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개요
1.1. 정의 및 특징
골관절염은 관절의 가장자리 뼈 형성과 함께 관절 연골 표면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관절면의 뼈가 과밀하거나 과잉증식됨에 따라 관절의 간격이 좁아져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는 질병이다. 주로 체중부하를 많이 하는 무릎관절이나 고관절에서 호발하며, 관절면의 연골이 점진적으로 파괴되어 관절 간격이 좁아지고 뼈 표면이 노출되면서 통증, 강직, 변형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골관절염은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가 주된 원인이지만, 외상이나 대사성 질환,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점진적인 파괴와 관절 구조의 변형으로 특징지어지는 만성 퇴행성 관절 질환이다.
1.2. 유병률 및 역학
류마티스 관절염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 인구의 약 0.8%에게 이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약 0.5-1%의 유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고령 인구가 늘어나고 있어 고령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많은 노인 인구가 고통받고 있다"".
1.3. 원인 및 위험요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 및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유전적인 소인을 가진 사람이 흡연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나 치주염과 같은 감염원에 노출되어 나타나는 면역 반응의 표현일 것이라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유전적 소인의 증거로는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는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한 사람에게서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하게 되면 30-50%에서 다른 쌍둥이에게서도 류마티스관절염이 발생하게 되는 발생 일치율을 보이게 된다. 또한 유전자 중 HLA-DRB1, DR4라는 유전자가 있는 경우, 류마티스관절염이 더 잘 발생하는 것을 보면 유전적 소인의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흡연이라던지 치주염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나 감염에 노출되면 항-CCP 항체라고 하는 자가항체가 만들어지고 이 자가항체는 관절의 활막을 공격하여 관절염을 유발할 뿐 아니라 전신적인 증상을 초래하게 된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염 요인으로 세균, 바이러스 등의 감염이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환경적 요인으로는 흡연, silicate 노출, 커피, 비타민 D, 차, 임신 등이 류마티스 관절염과 어느 정도 연관성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 중 흡연이 유일하게 분명하게 연관성이 밝혀진 요인이다. 이외에도 약물 사용, 대사성 질환, 혈액학적 질환 등이 류마티스 관절염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2. 임상 증상
2.1. 관절 증상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 증상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지속적인 활막의 염증으로 인해 관절이 파괴되고 관절 주위 조직의 비가역적인 손상을 유발하여 관절의 변형과 운동 장애를 초래한다"" 일반적으로 침범된 관절의 강직과 관절 사용의 장애를 보이고, 만져보면 통증을 호소하며 부종도 동반된다""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은 손, 손목, 무릎, 발, 발목 등의 관절을 주로 침범한다"" 손목 관절에 만성적인 활막염이 발생하면 관절낭과 인대 등의 관절 내 구조물이 느슨해져 관절 변형이 초래된다"" 손가락 관절에서는 중수지관절과 근위지관절이 흔히 침범되며, 중수지관절낭의 약화로 인해 손가락이 손바닥 쪽으로 이동하는 백조목변형, Boutonniere 변형, Zigzag 변형 등의 다양한 변형이 나타날 수 있다""
팔꿈치 관절 침범 시에는 만져질 정도의 활막 증식과 굴곡 장애가 동반되며, 어깨 관절 침범 시에는 압통, 야간 통증,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발목 및 발 관절 침범 시에는 중족지관절과 발목 관절에 주로 활막염이 생겨 보행에 큰 불편을 초래한다"" 심한 경우 발바닥에 궤양과 만성적인 피부 누공이 생길 수 있다""
무릎 관절 침범 또한 흔한데, 관절 내 활막액 또는 활막염으로 인해 대퇴근육의 위축과 관절 운동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관절염으로 인한 인대 손상이나 연골 파괴는 관절 불안정성을 유발하여 내외반 무릎과 같은 변형을 초래한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17-86%에서 경추 침범이 나타나며, 이는 질병 유병 기간, 다발성 관절 침범, 류마티스 결절, 혈관염 등과 관련이 있다"" 경추의 탈구는 장기간의 심한 말초 관절염을 앓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비교적 흔하게 관찰된다""
이처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는 다양한 관절 증상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관절 파괴와 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