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통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통일의 필요성과 당위성
1.1. 민족정체성 회복
1.2. 경제적 이익
1.3. 자유와 인권 확보
2. 독일의 통일 역사와 제언
2.1. 동서독의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
2.2. 국제협력을 통한 통일 달성
2.3. 통일과정의 문제점과 극복
3. 중국의 통일 역사와 제언
3.1. 통일을 위한 도량형, 언어, 화폐 통합
3.2. 공동의 적을 통한 민족의식 고취
3.3. 경제 교류를 통한 통일 기반 마련
4. 남북한 통일을 위한 방향
4.1.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4.2. 주변국과의 외교적 협력 강화
4.3. 다양한 분야의 인적·문화 교류 확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통일의 필요성과 당위성
1.1. 민족정체성 회복
남북한의 분단은 우리 민족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어났으며, 이로 인해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 훼손되고 왜곡되어 왔다. 통일은 우리 민족의 기본적인 정체성을 회복하고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는 데 필요하다.
분단 이후 남북한은 서로 다른 체제와 이념 아래 각자의 역사와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이로 인해 언어, 풍습, 생활양식 등에서 점점 이질화가 심화되어 왔다. 특히 북한지역은 장기간의 폐쇄적 체제 아래 유일지도자 우상화, 주체사상 확산 등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전통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가 왜곡되어 왔다.
통일은 이러한 민족적 정체성의 단절을 회복하고 동질성을 회복하는 데 필수적이다. 통일을 통해 우리 민족 고유의 언어, 전통문화, 역사 등을 공유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민족으로서의 자긍심과 유대감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일은 남북한 주민 간의 이질감과 갈등을 해소하고 상호 이해와 화합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젊은 세대들의 경우 분단으로 인한 역사적 상처와 편견을 극복하고 하나의 민족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통일 이후 사회통합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통일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동질성을 회복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민족 구성원 모두가 하나의 정체성을 공유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통일 한국의 발전과 국력 강화를 위한 근간이 될 것이다.
1.2. 경제적 이익
통일은 남북한에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다. 현재 남한은 주변국 군사 위협과 북한의 핵무기 개발 등으로 인해 막대한 국방비를 지출하고 있다. 그러나 통일이 되면 이러한 국방비 지출이 크게 줄어들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방비 지출에 GDP의 약 2.4%를 사용하고 있지만 통일 후에는 이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 성장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일 경제권 형성을 통해 북한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가 이뤄지고, 대륙을 연결하는 육로 물류망이 구축되면 유라시아 대륙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거듭나 경제적 이익을 누릴 수 있다. 더불어 북한의 풍부한 지하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금, 은, 동, 철, 아연, 마그네사이트 등의 유용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 이를 개발하게 되면 큰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일로 인한 생산성 증가와 내수시장 확대로 상당한 경제적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통일은 남북한 모두에게 광범위한 경제적 혜택을 안겨줄 것이다.
1.3. 자유와 인권 확보
자유와 인권 확보는 남북통일을 위해 매우 중요한 당위성이 된다. 분단으로 인해 남한과 북한 주민들은 자유와 기본적 인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남한에서는 언론·집회·결사의 자유 등이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지만, 북한에서는 주민들의 기본적 자유와 인권이 극도로 제한되고 있다. 북한 주민들은 정치적 신념이나 행위에 대한 처벌, 강제 수용소에 수감, 자유로운 여행 제한 등 심각한 인권 침해를 당하고 있다. 또한 이산가족들의 고통과 자유로운 왕래의 제한도 통일의 필요성을 제고시키는 요인이 된다. 통일은 남북한 주민들에게 자유와 인권을 보장함으로써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이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을 회복하고 보편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자유와 인권 확보는 남북통일의 당위성 중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2. 독일의 통일 역사와 제언
2.1. 동서독의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
동서독의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은 독일의 평화로운 통일을 위한 핵심 요인이었다. 서독 정부는 1969년 브란트 수상이 추진한 '동방정책'을 통해 동독과의 교류를 적극 확대하였고, 1972년에는 동서독 기본조약을 체결하여 경제, 과학, 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와 협력을 제도화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서독은 1971년부터 전화 통화가 가능해졌고, 1976년에는 우편/통신 협정을 체결하여 우편과 통신 교류를 활성화하였다. 또한 ...
참고 자료
외교부 중유럽과, 『독일 개황(2017.7)』, 외교간행물, 2017.
연하청, 노용환, 『통일독일 사회보장제도 통합의 교훈과 시사점 : 한반도 사회보장제도 통합의 정책과제』, 한국개발연구원(KDI), 2015.
손선홍, 『독일 통일 한국 통일 - 독일 통일에서 찾는 한반도 통일의 길』, 푸른길, 2019.
김영희, 『베를린장벽의 서사 - 독일 통일을 다시 본다』, 창비, 2016.
성장환. (2015). 독일통일 사례가 남북통일에 주는 시사점. 초등도덕교육, 50(0), 137-164.
정병기. (2019). 동독 개혁과 독일 통일: 위로부터의 개혁과 아래로부터의 개혁이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 대한정치학회보, 27(2), 1-21.
출처 “[독자투고] 남북한이 통일해야 하는 6가지 이유”,, 2012.12.26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7005&num=98183, 2018.6.10.
출처 "2017 통일 국민인식조사…통일 필요성↓ 평화적 분단↑",<유코리아뉴스>, 2017.06.24.
http://www.ukore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388, 2018.6.10.
출처 “북한의 도량형 사용”, , 2007.07.11
http://www.nktech.net/inform/nkt_briefing/nkt_briefing_v.jsp?s_code_cd=focus&record_no=190, 2018.6.15.
손선홍, 분단과 통일의 독일 현대사, 소나무, 2005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 2011
갈검웅 저 숙사연구회 역, 중국통일 중국분열, 1996
좌승희 문정인 노정호 편 한반도 통일핸드북(1), 한국경제원구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