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례 소개
1.1.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32세 된 김**씨로, 언니와 12살 터울로 태어났다. 완벽하고 엄격한 성향의 어머니 밑에서 자랐으며, 어린 시절 자신이 "원치 않은 아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대학에서는 언니처럼 경영학을 전공했으나, 4학년 때 임신하여 학교를 그만두었다. 남자친구는 결혼을 원하지 않아 결국 헤어졌고, 혼자서 딸을 키우게 되었다. 현재 변호사 사무실에 사무직으로 취직하여 직장을 유지해 왔다.
1.2. 현병력
32세 된 김**씨는 외래를 통해 3일 전 정신과 병동에 입원하였다. 최근 김**씨는 딸에게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생각이 계속 들었는데 본인은 이러한 자신의 생각이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알지만 이러한 생각은 지속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생각이 들 때마다 딸이 안전한지를 확인해야만 했으며, 한 시간 간격으로 학교에 전화를 하여 확인하였으며, 딸이 운동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고 친구들도 가려서 사귀도록 하였으며 항상 딸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며 모든 활동을 조정하였다고 한다. 딸은 엄마의 이런 행동에 대해 매우 힘들어 한다고 한다. 김**씨는 식사하기도 어려웠고 딸의 안전을 확인하는라 잠도 제대로 못 잤다고 한다.
2. 문헌고찰
2.1. 불안의 정의
불안 또는 불안감이란 이유 없이 막연히 나타나는 불쾌한 정서적 상태 또는 안도감이나 확신이 상실된 심리 상태와 각종 자율신경계통의 과민증상들이 동반되는 감정 상태이다. 친숙하지 않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나타나는 가장 기본적인 반응이며, 미래 위협에 대한 예측, 용납할 수 없는, 내적인 조절 능력의 상실로 나타나는 무의식적, 내적 갈등적인 위협이나, 현실을 인식하는 현실검증능력의 손상은 없다."
2.2. 불안장애
불안장애는 병적 불안을 주증상으로 하는 정신과적 질환의 총칭으로, 마땅한 이유 없이 발생하는 심한 불안 또는 지속적인 불안을 의미한다." 정상적인 생활(일상생활, 사회적/직업적 기능)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한 경우를 불안 장애로 칭한다"이다.
불안장애의 원인은 다양한데, 정신분석이론에 따르면 "이드와 초자아 간의 정서적 갈등에 대한 위협 신호"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대인관계이론에서는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낮은 자존감과 부정적 자기 개념"이 불안장애의 원인이 된다고 보았다. 행동이론(학습이론)에서는 "내적, 환경적 자극에 대한 조건화된 반응"이 불안장애를 발생시킨다고 설명하며, 생물학적 견해에서는 "유전적 소인"과 "병적으로 불안해지는 신체적 조건이나 소인"이 불안장애의 원인이 된다고 보았다. 이처럼 불안장애의 원인은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접근되고 있다.
불안장애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리불안 장애는 "일상생활을 위협할 정도로 심하고 지속적인 분리불안"이 특징인 불안 장애이다. 둘째, 선택적 함구증은 "말을 해야 하는 특정 사회적 상황에서 일관되게 말을 하지 않는" 장애로, 언어능력은 정상이지만 의사소통 장애가 동반된다. 셋째, 특정 공포증은 "특정한 사물, 환경, 상황에 대해 지나치게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불안장애이다. 넷째, 사회 공포증은 "특정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