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게리 콜린스의 생애와 저작
1.1. 게리 콜린스의 학업 배경
게리 콜린스의 학업 배경은 다음과 같다. 그는 1934년 10월 22일에 캐나다에서 태어났으며, 맥매스터(McMaster)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영국의 런던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958년 콜린스는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M.A)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메릴랜드(Maryland) 대학교에서 처음으로 학생들을 교수하였다. 그 후 그는 미국 퍼듀(Purdue)대학교로 유학하여 임상심리학을 전공하여 1963년에 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그는 포틀랜드 주 오리건에 위치한 오리건 대학교 의과 대학 부속병원에서 임상심리 인턴과정을 이수했다. 그러던 중 그는 포틀랜드의 서부신학교(Western Seminary)에서 1년간 신학을 연구했다.
1.2. 기독교 상담학계에서의 활동
게리 콜린스는 기독교 상담학계에서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이다. 그는 1980년대에 통합적 관점으로 기술한 30권의 기독교 상담 시리즈 편집을 담당했으며, 1991년부터 7년 동안 미국 기독교 상담자 협회(AACC)의 공동회장을 맡아 이 단체를 이끌었다. 또한 AACC의 공식 간행물인 "오늘의 기독교 상담(Christian Counseling Today)"이라는 저널을 만들어 수년 동안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1998년 10월 콜린스는 AACC를 떠나 기독교 상담의 발전을 위하여 세계 기독교 코칭(Christian Coaching Worldwide)이라는 단체를 조직했다. 최근에 콜린스는 상담을 완성시키는 개념으로 코칭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으며, 코칭이 상담, 컨설팅, 멘토링 등을 통합한 개념이라고 주장하며 이 운동을 펼치고 있다. 콜린스는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강연을 한 바 있으며, 현재도 북미를 순회하며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 및 기독교 상담과 관련된 다양한 세미나의 주강사로 활약하고 있다. 또한 그는 뉴스레터를 통해 기독교 상담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젊은이들에게 여러 분야에서 상담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1.3.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을 위한 노력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을 위한 노력은 오래전부터 추진되어 왔다" 게리 콜린스는 자신이 초년생 심리학도 시절에 경험하였던 일들과 프로이드의 책을 읽고 크리스챤 급우들이 대부분 심리학 교육을 받는 과정에서 신앙을 저버리는 일들을 보면서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현대 심리학이 기독교의 기본적인 가정들과 바로 상충되는 전제들 위에 세워졌기 때문에 많은 심리학자들은 성경 속에 제시된 것으로서의 진실한 하나님의 말씀과는 상충되는 심리학적인 결론에 도달하게 되고, 말씀과 상충되는 상담 기법들을 발전시켜 왔다""
이에 콜린스는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력히 추구하는 입장이지만, 모든 사람들이 동의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심리학자들과 신학자들은 모두 인간의 행동과 가치관, 인간관계, 삶의 자세, 믿음, 병리학, 결혼, 가족, 도움 그리고 고독, 낙심, 슬픔과 염려 등과 같은 문제 영역들을 연구하는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두 분야는 비슷한 관심과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분야의 연구가 다른 분야를 도외시하고 진행된다면 상호영역에 불이익을 끼치게 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나아가 콜린스는 만일 우리가 하나님이 모든 진리의 근원이시라고 가정한다면, 성경에 계시된 진리와 계시로서의 진리는 본질에 있어서 갈등이나 모순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즉, 하나님의 말씀과 하나님의 세계는 모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우리가 신학과 심리학의 진리를 연구할 때 조차도"
2.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
2.1. 통합의 필요성과 장애 요인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은 필요성과 동시에 여러 장애 요인이 존재한다. 심리학과 신학은 각자의 고유한 전제와 방법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합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첫째, 심리학과 기독교의 기본적인 전제가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현대 심리학은 인간 행동과 마음을 설명함에 있어 물리적이고 결정론적인 관점을 취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기독교는 하나님과의 관계와 영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이러한 근본적인 관점의 차이로 인해 통합이 쉽지 않다"이다.
둘째, 심리학과 신학의 학문적 전통과 방법론이 다르기 때문에 상호이해와 소통의 어려움이 있다. 심리학은 경험적 관찰과 실험을 중시하는 반면, 신학은 계시된 진리와 해석학적 방법을 강조한다. 이러한 학문적 접근방식의 차이로 인해 양 분야의 연구자들이 서로의 언어와 개념을 이해하기 어렵다"이다.
셋째, 심리학과 신학 각각의 독자적인 발전과 성과로 인해 통합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심리학자들은 심리학 내부의 발달에 만족하고, 신학자들은 신학 고유의 전통과 지평 안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상호작용과 통합의 의지가 부족하다"이다.
넷째, 기독교 상담 현장에서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은 실제적인 어려움에 봉착한다. 상담자들은 성경적 원리와 심리학적 기법을 적절히 활용해야 하지만, 이를 균형 있게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내담자의 문제에 접근할 때 어떤 관점을 우선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혼란이 있다"이다.
이와 같이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은 근본적인 전제와 방법론의 차이, 학문 간 소통의 어려움, 통합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그리고 실천 현장의 혼란 등 다양한 장애 요인에 직면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양 분야의 학자와 실천가들이 지속적으로 노력하며, 상호 이해와 존중의 자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이다.
2.2. 통합을 위한 접근법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