이전과 이후를 뜻한다. 배아기에는 눈이나 입과 같은 기관의 형성과 손, 발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감각세포와 신경계, 뼈, 생식기관, 소화기관 등도 이 시기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처럼 배아기에는 한 인간으로서 필요한 부분이 형성되는 시기이기에 모체의 건강이나 영양 상태가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 시기에 모체가 질병을 얻거나 알코올, 약물 등을 접하게 된다면 배아기의 신체 기관이 올바른 형성으로 이어지지 않아 장애로 나타나기도 한다.
뼈세포가 나타나는 태아기는 출생 직전까지를 뜻하는 말이다. 태아기는 앞서 배아기에 형성된 기관의 기능이나 구조가 더욱 세밀한 발달로 이어지게 되며 근육이 발달하게 된다. 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