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산업장 유해요인과 건강영향
1.1. 작업장 유해요인 분류
1.1.1. 화학적 인자
작업장에서 화학적 인자로 인한 유해요인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화학적 인자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유기화합물, 금속류, 산 및 알칼리류, 가스상물질, 분진 등을 말한다.
이러한 화학적 인자들은 작업자들의 건강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유기화합물 중 벤젠, 톨루엔, 사염화탄소, 이황화탄소 등은 발암성, 신경독성, 생식독성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금속류로는 납, 수은, 크롬, 카드뮴, 망간 등이 있는데, 이들은 중독증상, 장기 손상, 암 발생 등의 건강영향을 초래한다. 또한 산 및 알칼리류, 가스상물질, 분진 등도 작업자의 피부, 눈, 호흡기에 자극과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장에서는 이러한 유해화학물질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밀폐된 공정, 국소배기장치 설치, 개인보호구 착용 등의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주기적인 건강검진과 작업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관리해야 할 것이다.
1.1.2. 물리적 인자
물리적 인자는 작업장에서 근로자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요인이다. 이에는 소음, 진동, 방사선 그리고 기압과 기온의 이상 등이 포함된다.
먼저, 소음은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물리적 인자 중 하나이다. 소음으로 인해 근로자들은 청력 손실, 스트레스, 집중력 저하 등의 건강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소음원 차단, 개인보호구 착용, 작업장 환경 개선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진동 또한 중요한 물리적 인자이다. 특히 손-팔 진동과 전신 진동은 혈관 장애, 신경 손상, 근골격계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진동공구 사용 시 충분한 휴식시간을 가지고, 작업강도와 시간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사선 또한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물리적 인자이다.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X선 등의 전리 방사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피부염, 암, 유전적 영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방사선 관리구역 설정, 개인 방사선 피폭 관리, 적절한 방호복 착용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압 및 기온의 이상은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인자이다. 고기압과 저기압, 고온과 저온 환경은 각종 중독 증상, 동상, 열피로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작업환경 모니터링, 적절한 작업복 착용, 휴식시간 보장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이처럼 작업장의 물리적 인자는 다양하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예방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1.1.3. 생물학적 인자
생물학적 인자는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생물학적 인자로는 혈액매개 감염인자, 공기매개 감염인자, 곤충·동물매개 감염인자 등이 있다. 혈액매개 감염인자에는 에이즈, 간염, 매독 등의 감염성 질환이 포함된다. 공기매개 감염인자에는 결핵, 수두, 홍역 등의 호흡기 질환이 포함되며, 곤충·동물매개 감염인자에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탄저병, 브루셀라 등의 질환이 포함된다. 이러한 생물학적 인자들은 작업자들에게 직접적인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작업장에서는 감염병 예방을 위한 개인보호구 착용, 주기적인 건강검진, 교육 및 예방접종 등의 다양한 대책이 요구된다.
1.2. 산업장 유해물질과 건강문제
1.2.1. 유해물질별 건강장해
유해물질별 건강장해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름연기는 각종 자극성과 발암성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호흡기 및 피부에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납은 피로, 정서불안, 졸음, 관절통, 조혈기관 손상, 빈혈, 콩팥손상, 신경손상, 불임, 기형아 출산 등을 일으킨다. 니켈은 피부, 눈, 코, 호흡기 자극을 유발하며 폐와 코 계통의 암을 일으킬 수 있다. 망간은 간, 비장, 뇌세포, 척수 등의 손상을 일으키고, 메틸알코올은 실명, 간 손상, 위통을 유발한다. 메틸클로르포름은 간암을 유발하며, 멜라민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