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관상동맥 우회술(CABG)
1.1. 정의 및 특징
관상동맥 우회술(CABG)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이나 혈전, 혈관 수축 등으로 인해 심하게 좁아져서 발생하는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을 치료하는 수술이다.
이 수술은 협착된 관상동맥의 원위부에 다른 동맥이나 정맥을 이식하여 우회로를 만들어 심근으로의 혈류 공급을 개선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보통 환자 몸에서 떼어낸 내흉동맥, 대복재정맥, 요골동맥 등을 이용하여 우회로를 만든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혈관의 개통률이 높고 심장관련 합병증 발생률이 낮아 관상동맥질환의 표준적인 수술 치료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관상동맥 질환의 주요 원인은 동맥경화증이다. 동맥경화증은 혈관벽에 콜레스테롤과 지질이 축적되어 혈관이 좁아지고 경화되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심장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줄어들어 협심증 및 심근경색이 발생하게 된다.
관상동맥 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조절 불가능한 요인과 조절 가능한 요인이 있다. 조절 불가능한 요인에는 유전, 인종, 연령, 성별이 있으며, 조절 가능한 요인에는 동맥경화증, 고혈압, 흡연, 고지혈증, 당뇨,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다. 백인, 40대 이상, 남성일수록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이 높으며, 개인의 생활습관과 건강 관리 여부에 따라 질환 발생 위험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1.3. 진단 및 검사
관상동맥 질환의 진단 및 검사는 다음과 같다.
혈액검사 및 소변검사를 통해 CBC, Urinalysis, Cardiac Enzymes, CRP, ABGA, 전해질, 응고검사 등을 확인한다. 특히 급성 심근경색증이 있을 경우 CK-MB, Troponin T, I, Myoglobin 수치에서 변화를 볼 수 있다.
혈역학적 검사로 CVP, PAWP, Cardiac Output 등을 평가한다.
흉부 X-ray를 통해 심장의 크기와 윤곽을 확인할 수 있다.
관상동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은 심실조영술을 포함하며, 관상동맥의 구조와 협착 부위 및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심실조영술로 심실의 기능과 박출계수(Ejection Fraction, EF)를 측정할 수 있다. EF는 좌심실의 기능을 반영하며 50-70%가 정상, 40-50%는 경도, 30-40%는 중증, 30% 미만은 심한 기능 저하를 나타낸다.
심전도(EKG)를 통해 심박동수 및 심장 리듬을 파악할 수 있으며, 24시간 Holter monitoring, exercise EKG 등의 검사를 추가로 시행할 수 있다. 다만 exercise EKG는 불안정 협심증, 급성 심근경색 등 불안정한 심장 상태에서는 금기이다.
그 외에도 CT, Echocardiography 등의 검사를 필요에 따라 시행할 수 있다.
1.4. 치료
1.4.1. 약물요법
관상동맥 우회술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약물요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협심증 및 심근경색 예방과 증상 완화, 합병증 예방 등을 위해 다양한 약물들이 처방된다.
먼저, 항혈소판제가 많이 사용되는데, 아스피린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 생성을 막는다. 특히 관상동맥우회술 후 스텐트 혈전증 예방에 사용된다. 클로피도그렐, 티클로피딘 등의 P2Y12 수용체 억제제도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이들 약물은 스텐트 삽입술이나 우회술 후에 장기간 복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혈관확장제인 질산염제제가 사용된다. 니트로글리세린은 혈관을 확장시켜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감소시키고 관상동맥 혈류를 증가시킨다. 응급 시 설하 투여하여 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