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주지역의 정낭이 정보로써의 가치를 지니는지를 토론하고, 다른 지역에서 이와 유사한 사례가 있는지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거버넌스의 개념과 유형
2.1. 기업지배구조
2.2. 신공공관리론
2.3. 좋은 거버넌스
2.4. 국제적 상호의존성
2.5. 수평적 네트워크
3. 거버넌스 사례 분석
3.1. 제주 해군기지 건설 갈등
3.2. 갈등해소 방안
4. 기업의 공유가치와 기업문화
4.1. 카카오 그룹 소개
4.2. 카카오의 공유가치
4.3. 카카오의 기업문화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과거 정부(Government)가 사회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라는 인식은 사라진 지 오래다. 오히려 정부에 대한 불신을 넘어 정부가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혹은 정부가 사회문제 자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사람들은 정부를 대체할 만 한 새로운 개념을 갈망하게 되었다. 그러한 흐름 속에 거버넌스(Governance)는 '새로운 무엇인가'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사람들의 갈망과 더불어 사회 전반에 급속도로 퍼져 현재는 분야를 막론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가장 많이 쓰이는 친숙한 개념이 되었다. 하지만 애초에 거버넌스 라는 단어 자체가 새로운 단어가 아니었으며 기존의 사전적인 의미를 넘어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지기 때문에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의 모호함으로 인해 어떤 명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현재는 거버넌스 열풍을 넘어 무분별하게 오, 남용 되는 이른바 '거버넌스 신드롬'으로 인해 오히려 부정적인 인식까지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는 문헌 자료나 언론 보도에 나와 있는 다양한 거버넌스의 사용례를 Rhodes가 정의한 개념에 대입해 분석하여 앞으로 올바르게 추구해야 할 거버넌스의 개념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2. 거버넌스의 개념과 유형
2.1. 기업지배구조
기업지배구조는 "기업 경영의 통제에 관한 시스템으로 기업 경영에 직접·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주주·경영진·근로자 등의 이해 관계를 조정하고 규율하는 제도적 장치와 운영기구를 말한다. 즉 기업의 소유구조뿐 아니라 주주의 권리·주주의 동등 대우·기업지배구조에서 이해관계자의 역할·공시 및 투명성·이사회의 책임 등을 포괄하고 있다. 그동안 선진국에서는 우수한 기업지배구조가 기업경쟁력의 원천이며, 장기적인 경제성장의 기본요건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어 왔으나 경제와 자본시장의 국제화가 가속화되면서 건전한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국제규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최근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경제협력개발기구)는 '기업지배구조의 기본원칙'을 마련하였는데, 영·미식 기업지배모형인 주주자본주의를 중심으로 주주 이익 중시·이사회 활성화·자본시장의 역할 제고 등을 주요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주주의 권리 강화·이사회 활성화·감사기구 활성화·이해관계자 권리 보호·시장에 의한 경영 감시 등을 기본 골격으로 개선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이다.
2.2. 신공공관리론
신공공관리론은 신자유주의의 흐름과 함께 공공부문에도 민간부문의 경영방식, 조직관리방식, 시장의 경쟁원리 등을 도입하여 효율성을 추구하여야 한다는 패러다임이다. 공공부문의 각 조직에 자율성을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며, 관료간 또는 기관간 경쟁을 강조하고, 국민을 고객으로 파악하여 고객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의 거버넌스는 협치, 소통, 개방, 공유, 참여 등을 강조하는 네트워크적 의미의 뉴거버넌스보다는 '공공부문의 조직과 인사를 경영하고 운영하는 방식, 기법' 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즉 넓게 보면 국정운영방식을 뜻한다.
이러한 의미로 최근 현실에서 '거버넌스'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예로는 IT거버넌스, 기업거버넌스, 정보보호 거버넌스 등이 있다. IT거버넌스는 IT자원과 정보기술을 통해 조직의 경영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계획을 개발하고 통제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기업거버넌스는 회사에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이해를 조정하고 회사의 의사를 결정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정보보호 거버넌스는 정보보호 전략이 비즈니스목표와 연계되고 이의 달성을 지원하며, 정책과 내부통제를 통해 관련 법규와 규정을 준수하는 것을 보장하고, 책임을 할당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와 이를 위한 경영구조 및 프로세스를 수립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신공공관리론에서의 거버넌스는 공공부문의 조직과 인사를 경영하고 운영하는 방식, 기법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공부문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2.3. 좋은 거버넌스
거버넌스 개념 중 '좋은 거버넌스'는 체제, 정치, 행정의 3가지 차원에서 바람직한 거버넌스가 존재해야 함을 의미한다. 체제 차원에서는 정치적, 경제적 권력이 적절히 배분되어 있어야 하고, 정치 차원에서는 민주적 정당성과 권위가 존재해야 하며, 행정 차원에서는 효율적이고 공개적이며 책임성 있는 공공...
참고 자료
수원시청 홈페이지 정책알림방 2014.07.03.
http://www.suwon.go.kr/web/board/BD_board.view.do?seq=20140703102718451&bbsCd=1044&pageType=&showSummaryYn=N&delDesc=&q_currPage=1&q_sortName=&q_sortOrder=&q_rowPerPage=10&q_searchKeyType=TITLE___1002&q_searchKey=&q_searchVal=
수원인터넷뉴스 “더 큰 수원 시정혁신단, ‘거버넌스기구 합리화’등 시정혁신 과제 제시” 2014.09.01.
http://http://swinews.com/ArticleView.asp?intNum=10240&ASection=001001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블로그. "Exposure visit to Cambodia"
이강원 경실련 갈등해소센터 소장 2011.04.28.http://blog.daum.net/ccej89/18324693
보안뉴스 “ 한국, ‘인터넷 거버넌스’ 마저 뒤처지나?” 2014.09.03.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2829&kind=2
“서울ODA국제회의 개막… “굿거버넌스는 성장 전제조건””, <연합뉴스>, 2014.09.0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1000
“윤창현 원장 “낡은 인프라 대체 투자 ‘안전금융’이 뒷받침해야””, , 2014.08.07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074590
World Bank Group 홈페이지, WGI (http://info.worldbank.org/governance/wgi/index.aspx#home)
UN거버넌스센터 홈페이지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2953&kind=2
김정덕, 「정보보호 거버넌스 개념과 해외 동향」, 2009.10, 731-738
제주의 소리 “풍력산업, 제주 토종 자본으로 육성하려면...” 2014.08.18.
http://www.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no=150779
[네이버 지식백과] 기업지배구조 [corporate governance, 企業支配構造] (두산백과)
중앙과 지방 간 교육정책 갈등 해소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공공갈등관리 사례분석과 외국의 공공갈등관리제도 조사, 국회예산정책처, 2014.09
공공갈등과 정책조정 연구, 정용덕, 행정논총 제48권 제4호, 2010.12
서울시 공공갈등관리 사례연구, 정책토론회 자료집, 2005
플랫폼 기업 전략 (21세기 경제를 지배하는 독점기업) 알렉스 모아제드, 니콜라스 존슨 저 | 이경식 역 | 세종연구원 | 2019.09.27
O2O 박진한 저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6.05.30.
기업문화, 경영을 말하다 박종민 저 | 북랩 | 2019.01.25.
DBR 244호 [공유와 신중헌 몰입도 높은 수평조직 만들다]
프로덕트 오너(조직을 성공으로 이끄는) (PO가 말하는 애자일 혁신 전략) 김성한(작가) 저 | 세종서적 | 202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