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dns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개요
1.1. DNS법을 이용한 환원당 정량
1.2. 포도당, 갈락토스, 맥아당, 젖당의 환원성
1.3. DNS법의 원리와 특징
2.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2.1. 실험 재료
2.2. DNS 시약의 제조
2.3. 표준용액 및 시료 준비
2.4. 흡광도 측정 및 분석
3. 실험 결과
3.1. Standard curve 작성
3.2. 시료의 glucose 농도 추정
4. 결과 분석 및 고찰
4.1. 식혜와 미지시료의 당 함량 차이
4.2. 오차 발생 원인 분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개요
1.1. DNS법을 이용한 환원당 정량
DNS법을 이용한 환원당 정량은 알칼리성 3,5-dinitrosalicylic acid(DNS)가 환원당의 존재 하에서 가열될 때, 적갈색의 환원 생성물인 3-amino-5-nitrosalicylic acid를 형성하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자유 카보닐 그룹이 존재하는 환원당을 대상으로 한다. 환원당은 알칼리성에서 3,5-dinitrosalicylic acid의 NO2기를 NH2기로 환원시켜 적갈색을 띠게 한다. 이 색소의 강도를 이용하여 비색 정량하는 방법으로, 조작이 간단하고 신속히 할 수 있어 많은 시료를 일시에 정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색분석법의 원리는 시료용액에 발색시약을 넣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게 한 뒤,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농도가 다른 표준용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시료의 성분 농도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환원당은 aldose의 카보닐 산소가 여러 물질을 환원시킬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DNS법으로 정량할 수 있다.""
DNS법은 분광광도법의 원리를 이용한다. 분광광도법은 빛의 흡수가 분자의 전자 및 진동 모드와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각 화합물이 고유한 스펙트럼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이용한다. 따라서 시료에 특정 파장의 빛을 쪼이고 그 세기를 측정하여 시료 성분의 농도를 정량할 수 있다.""
이처럼 DNS법은 환원당의 성질을 이용하여 시료 중 환원당의 농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비색분석법이다.""
1.2. 포도당, 갈락토스, 맥아당, 젖당의 환원성
포도당, 갈락토스, 맥아당, 젖당의 환원성은 다음과 같다.
포도당은 대표적인 환원당 중 하나이다. 포도당은 고리형 구조에서 탈락한 알데히드기(-CHO)로 인해 다른 물질을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포도당은 대표적인 환원당이라고 할 수 있다.
갈락토스 또한 포도당과 마찬가지로 고리형 구조에서 탈락한 알데히드기로 인해 환원력을 지니고 있어 환원당에 해당한다. 단, 갈락토오스는 포도당보다 환원력이 약한 편이다.
맥아당인 맥아당은 엿당이라고도 하며, 맥아 추출물에 존재하는 환원당이다. 맥아당 역시 알데히드기를 가지고 있어 환원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환원당 중 하나이다.
젖당은 포도당과 갈락토스가 결합한 이당류로, 알데히드기를 가지고 있어 다른 물질을 환원시킬 수 있는 환...
참고 자료
Food Analysis NEW 식품분석(제2개정판)/지구문화/금종화 외 8명/2012년/134-135p., 33-34p.
표준 식품분석학 이론 및 실험/지구문화사/채수규 외 6명/2006년/403-404p.
채수규, 기본식품분석학, 석학당, 서울, 2013
기초생화학 이종순 대학서림, 2006 77~85
생화학 및 분자 세포생물학 Koolman, Jan 월드사이언스, 2008 160
생화학 Mary K. Campbell 라이프사이언스, 2007 187~194
new 식품분석 제 2 개정판 p63, 금종화 외 8명 저, 지구문화사, 2013
Ninfa, Alexander; P., Ballou, David (2004). Fundamental laboratory approaches for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 Wiley. p. 66.
실무를 위한 식품분석학 - 표준곡선 작성법, 노봉수 외 4명 저, 수학사, 2014
식품 분석학(수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