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 관찰 및 지도 계획
1.1. 학습 능력 및 태도
아동의 학습 능력 및 태도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몇 가지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관찰되었다.
먼저, 홍00 아동의 경우 공부를 싫어하고 집중력이 부족한 편이었다. "공부하기 싫어요" "지겨워요" 등의 말을 자주하며 공부시간이 길어지면 주변의 물건을 만지거나 핸드폰을 만지는 등 집중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학습능력 자체에는 문제가 없으며 공부를 잘하는 친구들을 부러워하는 태도를 보였다.
김00 아동은 학습에 있어 매우 모범적이었다. 센터에 도착하면 선생님들이 공부하라는 말도 하기 전에 스스로 책상에 앉아 문제를 푸는 등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를 보였다. 또한 꼼꼼하게 문제를 읽고 계산하며 암산도 잘하는 편이었다. 다만 틀린 문제가 있을 경우 "왜 틀렸어?"라며 자신의 집중력 부족을 탓하는 등 모범생 콤플렉스를 보였다.
박00 아동의 경우 집중력이 부족하여 공부 중에 자리를 자주 이탈하고 다른 곳으로 가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다른 친구들이 놀이방에서 놀 때 자신은 혼자 공부해야 해서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푼 문제는 대부분 정답이어서 학습능력 자체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조00 아동은 국어 문제를 풀 때 지문을 소리내어 읽으면서 푸는 등 학습 방식이 독특했다. 문제의 길이가 길면 모르겠다고 먼저 말하지만, 쉬운 문제라고 말하면 다시 보고 잘 푸는 편이었다. 수학은 기초학습이 부족해 별도의 지도를 받았는데, 선생님이 좋지만 공부가 힘들다고 말하는 등 학습 의욕이 있어 보였다.
종합해보면, 아동들의 학습 능력은 대체로 양호한 편이지만 개인차가 있었다. 특히 집중력과 자기주도성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개별 지도와 격려,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 방법 등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1.2. 또래관계
또래관계는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과 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제공된 관찰 기록에 따르면 각 아동의 또래 관계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홍00 아동의 경우 센터 내에서 가장 친한 친구로 소0이를 꼽았으며, 다른 친구들과도 잘 지내는 편이다. 특히 소0이와 가장 친하게 지내며 선생님들에게 자주 소0이를 칭찬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센터에서는 아론이가 자신을 피한다며 섭섭해 하였다는 점에서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00 아동은 센터 내에서 바로 옆에 앉아있는 단0와 가장 친하게 지내며, 단0, 하0이에게 간식을 자주 주는 등 또래 관계에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소0이와 같은 센터를 다니며 서로 챙기는 모습을 보였지만, 게임을 할 때는 오히려 O율이를 다가오지 못하게 하는 등 때로는 이기적인 모습도 나타났다"".
박00 아동은 친구들 사이에서 어느 곳에도 끼지 못하고 배회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친형 2명과 같은 센터를 다니지만 형들과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보이지 않아 형제들간의 유대관계가 좋아 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