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 모니터링
1.1. 방문 목적
이번 방문의 목적은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규칙 제6조 제2항에 따른 세탁물 처리업자의 시설 및 장비 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현장 내 위생 및 소독 관리 상태를 점검하기 위함이다. 또한, 세탁물 처리 과정의 적정성 및 법적 요구사항 충족 여부를 평가하고 필요한 개선 사항을 지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1.2. 조사 개요
조사 개요는 다음과 같다. 방문일자는 0000년 00월 00일이며, 방문자는 감염관리실의 감염관리전담간호사 000, 000이다. 조사가 이루어진 위탁 업체의 명칭은 00000이며, 위치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 000-00번지이다.
1.3. 조사 내용 및 결과
1.3.1. 세탁물 처리 관리
기타세탁물과 오염세탁물을 구분하여 세탁하고 있다. 오염세탁물은 증기, 끓는 물, 약물 소독을 통해 처리하고 있으며, 세탁 전 세탁물 입구와 세탁 후 출구가 각각 별도로 구분되어 있다. 이를 통해 업체는 기타세탁물과 오염세탁물을 철저히 구분하여 처리하고 있으며, 오염세탁물은 법적 기준에 맞게 소독 후 세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교차오염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세탁을 가능하게 한다.
1.3.2. 작업장 관리
작업장 관리는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작업장은 오염구역, 준오염구역, 청결구역으로 명확히 구획되어 있어야 하며, 이러한 구역 구분은 세탁물의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제로 해당 위탁 업체 작업장은 이러한 구역 구분이 잘 되어 있었으며, 각 구역의 청결 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작업장 내부에는 소독약품과 소독 기구가 구비되어 있었고, 주 1회 이상 작업장 전체에 대한 소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법적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세탁물의 위생적인 처리를 위해 필수적인 조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장에는 충분한 조명, 환기, 채광 시설이 구비되어 있어 작업에 적절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탁물 입구와 출구가 명확히 분리되어 있어, 오염된 세탁물과 세탁 완료된 세탁물의 동선이 교차되지 않도록 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교차오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해당 위탁 업체는 작업장 관리 측면에서 관련 법규를 충실히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의료기관 세탁물의 위생적이고 안전한 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요건을 갖추고 있음을 의미한다.
1.3.3. 세탁물 운반용기 관리
세탁물 운반용기 관리는 의료기관 세탁물 관리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세탁물 운반용기는 세탁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업체에서는 세탁 전, 중, 후 각 단계별로 구분된 운반용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세탁물 운반용기는 주 1회 이상 소독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내수성 자재로 된 뚜껑이 있는 폐기물 용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