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원 녹지관리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도시 내 녹지 공간의 중요성
2.1. 청계천 복원과 서울숲 조성의 배경
2.2. 도심 공원의 기능과 효과
3. 청계천 녹지와 서울숲의 특성 비교
3.1. 청계천 녹지
3.2. 서울숲 녹지
4. 도심 녹지공간의 장단점 비교
4.1. 청계천 녹지의 장단점
4.2. 서울숲 녹지의 장단점
5. 도시 녹지공간의 시사점
5.1. 녹지공간의 생태적 복원과 환경 개선 효과
5.2. 시민들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의 노력으로는 건강을 지켜낼 수 없는 시대이다. 미세먼지나 황사, 이상기온 등 변화된 환경이 개인의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도시는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으며. 도로는 수많은 차들로 꽉 채워져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대기의 오염이 발생하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식물들은 그 개체수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이 사실이다.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해 환경이 파괴 되고 있으며, 뒤늦게 복원을 위한 노력이 더해지고 있지만 한참 부족한 실정이다. 물론 복원을 위한 노력, 환경재생을 위한 움직임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낳은 사례들은 분명히 있다. 서울 도심 속에 녹지가 조성되어 주변 환경에 영향을 끼치고, 시민들은 그 녹지를 거니며 심적인 안정을 되찾고 있는 것이다. 녹지란 도심에 있는 산, 주변의 산책로, 약수터, 건물이나 빌딩 앞세 조성된 화단이나 가로수에 나있는 길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도심 안에서 이러한 녹지의 의미는 학술적 혹은 법적인 정의로서 복합적 의미로 정의되는데 도심에서 녹지의 용어가 이처럼 처음 사용된 것은 19세기 초반으로 보고 있다. 이후 도시의 발전 계획과 조경에 대한 부분, 환경관리와, 관광 등 이에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 것이다.
2. 도시 내 녹지 공간의 중요성
2.1. 청계천 복원과 서울숲 조성의 배경
청계천 복원과 서울숲 조성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청계천은 원래 개천이라 불리던 하천으로, 서울 인왕산 북악 남쪽 기슭과 남산의 북쪽 기슭에서 시작하여 도성의 중앙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흐르는 도시 하천이었다. 이 하천은 조선 초기부터 정비되기 시작했으며, 태종 때 둑을 세워 지금의 하천 형태를 만들었다. 이후 세종 때 추가적인 정비가 이루어졌고, 영조 때 기본적인 틀이 완성되었다. 그러나 일제시대부터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하수도 역할로 전락하게 되었다.
1970년대에는 청계천 주변의 환경이 크게 악화되어 문제가 대두되었고, 유지 비용의 경제성도 떨어져 철거가 검토되었다. 그러다가 2000년대 초반 오래된 고가도로를 없애고 청계천 하천을 복원하는 사업이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2005년 지금과 같은 청계천이 조성되었다.
한편, 서울숲의 경우 이전에는 뚝섬 일대가 골프장이나 시민공원으로 활용되던 곳이었다. 이를 20만 평 규모의 생태공원으로 조성한 것이 서울숲이다. 서울숲은 2005년 개원하였으며, (재)서울그린트러스트에서 운영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참고 자료
[녹지환경학,안영희,태림문학사]
[녹지생태학,김조원 저자,월드사이언스,녹지용어와 의미 참고]
[위키백과 : http://ko.wikipedia.org/wiki/ 용어사전, 역사 참고]
[청계천 홈페이지 : http://www.cheonggyecheon.or.kr/]
[서울숲 홈페이지 : http://parks.seoul.go.kr/ ]
카카오지도, 네이버지도
흙토람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목포시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도시공원
김민석. "수변녹지 및 인공습지로 복원한 하천 수변구역의 생태환경적 기능에 관한 연구" VOL.- NO.- (2017)
기상청
도시숲 이론과 실제, 변우혁, 김기원, 이채, 2010
삼림과학개론, 이경준 등, 향문사, 2017
도시 숲 조성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림청
도심을 숨 쉬게 하는 도시숲의 비밀, 박찬열, 한국경제매거진, 2019.03
도시지역 자연환경 훼손 진단과 복원 방향, 명수정, 건설기술정보시스템
도시녹지의 생태적 기능강화방안 마련 연구, 환경부
도시숲 활성화를 위한 국내외 조성관리 정책 연구, 송갑수,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녹색생명산업정책과, 201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