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진보주의 교육철학과 당면 과제
1.1. 진보주의 교육의 등장과 주요 특징
진보주의 교육은 전통적 교육의 형식주의에 반대하여 어린이의 자유, 경험, 생활, 창의 등을 존중할 것을 기본으로 하는 교육관이다. 영국의 경험론과 공리주의, 다윈의 진화론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실용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자발적, 능동적, 전인적 인간육성을 목표로 출발하였다.
루소의 아동중심 교육사상에서 기원한 진보주의 교육은 페스탈로찌, 프뢰벨, 엘렌케이 등을 거쳐 미국의 만, 파아커, 듀이로 이어졌다. 특히 듀이는 아동중심사상을 생물학적 진화론에 기초한 실용주의의 토대 위에 풍요하게 꽃을 피웠다. 듀이는 시카고 대학에 '실험학교'를 두고 이후 「나의 교육적 신조」에서 진보주의 교육을 처음으로 선보였으며, 「학교와 사회」에서는 교육의 생활과정이라고 보았다. 전통적 학교로서 '듣는 학교'가 아닌 '일하는 학교' '활동하는 학교'로서 진보적 학교의 실험을 통해 「민주주의와 교육」을 저술하였다.
진보주의교육협회는 아동중심으로의 전환, 학습활동의 동기로서 흥미, 교사의 안내자적 역할, 포괄적 아동평가, 학생건강과 학교환경의 중요성, 학부모와의 협조, 실험학교로서의 진보주의 학교 등을 강령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진보주의 교육은 아동의 개성계발과 사회생활 적응을 목적으로 아동 자신의 생활중심적인 교육과정을 중요시하였다.
이러한 진보주의 교육은 아동중심주의, 문제해결방식, 현재의 생활중시, 민주주의 방식 등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명확한 목표설정 부족, 본질적 지식의 소홀, 시행착오 우려, 미래준비 부족, 협동의 강조 등으로 인해 비판받기도 하였다.
1.2. 진보주의 교육의 한계와 과제
1.2.1. 입시 경쟁 교육 해소와 학교 혁신
입시 경쟁 교육 해소와 학교 혁신은 진보주의 교육의 핵심적인 과제 중 하나이다. 진보주의 교육은 아동의 흥미와 개성을 중시하며, 전인적 인간 육성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현실은 여전히 입시 경쟁 교육이 지배적이며, 학생들의 고통을 완화하지 못하고 있다.
진보 교육감들은 학생부 종합 중심의 전형과 수능 절대평가 전환, 대입 자격 고사와 대학 서열 체제 해소를 추진하여 일반고를 살리고 입시 부담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는 실질적으로 입시 경쟁을 해소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학생부 중심의 전형이 확대되면서 오히려 새로운 사교육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대학 서열 체제를 해소하기는 쉽지 않은 과제이다.
대학 입시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