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소기업 경제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소기업의 정의와 특성
1.1. 중소기업의 정의
1.2. 중소기업의 내부적 특성
1.3. 중소기업의 외부적 특성
2. 중소기업의 중요성
2.1. 건전한 경쟁력 자극
2.2. 다양한 소비욕구 충족
2.3. 고용 창출과 사회 안정화
2.4. 지역사회와의 밀접한 관계
3. 중소기업의 성공사례
3.1. 카카오톡
3.2. 메가스터디
3.3. 쿠팡
4.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 강조
4.1. 사람이 미래다
4.2. 창업가적 특성과 기업가정신
5.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방안
5.1. 중소기업의 계열화
5.2. 중소기업의 협업화
5.3. 중소기업의 전문생산 체제화
5.4. 정부의 제도적 지원
5.5. 정보능력 구축
5.6. 고객 만족 경영체제 도입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소기업의 정의와 특성
1.1. 중소기업의 정의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에 규정된 바에 따라 정의된다. 1995년 1월 전문 개정된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제①항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육성을 위한 시책의 대상이 되는 중소기업자는 업종의 특성과 상시근로자수, 자산규모, 매출액 등을 참작하여 그 규모가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 이하이고, 소유 및 경영의 실질적인 독립성이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기업을 중소기업자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2001년 1월 1일 개정·공포된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제3조에 따르면, 별표 1이 정하는 업종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기업으로서 상시근로자수·자본금 또는 매출액의 규모가 별표의 기준에 적합한 기업을 중소기업으로 규정한다. 여기에 더해 질적 기준으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대규모기업집단에 속하지 아니하는 회사로 규정하고 있다.
1.2. 중소기업의 내부적 특성
중소기업의 내부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고 소유자가 곧 경영자로서 기업을 운영하기 때문에 규모가 크지 않아 조직 운영이 규정이나 규율 등 제도에 의해 이루어지기보다는 경영자의 판단에 따라 신축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관리방식이 대기업에 비해 덜 체계적이며 경영자의 개인적인 판단과 직관,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 의사결정 과정이 짧아 수시로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소유자가 곧 경영자이기 때문에 운영상의 세부적인 부분까지 직접 결정하고 있어 의사결정 단계가 단순하다.
셋째, 지역시장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밀접하고 소비자와도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넷째, 자금조달이나 영업망 구축 등 여건이 대기업에 비해 취약하여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1.3. 중소기업의 외부적 특성
중소기업의 외부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존립분야가 광범위하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관련업종뿐만 아니라 제조업, 운송업, 건설업, 서비스업 등 국민경제의 광범위한 분야에 높은 비중으로 존립하여 대기업의 참여가 없는 부분에 대한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대기업을 보완하기도 한다.
둘째, 일반적으로 자유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기업이 활동하는 분야에서는 독과점적 지배가 강하고 시장 및 가격의 경직성이 나타나지만, 중소기업의 비중이 큰 산업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자유경쟁을 통해 가격이 형성되는 시장이 된다.
셋째, 대기업과의 긴밀한 관계 하에서 효율적인 산업구조의 기반이 된다. 중소기업은 독립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으나, 많은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하청 계열화 체제를 통해 분업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관계에서 효율적인 생산체제를 만들어 나간다.
넷째,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소규모이고 다산다사(多産多死)한다. 호황기에는 새로운 기업이 많이 생겨나고, 불황기에는 경쟁력이 약한 기업을 중심으로 많은 기업이 도태된다.
다섯째, 중소기업은 지역사회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중소기업은 기업활동 영역이 대체로 지역적이므로 해당지역의 노동력을 흡수하고 금융, 원재료, 제품 등의 시장관계가 지역사회와 밀접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의 중심이 된다.
2. 중소기업의 중요성
2.1. 건전한 경쟁력 자극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출현으로 시장이 독과점화되는 것을 막고 다양한 기업들 간의 건전한 경쟁을 자극한다"" 중소기업의 등장은 시장에서 독점화를 억제하고 경쟁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한다. 대기업 위주의 경제 구조에서는 소수의 대기업이 시장을 장악하여 가격을 임의로 조종할 수 있지만, 중소기업의 참여로 인해 이러한 독점적 구조가 개선되고 다양한 공급자들 간의 경쟁이 발생하게 된다....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한국중소기업청. 「중소기업 발전비전과 육성전략」. 2003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 2000
최원룡. 「중소기업 죽이기」. 2000
서인덕․김윤상. 「현대경영의 이해」. 2000
유세준ㆍ임동환. 「중소기업의 이해」. 2001
이근영, 한국경제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개혁, 다산출판사. 2009
[인터뷰] 김범석 쿠팡 대표 "소비자 '신뢰'가 핵심가치"
http://news1.kr/articles/720850
카카오톡 사이트, http://www.kakao.com/talk/ko
메가스터디 사이트. http://www.megastudy.net/
이유리 외, 중소기업가의 창업가적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와 함께, 한국창업학회지 제 14권 제6호, 2019, pp.244~263.
코로나 이후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운명은?, 매경프리미엄, 2020.08.18.확인
https://www.mk.co.kr/premium/behind-story/view/2020/04/28218/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국가 법령정보센터, 2020.08.18.확인
http://www.law.go.kr/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내가 다니는 회사는 중소기업일까? (하), 매경프리미엄, 2020.08.18.확인
https://www.mk.co.kr/premium/behind-story/view/2019/12/27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