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과 동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물매개치료 개요와 효과 기전
1.1. 동물매개치료의 정의
1.2. 동물매개치료의 기대효과
1.3. 다른 대체요법과의 차별성
1.4. 동물매개치료의 효과가 일어나는 기전
1.5. 동물매개치료에 의한 사회적 및 경제적 이점
2. 인간의 역사 속 동물의 의미
2.1. 인간의 역사와 동물
2.2. 가축의 기원
2.3. 가축의 목적
2.4. 가축화 된 동물의 종류
2.5. 인간생활과 동물의 기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물매개치료 개요와 효과 기전
1.1. 동물매개치료의 정의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AAT)란 심리치료의 한 분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감정이 있고 따뜻한 체온이 있는 동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부족한 기능을 향상시켜주고,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동물매개치료는 도우미동물이 중재되어 대상자의 심리상담이나 재활치료의 효과를 얻기 위해 전문가인 동물매개심리상담사가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며 효과를 평가하는 전문적인 보완대체의학적 치료 행위이다.
1.2. 동물매개치료의 기대효과
동물매개치료의 기대효과는 도우미적 효과, 사회적 효과, 신체적 효과, 인지적 효과, 정서적 효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도우미적 효과는 신체적인 장애인들의 일상생활 속 불편을 덜어주고 도움을 주는 장애인도우미견을 통해 나타난다. 장애인도우미견은 장애인들의 불편한 일상생활을 해소하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교류를 돕는 가교적 역할을 한다.
사회적 효과로는 동물과의 상호작용이 의사소통이나 사회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좋은 상담역할을 해주고, 조건 없는 사랑과 친화력 습득, 공동체의식 향상, 긴장 완화 및 사회적 접촉 확대 등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의사소통과 사회기술이 향상되고 친화력을 습득하며 공동체 의식이 향상되는 등의 사회적 효과가 두드러진다.
신체적 효과로는 동물과의 놀이, 관리 등을 통한 소근육과 대근육의 운동과 발달 촉진, 운동량이 부족한 사람들의 규칙적인 생활 형성을 통한 건강 증진 등이 있다. 이를 통해 특히 노약자들의 심장질환이나 고혈압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인지적 효과로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 기억력 향상, 언어발달에 효과적이라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동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의 인지능력이 활발해지고 치매 노인의 인지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정서적 효과로는 동물과의 교감을 통한 심리적 안정과 즐거움, 기분 개선 및 흥미 유발 등을 들 수 있다. 동물과 함께하면 분위기가 바뀌어 기분이 좋아지고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동물매개치료를 통해 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향상, 카타르시스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동물과의 교감을 통해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증진하고 현실생활에서 표출하기 어려운 감정을 표출할 수 있게 된다.
종합해보면, 동물매개치료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인지적 측면에서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장애인, 노인, 아동 등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 다른 대체요법과의 차별성
다른 치료 요법 미술, 음악, 놀이, 산림, 원예 및 동물매개치료까지 심신적인 안정을 주고 삶을 보다 더 편안하게 만들어 주는 것은 틀림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동물매개치료는 위 다른 치료들과는 다르게 그림이나 음악 등 다른 치료와는 달리 생명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하는 점, 생명과의 행동 및 교감을 통해 보여지는 반응이 확연히 다르기에 다른 치료들보다 보다 나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 다른 대체 요법보다 무조건 뛰어나다는 것이 아닌 치료 목적 혹은 그 의...
참고 자료
https://ko.m.wikipedia.org/wiki/동물_매개_치료
http://hirawebzine.or.kr/8109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나래> 16년 5월호, 글: 김옥진 교수님
http://hirawebzine.or.kr/848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나래> 16년 7월호, 글 : 김옥진 교수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85144 MK뉴스
한국동물매개치료협회 (http://www.kaatwa.org/)
인간과동물. 동일출판사. 2014. 362-387page
신정인, 강영걸. (2016). 동물매개치료(AAT: Animal-Assisted Therapy)에 대한 이해와 상담 적용적 함의.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5(1), 191-214.
서울대학교 병원(https://tv.naver.com/snuh)
[네이버 지식백과] 놀이 치료 [play therapy]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네이버 지식백과] 산림 치유 [forest therapy] (상담학 사전, 2016. 1.)
[네이버 지식백과] 원예 치료 [horticulture therapy] (상담학 사전, 2016. 1.)
김옥진. (2013). 동물매개치료 분야에서의 수의사의 역할, 대한수의사회(대한수의사회), 369-371
김옥진. (2015.08.24.). dailyvet, http://www.dailyvet.co.kr/news/etc/48180
김옥진. (2015.02.17.). https://www.dailyvet.co.kr/news/animalwelfare/38835
이종주. (2019.01.25.).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233785&part_idx=197
황순원. (2021.10.19.).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672095
이예지 기자. (2015.10.10.). https://www.news1.kr/articles/?2454132
권태호 외, 『환경생태학』, 라이프사이언스, 2012.
임동주, 『인류역사를 바꾼 동물과 수의학』, 마야, 2018.
이효원, 『축산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