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브라운 아이드 소울 정규 4집 앨범 마케팅 전략
1.1. 가수 소개
브라운 아이드 소울(Brown Eyed Soul)은 국내에서 최고의 보컬리스트 중 하나인 나얼을 필두로 영준, 정엽(리더), 성훈이라는 4명의 멤버로 이루어진 남성 R&B, 소울 음악 그룹이다. 이들은 아이돌 위주의 댄스음악과 힙합 음악이 주류를 이루는 현 대한민국 가요계에서 십 수 년째 정통 R&B, 소울 장르를 개척하고 있는 선구자들이다. 윤건의 탈퇴로 인해 '브라운 아이즈(Brown Eyes)'가 해체되면서 나얼은 본인을 필두로 나머지 3명의 멤버를 모아 브라운 아이드 소울을 결성하였으며 2003년에 발매한 첫 앨범 'Only You'를 발매한다. 1집 타이틀곡 '돌아와요 사랑하는 내 맘'은 당시 음원 차트 상위권에 오랫동안 자리잡았으며, 음악방송에 1위를 이루는 성공적인 데뷔를 하게 된다. 당시 1집 앨범은 가요 앨범 시장이 점차 음원 위주의 시장으로 전환되어감에도 불구하고 40여만 장이 팔리는 높은 판매고를 보였다. 이후 멤버 각자의 솔로 활동에 매진하다 1집 발매로부터 4년 후인 2007년에 정규 2집 앨범 '너를'을 발매한다. 하지만, 4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음원 시장은 디지털 음원 위주의 소비 시장으로 급격하게 변하였으며 당시의 앨범 판매량은 7000여장밖에 팔리지 않은 상업적 실패를 거둔다. 하지만 타이틀곡 '너를'은 이후 라이브 콘서트에서 중요한 노래로 자리를 잡으며 인기를 끄는 데에 성공했다. 또한, 나얼은 2008년 3집 앨범으로 재결합한 브라운 아이즈의 3집 앨범 '연가'는 아이돌 위주의 음악계과 디지털 음원 위주의 소비 시장이 개편됨에도 불구하고 6만여 장이라는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2집 발매 이후, 그들은 세 장의 더블 싱글 앨범을 발매하면서 3년 후인 2010년에 정규 3집 앨범 '준비된 하루'를 발매한다. 앨범 발표 당일 기존에 공개한 곡들을 포함하여 음원 차트 상위권 순위를 도배하였으며 방송출연이 전무함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인기 걸그룹 카라의 '미스터'와 경쟁을 하며 정통 보컬 그룹의 저력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5년 후인 2015년 말에 팬들이 학수고대하던 정규 4집 앨범이 발매되었으며 또 다시 그들은 여러 음원 차트 상위권 순위를 도배하였다. 이들의 대표곡으로는 'My Story', 'My Everything', '오랫동안 고맙도록', 'HOME', '밤의 멜로디', '너를(You)', 'Always Be There' 등이 있으며, 2016년 지금 그들은 다양한 라디오 활동과 멤버 각자의 솔로 앨범 발매를 통해 그들의 존재를 끊임없이 드러내고 있다.
1.2. 마케팅 목표
1.2.1. 마케팅 대상 제품
브라운 아이드 소울의 정규 4집 앨범은 200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계속 활동해오면서 귀에 익은 여러 곡들을 들려줌과 동시에 새로운 수작들이 절묘하게 배치하였기에 브라운 아이드 소울의 10여 년 동안의 행적을 알려주는 앨범이다. 이번 4집 앨범은 기존의 정규 앨범들과는 다르게 'HOME'과 '밤의 멜로디'라는 두 개의 타이틀 곡으로 이루어진 첫 번째 더블 싱글 정규 앨범이다. 이 두 음악은 R&B, 소울 음악과 발라드의 서로 다른 매력을 부각시켜 기존의 팬들로 하여금 더욱 소장가치를 자극할 수 있다.
1.2.2. 마케팅 목표
현재 음반시장 상황은 암울하다고 할 수 있다. 음반만 냈다 하면 10만여 장은 찍을 수 있던 90년대 후반과는 달리 2000년대에서 2010년대로 시간이 지날수록 디지털 음원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음반 시장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음원 시장이 강세를 보이는 이 상황 속에서 이번 마케팅 목표로 정규 4집 앨범을 10만 장 이상을 파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기존의 정규 2집 앨범이 7000여장밖에 팔리지 않은 것과 브라운 아이즈의 3집 앨범이 6만여 장이 판매되었다는 점과 비교하면 어려운 상황이다. 2000년도 기준으로 해외 메이저사 음반의 경우 50만장 이상, 국내 대기업 음반사 음반의 경우 10만장(제작 비용 + 마케팅 비용 = 5억), 인디음반은 3,000장(제작 비용 1,500만원)을 넘을 경우 손익분기점에 도달한다고 한다. 현재, 브라운 아이드 소울의 4집 앨범의 음반사는 이전의 브라운 아이드 소울의 음반사였던 갑엔터테인먼트와 같은 중·소규모 음반사가 아닌 대기업 규모의 CJ E&M이다. 즉, 손익분기점을 우선 넘기는 것이 이번 마케팅의 목표이다.
1.3. 환경 분석
1.3.1. 외부 환경 분석
1.3.1.1. 시장분석
브라운 아이드 소울 정규 4집 앨범의 시장분석은 다음과 같다.
현재 대한민국 가요계는 지난 2000년대부터 이어져 온 아이돌 댄스 가수들의 음악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2010년도를 기점으로 '아메바 컬쳐'의 활동과 함께 힙합과 R&B, 발라드 위주의 실력파 가수들이 강세를 보이게 되었다. 특히 힙합 분야에서는 슈프림 팀(Supreme Team)의 활발한 방송 활동으로 서태지와 듀스 이후로 마이너 문화로 분류되던 힙합이 다시 주류 문화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 중반부터 일어난 발라드 붐으로 인해 R&B Soul, 발라드와 같은 계열의 음악들이 다시 대중들에게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음악시장의 변화는 노래방 문화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기존 아이돌 음악 자체가 랩과 보컬, 댄스가 혼재되어 있어 노래방에서 부를 때 부자연스러움을 느꼈던 노래방 애창자들이 발라드 붐이 일던 2000년 중반에 있었던 노래들을 자주 불렀으며, 가창력을 자랑하기 위해 음역대가 높은 노래들을 찾아 노래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와 같은 오디션 프로 열풍으로 화려한 댄스가 혼합된 음악이 아닌, 발라드나 R&B와 같이 자신의 가창력을 드러내는 노래가 인기를 얻게 되었다.
최근 노래방 시장은 한국콘텐츠진흥협회에서 보는 음악시장의 정의에 따른 국내 음악시장의 규모가 3조 9949억원이며 이 중에 노래방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은 1조 5118억원인 것을 감안하면 노래방 인기순위가 가지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음반 산업은 초기 투자비용이 높은 반면, 복제비용이 저렴하여 대량생산단계에 들어서면 단위당 생산비용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음반 재화는 영상재화와 달리 여러 단계의 유통단계를 거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영업 리스크가 더욱 높은 편이다. 즉 음반판매량이 일정수준을 상회할 경우 수익창출효과가 큰 고위험/고수익 사업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음반 산업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면서 현재 음반 시장의 규모는 1990년대와 비교하였을 때 점점 그 규모가 축소되는 추세인 것이다.
1990년대 후반만 하더라도 음반만 냈다 하면 10만여 장은 찍을 수 있었지만, 2000년대에서 2010년대로 시간이 지날수록 디지털 음원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음반 시장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나마 지금 있는 음반 시장 중에서도 대형 기획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2/3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3000억대 후반을 맴돌던 국내 음반시장의 규모는 2010년대에는 800억대로 급감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디지털 음원의 시장은 이미 2007년에 4000억대를 돌파하였다.
이처럼 대한민국 음악시장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브라운 아이드 소울의 정규 4집 앨범 역시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