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그림교환의사소통자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의 개념
1.2. 자폐장애아동의 특성
2.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2.1. 6단계 교수 과정
2.1.1. 교환개념 지도와 교환 훈련하기
2.1.2. 자발적 교환 훈련하기
2.1.3. 그림 변별 훈련하기
2.1.4. 문장 만들기
2.1.5. "뭘 줄까?"라는 질문에 대답하기
2.1.6. 질문에 답하면서 설명하기
3.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의 활용
3.1. 자폐장애아동에게 적합한 이유
3.2. 장점과 단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의 개념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PECS)'는 보완 및 대체의사소통체계의 한 가지 종류이다. 이는 미국의 델라웨어 주에 위치한 '자폐증 프로그램(Delaware Autistic Program)'이라는 기관에서 개발되었다. 이는 '본디' 박사 팀이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자폐성을 보이거나 전반적 발달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 및 성인들이 좀 더 자발적이고 현실적인 양상의 의사소통기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의사소통체계이다. 본 프로그램은 '말' 또는 '모방'이 필요 없이 그림을 교환해서 의사소통을 하는 방법을 취한다.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은 첫째, 의사소통 자발적으로 시작하기, 둘째, 의사소통 상대를 찾아서 다가가기, 셋째, 그림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 표현하기가 그것이다. 최근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는 언어 발달 장애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그의 활용이 많아지고 있다.
1.2. 자폐장애아동의 특성
자폐장애아동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자폐장애아동은 언어발달이 지연되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대부분의 자폐장애 증상은 2~3세 아동기부터 발견되기 시작하며,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을 보인다. 그리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및 흥미 패턴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또래에 대한 관심이 적고, 정서 및 감정 표현에도 어려움을 나타낸다. 자폐장애아동은 자신의 선호하는 주제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이며, 사회성 결함으로 인해 원활한 사회적 의사소통을 하는데 제한이 있다. 이처럼 자폐장애아동은 말하기와 듣기 기술 습득의 어려움, 제한적인 언어능력, 사회성 결여 등의 특성을 보인다.""
2.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
2.1. 6단계 교수 과정
2.1.1. 교환개념 지도와 교환 훈련하기
1단계 교환개념 지도와 교환 훈련하기에서는 자폐장애아동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훈련자는 아동이 선호하는 물건을 충분히 볼 수 있는 곳에 두되, 아동이 그 물건을 잡으려고 할 때 선호하는 물건이 그려진 그림카드를 아동의 손에 놓는다. 그리고 아동이 그림카드를 훈련자에게 주면 선호하는 물건과 교환해준다. 이 과정의 최종 목표는 아동이 그림카드를 집어 훈련자에게 주고 원하는 물건을 받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아동은 의사소통의 개념을 익히게 되며, 자신의 요구사항을 ...
참고 자료
강수균 외, 자폐아 언어치료, 대구대학교출판부, 2011.
이현승,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사용의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이지희,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가 정신지체아동의 의사표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이지희(2007)『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가 정신지체아동의 의사표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우혜경(2009)『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의 활용이 중증 자폐성 장애 아동의 자기의사표현 행동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김기철(2012), 또래모델링을 통한 그림교환의사소통 중재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도서관
문현미(2007), 자폐성 유아의 자발적 의사소통에 대한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와 수화 중재의 효과 비교,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이현승(2021),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사용의 효과,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자폐장애, 위키백과.
자폐장애교육 교안, 해커스원격평생교육원.
정나겸(2020),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가 자폐성장애 유아의 자발적 요구하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한은선(2016),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를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