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어기제 수동공격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방어기제의 개념과 특성
1.2. 방어기제의 중요성
2. 방어기제의 유형
2.1. 자기중심적 방어
2.2. 미숙한 방어
2.3. 신경증적 방어
2.4. 성숙한 방어
2.5. 기타 방어기제
3. 나의 방어기제
3.1. 부정
3.2. 유머
3.3. 합리화
4. 방어기제의 이면에 있는 나의 심리 분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방어기제의 개념과 특성
방어기제의 개념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는 받아들일 수 없는 잠재적 불안의 위협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실제적인 욕망을 무의식적으로 조절하거나 왜곡하면서 마음의 평정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심리학적 메커니즘이다. 불안은 자아에 닥친 위험을 알리는 신호를 말하며, 불안은 세 가지 자아 간의 갈등으로 끊임없이 야기된다. 자아는 충동적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원초아와 완벽성을 추구하는 초자아와의 갈등을 감소시키려고 노력한다. 즉, 불안을 피하려고 노력한다. 프로이트는 모든 행동이 본능에 의해 동기화되는 것처럼 역시 불안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방어적이라고 보았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불안을 원치 않으며 그것을 벗어나기를 원한다. 따라서 인간은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방어 기제는 성격발달의 수준이나 불안의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지만 두 가지 공통된 특성이 있다. 그 첫 번째로 방어 기제는 사실을 거부하거나 왜곡시킨다는 점이며, 두 번째로 방어 기제는 무의식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1.2. 방어기제의 중요성
방어기제는 인간의 정신건강과 성격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첫째, 방어기제는 불안과 갈등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함으로써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인간은 다양한 내적·외적 요인으로 인해 끊임없이 불안과 갈등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때 방어기제는 자아를 보호하여 정신적 균형을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방어기제는 인간의 성격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개인의 방어기제 양상은 성격구조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성격발달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예를 들어 미숙한 방어기제를 주로 사용하는 사람은 전반적인 성격기능이 낮은 것으로 간주된다. 셋째, 방어기제는 정신병리를 진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개인의 방어기제 양상은 정신병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분석함으로써 정신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증 성향이 높은 사람은 투사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방어기제는 인간의 심리적 균형 유지, 성격발달, 정신병리 진단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2. 방어기제의 유형
2.1. 자기중심적 방어
자기중심적 방어기제에는 투사, 부정, 왜곡 등이 있다. 투사는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감정을 다른 사람의 것으로 전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신의 공격성을 상대방의 공격성으로 지각하는 것이다. 부정은 엄연히 존재하는 위험이나 불쾌한 현실을 부인하여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왜곡은 엄연한 외적 현실을 내적 욕구에 따라 크게 변형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신이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했다고 믿는 것이다. 이처럼 자기중심적 방어기제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왜곡된 해석을 하거나 현실을 부인하는 등의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방어기제는 자신의 자존감과 안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현실과 괴리된 왜곡된 자기상을 형성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2.2. 미숙한 방어
미숙한 방어는 자아가 충분히 성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불안을 해결하려는 원시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방어기제에는 퇴행, 조현성 공상, 신체화, 건강 염려, 내재화, 수동-공격성, 행동화, 차단 등이 있다.
퇴행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불안한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이전의 안락했던 어린 시절의 행동으로 후퇴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동생이 태어나 부모의 관심이 동생에게 쏠리자 이전에 잘 가리던 오줌을 가리지 못하는 아이의 행동을 들 수 있다. 또한 성인이 입원하여 자신의 이름도 말하지 못하는 모습도 퇴행의 사례에 해당한다.
조현성 공상은 자폐적으로 퇴행하여 대인관계를 피하고 행동화를 자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현실을 왜곡하여 자신만의 공상의 세계에 빠져 살아...
참고 자료
이인정ㆍ최해경(202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개정판 3판), 나남.
최송식ㆍ최말옥 외 4명(2019), 정신건강론, 학지사.
박선환(2017), 정신건강론, 양서원.
권석만(2017), 성격심리학 (인간 이해를 위한), 학지사.
안나 프로이트ㆍ김건종 역(2015), 자아와 방어 기제, 열린책들.
이무석(2006), 정신분석에로의 초대[마음속에 숨겨진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도서출판 이유
성격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한규석 저, 2017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방어기제”, “ 부정”
정신분석용어사전, 2002. 8. 10., 미국정신분석학회, 이재훈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성격심리학, 학지사, 권석만 저, 2017
https://m.blog.naver.com/dlfgns1/221173123522
https://m.blog.naver.com/mj0147won/222116476867
https://goodthought.tistory.com/415
https://namu.wiki/w/%EB%B0%A9%EC%96%B4%EA%B8%B0%EC%A0%9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