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헬렌켈러 소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생의 롤 모델, 헬렌 켈러
1.1. 서론
1.2. 본론
1.2.1. 헬렌 켈러의 삶
1.2.1.1. 유년기
1.2.1.2. 설리반 선생님과의 만남
1.2.1.3. 헬렌 켈러의 학업
1.2.1.4. 작가로서의 삶
1.2.1.5. 결혼과 사회운동가로서의 삶
1.2.1.6. 이혼과 저술활동의 조력자들
1.2.1.7. 노년기
1.2.2. 헬렌 켈러의 삶에서 본받고 싶은 점
1.2.2.1. 장애를 극복한 용기
1.2.2.2. 사회운동에서의 열정
1.2.2.3. 조력자 애니를 위한 배려
1.3. 결론
2. 사회복지학개론 교과목 수강 후 생각 변화
2.1. 교과목 수강 전과 후 생각의 변화
2.2. 사회복지는 권리의 나눔
2.2.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2.2.2. 나눔의 상상 - 미담에서 권리로
2.3. 건강한 공동체를 위한 사회복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생의 롤 모델, 헬렌 켈러
1.1. 서론
인간승리의 표본이자 많은 사람들에게 인생의 롤모델로 꼽히고 있는 사람 중에 한 명이 미국 출신의 헬렌 켈러이다. 헬렌 켈러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언어장애라는 3가지 장애를 모두 가지고 있었지만 유년기에 만났던 가정교사 설리반 선생님의 도움으로 마음의 문을 열고 스스로를 발전시켜서 대학교육을 마치고 5개국어를 습득하여 장애인 인권운동가로 활약한 인물이다. 이러한 헬렌 켈러의 이야기는 나 자신에게도 매우 큰 감명을 주었으며 개인적으로 장애를 가진 친구들이 주변에 있는데 이들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불어넣어줄 때 자주 예로 들었던 인물이기도 하여 이러한 헬렌 켈러의 삶과 그녀를 통해 본받을 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나 자신의 인생의 롤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헬렌 켈러에 대하여 그녀의 삶과 인생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이를 통해 나 자신이 본받고 싶은 점에 대하여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1.2. 본론
1.2.1. 헬렌 켈러의 삶
1.2.1.1. 유년기
헬렌 켈러는 1880년 미국 앨라배마 주에 있는 한 부유층 가정의 큰 딸로 태어났다. 처음 태어났을 때는 장애인이 아니었으나 생후 19개월에 뇌척수막염을 앓게 되면서 시력과 청력을 모두 잃게 되었다. 시력과 청력이 잃게 되자 자연스럽게 말도 할 수 없게 되면서 언어장애도 함께 가지게 되었으며 시각, 청각, 언어 장애의 3중고를 한 번에 겪게 되었다. 이러한 헬렌은 당연하게도 정상적인 교육을 받을 수 없었고 6살이 될 때까지 의사소통이 전혀 되지 않아서 다른 사람을 때리거나 할퀴는 것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서 헬렌 켈러의 유년기는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하지 못한 채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사는 우울한 시절을 보냈다.
1.2.1.2. 설리반 선생님과의 만남
헬렌 켈러의 유년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은 바로 설리반 선생님이었다. 헬렌 켈러가 6살이 되었을 때 그녀의 부모님은 볼티모어의 유명한 의사였던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박사를 찾아갔고, 이때 퍼킨스 맹인학교에 근무하던 앤 설리반 선생님을 소개받아 가정교사로 모셨다. 설리반 선생님은 인내심을 가지고 헬렌 켈러에게 언어를 가르치는 시도를 하였는데, 물 펌프를 통하여 처음으로 "water"라는 글자를 깨우치게 하는 등 헬렌 켈러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설리반 선생님의 지원을 바탕으로 8살 때 헬렌 켈러는 퍼킨스 맹인학교에 입학하여 정식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이후에도 설리반 선생님은 헬렌 켈러의 든든한 조력자로 활약하였다. 즉, 설리반 선생님은 장애인이었던 헬렌 켈러의 마음의 문을 열어주고 그녀가 발전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다고 볼 수 있다.
1.2.1.3. 헬렌 켈러의 학업
14살이 된 후 헬렌 켈러는 뉴욕의 라이트 휴먼스 농아학교와 호렌스만 농아학교에서 학업을 이어나가게 되었다. 이 때 만난 새라 풀러 선생님을 통하여 목의 진동이나 입모양을 만지거나 느끼는 방식으로 말하는 법에 대해 배울 수 있게 되었다. 즉, 어린 시절 자신에게 글자를 가르쳐준 사람이 설리반 선생님이었다면 새라 선생님은 말을 가르쳐준 것이다. 이후 여동생인 밀드레드와 같이 케임브리지 여학교에 입학하고 16세가 되었을 때는...
참고 자료
헬렌 켈러(2009). 행복해지는 가장 간단한 방법. 공존.
헬렌 켈러(2009). 헬렌 켈러 자서전: 사흘만 볼 수 있다면. 문예출판사.
유범상,김종해,여유진,사회복지개론,서울: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나눔의 예술]
권리의 눈을 본 나눔의 예술 1강 – 나눔의 시선, 오드리 헵번인가 헬렌켈러인가
권리의 눈으로 본 나눔의 예술 6강 – 나눔은 상상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reload=9&v=n4kQzHkXHI8 https://www.youtube.com/watch?v=bJc5ZFMOOPU
노상학, 사회복지 전공선택 동기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우원사상논총」,제6집, 2018
김종석, 사회복지제도의 정보와 실제. 법문북스, 2020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양서원. 2014
https://www.youtube.com/watch?reload=9&v=n4kQzHkXHI8
https://www.youtube.com/watch?v=bJc5ZFMOOPU
<사회복지학개론 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