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돗물 잔류염소정량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수장 측정기의 종류 및 원리
1.1. 조사대상 자동측정기기의 종류
1.2. 탁도계
1.2.1. 탁도의 정의 및 성질
1.2.2. 탁도의 단위
1.2.3. 탁도의 측정원리
1.2.4. 탁도의 측정방법
1.3. 잔류염소 측정기
1.3.1. 잔류염소의 종류
1.3.2. 잔류염소의 측정방법
2. 식품 분석 실험
2.1. Iodometry 방법을 이용한 표백분(Ca(OCl)2) 중 유효염소의 정량
2.1.1. Abstract
2.1.2. Introduction
2.1.3. Materials & Method
2.1.4. Result
2.1.5. Discussion
3. 정성 분석 실험
3.1. 실험 방법
3.2. 실험 결과
3.3. 결론 및 고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수장 측정기의 종류 및 원리
1.1. 조사대상 자동측정기기의 종류
현재 정수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동측정기는 온도계, pH 측정기, 탁도계, 잔류염소 측정기, 전기전도도, 알칼리도 및 중금속 분석기 등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또한, 정수처리기준에서는 여과시설을 거쳐 소독시설에서의 소독능력의 경우 계산된 불활성화비 값이 1.0 이상이면 99.99의 바이러스 및 지아디아 포낭의 불활성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바이러스·지아디아 등 병원미생물이 수돗물 중에 함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수처리기준의 준수여부 판단기준인 불활성화비의 계산요소인 수질측정값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수질 자동측정기의 성능기준이 필요하여 불활성화비 계산을 위한 주요 항목인 온도, pH, 탁도, 잔류염소 자동측정기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2. 탁도계
1.2.1. 탁도의 정의 및 성질
탁도는 물의 흐린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지표로서 빛의 통과에 대한 저항도이다. 탁도는 여러 가지 부유물질에 의해 발생하며 그 크기범위는 콜로이드 분산에서 굵은 분산질까지 다양하다. 호수와 같이 비교적 정체된 상태에 있는 물의 탁도는 대부분 콜로이드 분산과 같은 극히 미세한 분산질에 의하여 생겨나며, 하천수와 같이 흐르는 상태의 물속에서는 대부분 굵은 분산질에 의하여 생겨난다. 탁도를 유발하는 물질들은 순수한 무기물질부터 주로 천연의 유기물질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탁도를 발생하는 물질들의 이와 같은 상이성은 그 제거를 위한 정확한 기준의 설정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1.2.2. 탁도의 단위
탁도의 단위는 NTU (Nephelometric Turbidity Unit), PPM (Parts Per Million), FTU (Formazin Turbidity Unit), FAU (Formazine Atenuation Units), FNU (Formazine Nephelometric Units), ASBC (American Society of Brewing Chemist), JTU (Jackson Turbidity Unit), EBC (European Brewery Convention), TE/F (Tribungseinheit/ Formazine)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NTU는 Nephelometer를 사용하여 탁도를 측정하는 단위이며, 산란광과 탁도(계량화된량)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산란광의 측정은 입사광의 90도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먹는물 기준에서는 탁도를 NTU 단위로 측정하여 수질기준을 1NTU 이하로 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PPM은 Kaolin 표준탁도를 사용하여 극소 함유량의 단위로 측정하며, 도(˚)로도 나타낼 수 있다""
FTU는 포르마진 탁도 단위로 적외선 광원을 채택한 Nephelometer를 사용하여 탁도를 측정한다""
FAU는 수처리에서 사용하는 포르마진 광량감쇠 단위로 주로 0° 산란각에서 측정한 값으로 ISO 7027에 의한다""
FNU는 수처리에서 사용하는 포르마진 네펠로메트릭 단위로 주로 90。산란각에서 측정한 값으로 ISO 7027에 의한다""
ASBC는 미국 양조화학자 협회 단위이며, JTU는 잭슨 탁도 단위로 촛불 위에 놓인 메스실린더 내부의 액체 탁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측정한다""
EBC는 유럽양조협회 단위이고, TE/F는 독일 포르마진 탁도단위로 현재는 FNU로 대체되었다""
탁도 단위 상호간 환산값은 1 FNU, 1 NTU, 1 FTU = 0.057, 4 ASBC = 17.5, 1 EBC = 0.25, 0.014, 1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1.2.3. 탁도의 측정원리
빛이 순수한 물을 통과할 때, 빛은 상대적으로 방해받지 않는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나 순수한 유체 중에 부유하는 입자에 의해 빛이 산란할 때 약간의 비틀림이 발생한다. 입자의 크기, 모양, 색깔, 굴절률에 따라 빛과의 상호작용이 달라지며, 투사되는 광원과 입자크기의 관계에 따라...
참고 자료
정성분석”, 기계공학용어사전, 2021년 10월 11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20593&cid=50314&categoryId=50314
정량분석”, 과학용어사전, 2021년 10월 11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20640&cid=50314&categoryId=50314
네슬러시약”, 생명과학대사전, 2021년 10월 11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03413&cid=50314&categoryId=50314
염소는 살균제로 이용된다”, 학생백과, 2021년 10월 11일 접속,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26627&cid=47337&categoryId=47337
"수돗물 몇 시간 받았다 줘야할까? /잔류염소 테스트", 쥬디의집콕가드닝, 2021년 10월 11일 접속, https://blog.naver.com/lll8318lll/222533172305
“아이오딘적정”,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9913&cid=40942&categoryId=32255
“표백제”,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63116&cid=62802&categoryId=62802
“차아염소산칼슘”, 네이버 지식백과(물백과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5496&cid=60289&categoryId=60289
“아이오딘화칼륨”,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9923&cid=40942&categoryId=32392
“티오황산나트륨”, 네이버 지식백과(식품과학기술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97623&cid=60262&categoryId=60262
“녹말”,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85%B9%EB%A7%90
“교반기”, 네이버 지식백과(생명과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0659&cid=60261&categoryId=60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