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울혈성 심부전
1.1. 정의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기능이 장애가 발생하여 인체의 대사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상적인 충분한 압력으로 적절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부전 증상을 말한다. 울혈성 심부전은 대부분 정맥계 울혈로 인한것이며 심근장애, 심실의 수축력장애, 심한 전해질 장애, 리듬장애에 의해 발생된다.
1.2. 발생 원인
1.2.1. 외적 원인
외적 원인에는 심장의 후부하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있다. 고혈압이 대표적인 예로, 고혈압으로 인해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량이 증가하고 심장에 부담이 가중된다. 이외에도 판막질환, 선천성 심질환 등이 심장의 후부하를 높여 울혈성 심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고혈압이 지속되면 심실 내 압력 및 용적이 증가하게 되어 심근이 신장되고, 이로 인해 보다 강한 압력의 수축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지속적인 과부하는 심근기능의 저하를 초래하여 결국 심부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처럼 비정상적인 후부하는 심실 내 혈액량을 증가시키고 심근이 신장되게 만들어 일회 박출량의 증가를 야기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심근기능 저하를 초래하여 심부전이 발생하게 된다.
1.2.2. 내적 원인
울혈성 심부전의 내적 원인은 다음과 같다.
관상동맥질환은 가장 흔한 내적 원인이다. 관상동맥 내 혈류가 감소되어 심근으로의 산소공급이 저하되면, 산소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한 심근세포는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심부전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급성 심근경색 역시 중요한 내적 원인이다. 심근경색 발생 시 심근이 혈액을 공급받지 못하면 조직이 괴사되면서 수축을 할 수 없게 되어 심부전이 초래된다.
그 밖에도 판막 질환, 심근증, 부정맥 등의 기질적 심장질환들도 울혈성 심부전의 내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질환들은 심실의 수축 기능을 저하시켜 심부전을 야기한다.
선천성 심질환, 즉 선천적으로 심장에 결손이 있는 경우에도 울혈성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심실중격결손과 같은 선천성 심장 이상은 가장 대표적인 내적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관상동맥질환과 급성 심근경색, 그리고 여러 기질적 심장질환 및 선천적 심장 결손 등의 내적 요인들이 울혈성 심부전의 주요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1.3. 병태생리
1.3.1. 좌심부전
좌심부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혈액이 좌심실에서 체순환으로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로 인해 좌심방과 폐정맥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점차 폐에 혈액이 울혈되면서 폐부종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좌심실의 수축력 저하나 확장 장애로 인해 혈액이 효과적으로 체순환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말초 조직으로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좌심방과 폐정맥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폐혈관 압력이 상승하고, 폐 조직으로의 체액 여과가 증가하면서 폐부종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좌심실의 이완기 기능 장애로 인해 충분한 양의 혈액이 좌심실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어, 심장으로 유입되는 정맥혈의 정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말초 정맥압이 상승하게 되고, 하지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좌심부전으로 인해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조직 및 장기의 대사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폐 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호흡 곤란, 전신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1.3.2. 우심부전
우심부전은 혈액을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효과적으로 박출할 수 없으며, 우심방과 체정맥 압력이 증가하는 상태이다. 그 결과 체정맥 고혈압이 발생하게 되어 간비종대를 일으키고, 때때로 부종을 초래한다.
우심부전이 발생하면 혈액이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우심방 압력이 상승하고 체정맥계의 혈액이 역류하게 된다. 체정맥계의 혈액 역류는 간비 종대, 복수, 하지부종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특히 간비 종대의 경우 간으로 혈액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현상이다. 또한 체정맥계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부종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우심실의 펌프 기능 저하로 인한 것으로, 우심부전의 대표적인 증상들이라고 할 수 있다.
우심부전은 좌심부전과 달리 주로 우심실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한다. 우심실의 수축력 저하, 폐동맥 고혈압, 삼첨판 역류 등이 우심부전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병태생리적 변화로 인해 우심실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면 체순환의 정상적인 유지가 어렵게 된다.
결과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