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한국어 발음 교육 앱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한국어 발음 교육 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2. 한국어 학습 앱 분석
2.1. 듀오링고
2.1.1. 자모음 학습 순서
2.1.2. 영어식 억양과 단모음-장모음 오류
2.2. '펀 이지 런'
2.2.1. 자모음 발음
2.2.2. 단어 발음

3. 차이점 및 공통점

4. 문제점

5. 발음 교육의 교수용 테크놀로지와 향후 발전 방향

6. 결 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앱)의 발달과 코로나 세계 대유행으로 인한 비대면으로 외국어 학습은 큰 변화를 겪었다. 과거처럼 학원 등에서 원어민 강사를 직접 만나서 읽고 쓰고 듣고 말하던 방식에서 벗어난 비대면 외국어 학습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람이 아닌 AI 튜터와 함께 학습하는 앱까지 출시돼 큰 화제를 낳았다. 하지만 많은 외국어 학습용 앱은 미국 등에서 제작되며 다국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프로그램이 짜여지고 영어나 스페인어 등 수요가 많은 외국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의 경우 다소 학습 내용이 부실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앱 두가지, 듀오링고와 '펀 이지 런'의 한국어 기본 자모음과 간단한 단어 학습 과정에 나타난 한국어 발음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한국어 학습 앱 분석
2.1. 듀오링고
2.1.1. 자모음 학습 순서

듀오링고 영어 버전 한국어 초급 단계에서 제시된 자모음 학습 순서는 매우 이례적이었다. 가장 먼저 소개된 모음은 '오[오]'였는데, 이는 외국어 학습자에게 매우 낯선 제시였다. 일반적인 한국어 모음 학습 순서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 ㅐ, ㅒ, ㅔ, ㅖ, ㅘ, ㅙ...'인 것과 비교하면, 듀오링고의 자모음 제시 순서는 매우 독특했다. 그 다음으로 제시된 모음은 '고[고]'였으며, 이후 [아]→[가]→[나]→[두]→[우]→[누]→[어]→[더]→[야] 순으로 이어졌다. 특히 '야' 발음이 매우 특이했는데, 한국어에서 '야'는 [ㅣ]와 [ㅑ]가 이어지는 이중모음이지만, 듀오링고에서는 영어식 억양을 넣어 '야'의 소리 끝을 올리는 [야↗]로 제시했다. 이는 한국어 고유의 발음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1.2. 영어식 억양과 단모음-장모음 오류

이와 같은 영어식 한국어 발음은 [으]에서도 나타났다. 듀오링고에서는 '으' 발음을 매우 짧게 해서 음성학적인 특징을 인지하기가 어려울 정도였다. 그 결과 [으]가 아니라 [읏]까지 들릴 수도 있어 보였다. 더 큰 문제는 모음 제시 후 이어지는 변형에서는 소리의 길이가 달라졌다는 점이다. '으'는 매우 짧은 [으] 소리를 낸 다음 이어지는 '므'는 [므:]처럼 긴 소리를 냈다. 이렇게 소리의 길이가 다르게 제시될 경우 외국인 학...


참고 자료

유재희 기자, 듀오링고, 수익창출 본격화 기대…“매수” 이데일리, 2023.4.7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824&mediaCodeNo=257&OutLnkChk=Y
황재용 기자, “외국어 공부도 이제 비대면으로” 비즈월드, 2023. 6. 21 https://www.bizw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0224
한류 문화의 확산과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 관계 연구, 손진우,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K팝·K드라마 다음은?…CNN "한류열풍에 한국어도 인기", 윤종석, 연합뉴스 (2023.01.18.), https://www.yna.co.kr/view/AKR20230118126000009
한국어 자모의 교수 설계, 서경숙, 우리어문연구, 32, 35-63, 우리어문학회 (2008).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글 자모 및 발음 교수 방안 연구, 윤서진, 한서울대학교 북지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언어 학습 애플리케이션 시장, Business Reaarch Insights (2024), https://www.businessresearchinsights.com/ko/market-reports/language-learning-application-market-102456
한국어 디지털 교재 개발에 관한 소고, 김민영,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2(4), 441-463,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바른소리, 국어국어원 (2004), https://www.korean.go.kr/hangeul/cpron/main.htm
박기영(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발음교육론 강의교안, 배움원격평생교육원
서울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국어교육연구소,언어교육원(2017),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2, 아카넷
구글 플레이(https://play.google.com)/세종학당 회화학습 초급/중급
구글 플레이(https://play.google.com)/구구절절 APP - 구화교육, 발음 교정, 한국어 학습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