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원가의 개념과 구성
1.1. 제조원가의 정의와 구성 요소
1.1.1. 직접원가
직접원가는 기업이 판매 대상으로 삼는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재료, 노동력 및 경비를 합한 것이다. 즉 직접원가는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및 직접제조경비로 다시 한 번 나누어질 수 있다.
첫째, 직접재료비는 제품 및 서비스 생산에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재료를 구매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파스타 제품 생산을 위해 필요한 밀가루, 달걀, 소스 등의 재료 구입 비용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 직접노무비는 제품 및 서비스 생산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노동력에 대한 비용을 의미한다. 파스타 제품 생산을 위해 투입된 셰프 등 직접 작업에 참여한 인력에 대한 인건비가 여기에 포함된다.
셋째, 직접제조경비는 재료비 및 노무비 이외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경비를 의미한다. 파스타 제품 생산에 직접 소요되는 공과금, 감가상각비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접원가는 제품 및 서비스 생산에 직접 투입되는 핵심적인 원가 요소로, 제조원가 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2. 간접원가
간접원가는 기업이 판매 대상으로 삼는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간접적으로 소요되는 재료, 노동력 및 경비를 합한 것이다. 즉 간접원가는 아래와 같이 간접재료비, 간접노무비 및 간접경비로 구분된다.
첫째, 간접재료비는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에 간접적으로 소요되는 재료를 위한 비용이다. 예를 들어 파스타 제조 시 파스타 사용 중 쓰이는 가스와 같은 소모성 재료 및 파스타를 판매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일회용 포장용기 또는 다회용 그릇 등)의 재료비가 여기에 해당된다.
둘째, 간접노무비는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에 간접적으로 소요되는 노동력을 위한 비용이다. 파스타 제조 시 레스토랑 매니저, 웨이터 등의 인건비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셋째, 간접경비는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에 간접적으로 소요되는 경비로, 공장 임차료, 감가상각비, 공장 전력비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처럼 간접원가는 제품 생산에 직접적으로 투입되지는 않지만 생산 활동에 필요한 간접적인 지원 활동을 위해 발생하는 원가이다. 따라서 간접원가는 개별 제품이나 서비스에 직접적으로 귀속시키기 어려워 일정한 기준에 의해 합리적으로 배분해야 한다."
1.2. 원가 분류와 배부
1.2.1. 직접재료비
직접재료비는 제품 및 서비스 생산에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재료를 구매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이다. 기업이 판매 대상으로 삼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있어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원재료의 구입비용이 직접재료비에 해당된다.
직접재료비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생산량에 비례하여 증감하는 변동원가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제품 생산량이 증가하면 직접재료비도 증가하며, 생산량이 감소하면 직접재료비도 감소한다. 또한 직접재료비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직접적으로 추적 가능하므로 제품별로 파악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생산하는 기업의 경우 자동차 생산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강판, 타이어, 엔진 등의 구입비용이 직접재료비에 해당된다.
한편, 직접재료비 외에 제조간접비의 일부인 간접재료비도 있는데, 이는 제품이나 서비스 생산에 간접적으로 소요되는 재료를 구매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이다. 간접재료비의 대표적인 예로는 공장 청소용 걸레나 윤활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간접재료비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직접 추적할 수 없으므로 합리적인 배부기준에 따라 배분된다.
종합하면, 직접재료비는 제품이나 서비스 생산에 직접 투입되는 재료 구입비용으로 변동원가 성격을 가지며 제품별로 직접 추적이 가능한 반면, 간접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