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사배치
1.1. 배치의 의의
배치(placement)는 선발된 종업원을 기업 내의 각 직장에 배속시켜 직무를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고려할 사항은 적재를 적소(the right person for the right job)에 배치하는 원칙이다. 즉, 선발이 획득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지원자의 채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라면, 배치는 그 선발된 종업원을 기업 내에서 적절한 직무에 배치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조직의 원활한 운영과 개인의 업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인사관리 기능이다.
1.2. 적정배치
1.2.1. 직무요건
직무요건이란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종업원에게 요구되는 신체적·정신적 자질을 의미한다. 직무요건은 직무분석을 통해 파악되며,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능력, 성격 등의 요건을 구체화한 것이다.
직무요건은 크게 신체적 요건과 정신적 요건으로 나눌 수 있다. 신체적 요건에는 건강상태, 감각능력, 운동능력 등이 포함되며, 정신적 요건에는 지적능력, 창의력, 판단력, 성격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객실메니저의 직무요건에는 고객 응대 능력, 문제해결 능력, 스트레스 관리 능력 등이 요구된다. 또한 조리사의 경우 위생관리 능력, 요리 기술, 신속성 등의 요건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직무요건은 각 직무마다 상이하며,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직무에 부합하는 인적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적정배치를 위해서는 직무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직무요건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인적자원을 선발·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1.2.2. 인적요건
인적요건이란 종업원이 맡은바 직무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신체적 ∙ 정신적 특성과 교육적 ∙ 경제적 배경 등을 뜻한다. 즉, 적정배치를 위해서는 직무요건과 더불어 인적요건을 명확하게 판단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인적요건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포함된다. 첫째,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경험 등의 능력 요건이다. 둘째, 직무 수행에 필요한 신체적 ∙ 정신적 건강 상태와 체력 등의 건강 요건이다. 셋째, 직무에 적합한 성격, 태도, 가치관 등의 적성 요건이다. 넷째, 교육 수준, 전공, 경력 등의 자격 요건이다. 다섯째, 임금 수준, 보상 등의 경제적 요건이다.
이처럼 적정배치를 위해서는 직무내용과 수행요건을 분석하여 직무요건을 파악하고, 동시에 개인의 능력, 적성, 자격 등의 인적요건을 고려해야 한다. 그래야만 유능한 인재를 적절한 직무에 배치할 수 있어 개인과 조직의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1.3. 부적격자의 조치
1.3.1. 부적격자의 발생원인
부적격자의 발생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본인에게 있는 경우이다. 종업원의 능력이나 자질이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이 부족하여 부적격자가 되는 것이다. 이는 선발과정에서의 오류나 교육훈련의 부족, 본인의 노력 부족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둘째, 가정에 있는 경우이다. 가족 문제, 건강 문제 등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원활한 직무수행이 어려운 경우에 부적격자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근로자의 지원과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직장에 있는 경우이다. 직무 내용이 부적절하거나 노동조건이 악화된 경우, 직장 내 대인관계가 불량한 경우, 장래성과 승진의 기회가 불투명한 경우, 또는 배치 전 교육훈련이 부적절한 경우 등 직장 요인에 의해 부적격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기업 측의 관리 부족으로 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3.2. 부적격자의 조치
부적격자의 조치는 부적격자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검토하여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책을 취하는 것이다. 부적격자가 발생하게 된 원인은 본인, 가정, 직장 등 다양한 곳에서 찾을 수 있다.
본인에게 있는 경우로는 직무 수행 능력 부족, 건강 악화, 가치관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가정에 있는 경우로는 가족 문제나 경제적 어려움 등이 있으며, 직장 내에서는 직무의 부적절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