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마약중독의 이해
1.1. 물질사용장애 정의
중독은 뇌의 보상 시스템, 동기부여, 기억 및 이와 관련한 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만성 질환이다. 물질사용장애를 가진 사람은 집, 학교, 직장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되며 물질사용을 줄이거나 조절하는 데 실패하며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물질사용으로 인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으며 사회적으로 고립되기도 한다. 위험한 행동에 참여하기도 하고 지속적인 물질 사용이 신체적 심리적 문제를 일으킬 것을 알면서도 계속 사용한다. 내성이 생기면서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물질의 양이 증가한다."
1.2. 물질사용장애 원인
1.2.1. 생물학적 이론
생물학적 이론에 의하면 물질사용장애는 유전적 요인과 신경학적 요인이 관여한다.
첫째, 유전적 요인은 물질사용장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알코올중독에서 그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알코올중독자의 자녀가 알코올중독이 될 가능성이 일반인에 비해 50%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물질사용장애가 유전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신경학적 요인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에 따르면 중독성 약물들이 작용하는 뇌의 특정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가 밝혀졌다. 대표적인 것이 아편, 도파민,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 등이다. 이런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가 약물 효과와 관련되어 있으며, 약물이 이를 자극해 뇌의 활동을 억제하거나 쾌락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유전적 요인과 신경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물질사용장애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1.2.2. 심리적 이론
심리적 이론에 따르면, 물질사용장애는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프로이트는 영아의 발달단계 중 구강기에 욕구가 적절히 만족되지 못하면 이후 단계로의 이동이 어렵고 구강기 의존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물질을 사용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즉, 물질중독자들은 마약이나 알코올, 흡연 등을 통해 어린 시절 충족되지 못한 구강기 욕구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성격이론에서는 물질사용장애자들의 공통된 성격적 특성으로 충동성, 새로운 경험에 대한 호기심, 사회적 규범에 대한 반항심, 좌절에 대한 인내력 부족 등을 들고 있다. 이러한 미성숙한 성격구조로 인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좌절감과 분노를 느끼게 되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물질 남용에 의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물질사용장애의 심리적 원인은 구강기 발달단계에서의 욕구불만족에서 비롯되거나, 충동성과 반사회적 성향 등의 성격적 문제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이 물질 남용의 원인이 되며, 결과적으로 물질사용장애로 이어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1.2.3. 사회문화적 이론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