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관리학실습 문제해결 과정
1.1. 사례 1
사례 1에서 A 간호사는 아침 투석을 준비하면서 "오늘 필요하신 거 있으세요?"라고 환자에게 물었지만, 환자의 얼굴을 보지 않고 "영양제는 비 급여 항목이라서 보험이 되지 않습니다."라고 설명하였다. 이후 환자가 비 급여 항목에 대해 문의하자 바쁘다며 다른 환자에게 가버렸다. 나중에 원무과에서 환자가 비 급여 항목에 대해 문의하자 A 간호사는 자신이 이미 설명했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환자에게 충분한 설명을 해주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다시 환자를 불러 설명을 해주어야 했던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는 A 간호사의 부적절한 의사소통기술과 관련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1.2. 사례 2
환자에게 간호서비스 시행 후 손상성 폐기물에 주삿바늘, 봉합바늘과 같은 유리 재질의 시험 기구를 폐기하지만 오염된 알코올 솜과, BST Stick도 함께 폐기하는 모습이 관찰됨"이다. 이는 병동 내 의료인들이 폐기물 분리수거 방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여 발생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알코올 솜과 BST Stick은 일반 의료폐기물로 분류되어야 하지만 이를 손상성 폐기물에 함께 버리는 등 폐기물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비효과적인 자원관리와 관련된 간호관리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린넨 불출실 출입문에 '환의나 이불은 간호사에게 문의하시오.'라는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환자들이 간호사에게 문의하지 않고 들어가서 무단으로 린넨(환의)을 불출해 가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이다. 이는 간호자원인 린넨의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환자와 보호자들이 무단으로 린넨을 불출해 가는 등 간호자원에 대한 관리가 미흡하여 발생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산소 유량계 분실로 인해 리스트 재점검과 타 병동 문의 및 탐색으로 인한 업무 지체"가 관찰되었다. 이는 간호물품 관리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산소 유량계가 분실되어 이를 찾는데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 것이다.
종합하면, 사례 2에서는 폐기물 분리수거 방법 미숙지, 간호자원(린넨)의 관리 미흡, 간호물품의 관리 부족 등 비효과적인 자원관리와 관련된 간호관리 문제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이다.
1.3. 간호관리 문제 목록
우선순위 간호관리문제 관련요인
1 부적절한 질적간호
- 손위생 부족
- 환자에 대한 설명부족
- 환자확인절차 미흡
- N95 마스크 및 격리 가운의 착용 미흡
2 비효과적 자원관리
- 폐기물 분리수거 방법 미숙지
- 간호자원(린넨)의 관리 미흡
- 간호물품의 관리 부족
이는 병동에서 관찰된 문제점들로, 간호사들의 부적절한 질적 간호와 자원관리의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1.4. 간호관리과정
1.4.1. 전반적 관리현황 파악
전반적 관리현황 파악은 간호관리과정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단계로, 해당 간호단위의 물리적 구조, 인력 구조, 간호목표, 관리목표와 현재관리현황 등 다양한 요소를 파악하는 것이다.
OO병원 동관 8병동의 경우, 총 49개의 병상을 가지고 있으며 7인실, 6인실, 5인실, 2인실, 1인실 등 다양한 규모의 병실이 있다. 복도에는 hand rail이 설치되어 있고 휠체어, 의자, 체중계, 체온계 등이 비치되어 있다. 승강기는 총 4대가 있고, 남녀 탈의실과 환자 및 보호자 휴게실이 마련되어 있다. 병동 화장실은 1인용으로 운영되고 있다.
인력 구조는 수간호사 1명, 선임주임 1명, 주임 4명, 주임대우 1명, 간호사 16명, 간호조무사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팀 간호방식을 기본으로 하되 기능적 분담방식을 병행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원형 평가를 통해 환자를 3가지 군으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
병동의 간호목표는 직무능력 향상, 안전한 환자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