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서울아산병원 간호지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서울아산병원 간호지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울아산병원 소개
1.1. 병원 개요
1.2. 병원 미션과 비전
1.3. 병원 역사 및 주요 성과
1.4. 병원 조직 및 기구

2. 간호부 소개
2.1. 간호부 미션 및 비전
2.2. 간호부 운영 목표
2.3. 간호부 조직도
2.4. 간호 전문성 강화 제도
2.5. 간호사 복리후생

3. 신규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3.1. 개인정보 관리 및 보안
3.2. 감염 관리 교육
3.3. 환자 안전 교육
3.4. 성희롱 예방 교육
3.5. 심폐소생술 교육
3.6. 의약품 관리 교육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울아산병원 소개
1.1. 병원 개요

서울아산병원은 1989년 6월 개원 이래 끊임없는 연구 개발과 임상 진료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로 세계적 수준의 의료성과를 달성해왔다. 또한 '생명 존중의 정신'과 이웃과 아픔을 함께 하는 '나눔 정신'을 실천함으로써 존경받는 병원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해오고 있다. 최고의 의료 수준과 첨단 의료 장비를 갖추고 선진 외국의 의료와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우리나라의 의료 발전을 이끌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아산사회복지재단 산하 8개 병원의 모 병원이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1977년부터 설립되어 의료사업과 사회복지사업, 장학사업, 학술연구사업 등 사회공익사업을 전개해 오고 있다. 특히 농어촌 산간벽지 의료 취약지역에 현대식 종합병원을 건립하여 '우리 사회의 가장 어려운 이웃을 돕는다'라는 아산 정주영 설립자의 아산재단 설립 이념을 실천하고 있다. 그 결과 서울아산병원은 2021년 외래환자 3,439,834명, 재원 환자 919,339명, 응급환자 101,249명을 진료하며, 연간 71,844 여 건의 고난도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이제 국내 병원과의 경쟁이 아닌 국내 의학발전의 선도자로서 '세계 의학의 글로벌 표준이 되는 병원'이 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아산병원은 '아산생명과학연구소'와 '임상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산·학·연을 연계한 기초의학 및 신약 연구개발, 암 정복을 위한 임상연구에 끊임없이 매진해 나가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불우한 이웃들에 대한 무료진료를 통해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고 '아산 정신'을 실천해 오고 있다. 이러한 실천 의지를 나타내기 위해 병원 운영 목표를 '최고 의료 수준 유지', '이웃과 함께하는 병원',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따뜻한 병원이 되기 위해 늘 환자의 아픔을 함께 나누는 병원이 되고자 한다. 친절한 병원, 환자를 내 가족같이 여기는 따뜻한 병원으로 만들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 역시 잊지 않고 있다.


1.2. 병원 미션과 비전

서울아산병원의 미션은 "끊임없는 도전과 열정으로 높은 수준의 진료, 교육, 연구를 성취함으로써 인류의 건강한 삶에 기여한다."이다. 서울아산병원은 이를 위해 '누구에게나 가장 신뢰받는 병원', '최적의 의료를 제공하는 병원', '직원 모두가 긍지를 느끼는 병원', '건실한 경영으로 성장, 발전하는 병원', '창의적 연구와 충실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병원'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즉, 서울아산병원은 높은 수준의 진료, 교육, 연구를 통해 인류의 건강한 삶에 기여하고자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신뢰받는 병원, 최적의 의료 제공, 직원 긍지 등의 비전을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1.3. 병원 역사 및 주요 성과

서울아산병원은 1989년 6월 개원 이래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임상진료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로 세계적 수준의 의료성과를 달성해왔다. 1978년 의료 단지 부지를 구입하고 1986년 병원 건물 착공 후 1988년 초대 병원장 이문호 교수가 취임하면서 본격적인 역사가 시작되었다.

1990년 제2대 병원장 민병철 교수가 취임하여 1995년까지 연임하며 병원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 기간 동안 국내 최초로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와 의료질 향상 전담팀(QI팀)을 운영하기 시작했고, 의료정보전산화(AMIS) 서비스, 의료영상정보전송시스템(PACS)을 도입하여 필름 없는 병원 시대를 개막하였다.

2001년 제8대 병원장 홍창기 교수, 2003년 제9대 병원장 박건춘 교수, 2009년 제12대 병원장 이정신 교수, 2011년 제13대 병장 박성욱 교수, 2017년 제16대 병원장 이상도 교수가 역임하며 병원의 발전을 이끌어왔다. 이들 병원장 재임 기간 중 암병원, 어린이병원, 심장병원 등 특화 병원을 개원하고, 아산생명과학연구원을 신축하는 등 병원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하였다.

서울아산병원은 이 과정에서 수많은 의료 성과를 거두었다. 1991년 국내 최초로 관상동맥중재술을 성공하였고, 1992년에는 국내 최초 신장·췌장 동시 이식 수술과 심장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1997년에는 국내 최초 성인 생체 부분 간이식 수술을, 1999년에는 세계 최초 변형우엽절제 간이식 수술과 혈전용해제 뇌세포 보호기능 규명 등의 업적을 이루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세계 최초 2:1 성인 생체 간이식 수술, 세계 최초 암세포 증식도 평가와 파킨슨병 조기진단 기술 상용화, 국내 최초 대장암 수술 2만례 달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 최초와 국내 최초의 기록을 수립하였다. 이처럼 서울아산병원은 국내 의료계를 선도하며 세계적인 의료기관으로 발돋움해왔다고 할 수 있다.


1.4. 병원 조직 및 기구

서울아산병원은 아산사회복지재단 산하 8개 병원의 모 병원이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1977년부터 설립되어 의료사업과 사회복지사업, 장학사업, 학술연...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21.10.09
여성가족부 「직장 내 성희롱 예방 및 안전보건 교육 PDF자료」 http://www.mogef.go.kr/index.do, 2018, 21.10.09
질병관리청, 「의료 관련 감염 표준 예방 지침」. http://www.kdca.go.kr/, 2018-07, 21.10.09
환경부, 「의료 폐기물 분류·관리 방법 안내」, http://www.me.go.kr/, 2018, 21.10.09
보건복지부, 「의료 기관 화재 매뉴얼」,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2020- 01, 21.10.09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협회, 「간염 관리 지침」 https://www.koshic.org/index.php, 2018, 21.10.09
질병관리청, 대한심폐소생협회, 「2020년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2020, 21.10.10
식품의약품안전처, 「마약류 취급업무 안내서」 ,https://www.mfds.go.kr/index.do, 2018, 21.10.10
환자안전보고시스템, https://www.kops.or.kr/portal/main.do, 2020.10.1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