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구강음의 발생 원리
1.1. 입 안의 구조
입 안의 구조는 구강음이 어떻게 조음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이다. 공기가 성문을 지나 인두(후두 바로 위)를 통과하면 인두에서 비강(코)과 구강(입)의 두 갈래 길로 나뉘게 된다. 이 때 입 안의 부드러운 입천장인 연구개(soft palate)가 인두강벽을 막아서 공기가 입으로 배출되면 이 소리를 구강음(oral sound)이라고 한다. 즉, 연구개가 인두강을 막아 공기가 비강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구강으로만 배출되도록 하여 구강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1.2. 연구개와 인두강의 역할
연구개와 인두강의 역할은 구강음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개는 입천장의 부드러운 뒷부분으로, 인두강벽을 막아 공기가 입으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공기가 구강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소리를 구강음이라고 한다. 연구개가 내려가면 공기가 구강이 아닌 비강을 통해 나가 코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구강음과 비강음이 구분된다. 또한 인두강은 성문과 구강 사이에 위치한 공간으로, 성문을 지나온 공기가 구강과 비강으로 분리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연구개와 인두강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강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1.3. 구강음의 정의
구강음이란 입안의 부드러운 입천장인 연구개(soft palate)가 인두강벽을 막아 공기가 입으로 배출되면서 내는 소리를 말한다. 이때 공기가 구강을 통과하면서 마찰이나 막힘의 방해를 받으며 내는 소리를 자음(consonant)이라 하고, 방해 없이 공기가 구강을 자유롭게 빠져나가며 생성되는 소리를 모음(vowel)이라고 한다. 즉, 구강음은 성문을 통과한 공기가 구강을 거쳐 밖으로 배출되면서 만들어지는 소리를 의미한다.
2. 성대의 진동과 발성 유형
2.1. 무성음과 유성음 구분
무성음과 유성음 구분은 성대의 진동 유무에 따른 자음의 분류이다. 성문을 통과하는 공기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소리가 발생하는데, 성대가 진동하지 않고 공기가 자유롭게 흘러 나오면 무성음이 발생하고, 성대가 진동하며 저항을 받으면서 나오는 소리가 유성음이다.
예를 들어, 창문이라고 할 수 있는 성문이 열려 있다면 바람이 막힘없이 잘 통할 것이다. 이처럼 성문이 열려 있어 공기가 지나갈 때 소리의 떨림이 없다면 그것이 무성음이다. 대표적인 무성음으로는 /p/, /t/, /k/, /f/, /s/ 등을 들 수 있다.
반면, 창문의 커튼이 닫혀서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생기면 커튼이 움직이며 떨릴 것이다. 이처럼 성문이 닫혀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생기면서 성대가 진동하여 소리가 나는 것이 유성음이다. 대표적인 유성음으로는 /b/, /d/, /g/, /v/, /z/ 등을 들 수 있다.
즉, 무성음은 성대의 진동이 없어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하는 소리이고, 유성음은 성대가 진동하며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생기는 소리인 것이다."
2.2. 창문과 커튼의 비유
성문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음이 발성되는데 공기가 지나갈 때 성문이 열린 상태에서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으면서 내는 소리는 무성음(voiceless sound), 성문이 닫혀 저항을 받으며 내는 소리를 유성음(voiced sound)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창문이 성문이라면 창문의 커튼이 활짝 열려 있으면 바람이 막힘없이 잘 통할 것이다. 이렇게 성문(소리의 창문)이 열려있음으로 공기가 지나 갈 때 소리의 떨림이 없는데 그 예시로 c,f,h,k,p,q,t,s,ch,sh를 들 수 있다. 이 음들을 소리를 낼 때에 목에 손을 대어보고 떨림이 있는지 없는지 만져보면 무성음과 유성음을 구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3. 음운론적 개념 이해
3.1. 음소와 최소대립어
음소(phoneme)는 단어의 뜻을 구분시킬 수 있는 최소의 소리 단위이다. 예를 들어 'spill'이라는 단어는 /s/, /p/, /i/, /l/의 각각의 분절음이 모여 하나의 낱말을 이루고 있는데, 이때 각각의 /s/, /p/, /i/, /l/ 소리들이 음소에 해당한다.
음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최소대립어(minimal pair)를 찾아보는 것이 있다. 최소대립어란 두 단어의 발음이 단 한 개의 음소만 다르지만 의미가 완전히 구분되는 단어 쌍을 말한다. 예를 들어 'spill'과 'still'은 첫 음절의 /p/와 /t/만 다르지만 전혀 다른 뜻을 나타내므로 최소대립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 음소의 차이가 단어의 의미를 구분 지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음소는 매우 중요한 언어 단위인 것이다.
3.2. 이음과 상보적 분포
이음(allophones)이란 하나의 음소가 실제로 발음될 때 상황에 따라 다르게 실현되는 소리들을 의미한다. 즉, 음소는 하나의 추상적인 소리 단위이지만 실제 발화 과정에서는 다양한 음성적 실현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