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변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념과 변수
1.1. 개념의 정의 및 분류
1.2. 변수의 개념과 특성
2. 변수의 종류
2.1. 명목변수
2.2. 서열변수
2.3. 등간변수
2.4. 비율변수
3. 변수의 분류
3.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3.2. 양적 변수와 질적 변수
4. 변수의 기능과 활용
4.1. 예측 변수, 설명 변수, 제어 변수
4.2. 변수 분석 방법(회귀분석, 상관분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개념과 변수
1.1. 개념의 정의 및 분류
개념은 어떠한 현상이나 사물, 상징적인 대상들의 공통된 속성을 추상화하여 종합한 보편적인 관념이다""(). 개념은 경험적 개념과 순수개념으로 구분될 수 있다. 경험적 개념은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개념이며, 순수개념은 경험과 관계없이 순수한 사유를 통해 얻어진 개념이다. 또한 개념은 구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으로 나눌 수 있는데, 구체적 개념은 사과, 물, 집 등 구체물을 가리키는 개념이며, 추상적 개념은 차가움, 빈곤, 배고픔 등 실질적으로 보이거나 확실한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 개념이다""(
1.2. 변수의 개념과 특성
변수의 개념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변수는 어떠한 현상이나 사물, 상징적인 대상들의 공통된 속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그 값이 둘 이상이 되는 특수한 형태의 개념을 말한다. 즉, 변수는 두 가지 이상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개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성별, 색깔 등이 대표적인 변수이다.
변수에는 네 가지 주요 특성이 있다. 첫째, 명목변수(Nominal Variable)는 질적인 속성에 따라 상호 배타적인 범주로 나뉘는 변수로, 서열이나 수치로 나타낼 수 없다. 둘째, 서열변수(Ordinal Variable)는 각 범주 간의 서열은 알 수 있지만 그 차이는 측정할 수 없는 변수이다. 셋째, 등간변수(Interval Variable)는 각 범주 간의 순서뿐만 아니라 정확한 간격을 알 수 있는 변수이다. 넷째, 비율변수(Ratio Variable)는 등간변수의 특성에 더해 절대영점을 가지고 있어 비율로 측정할 수 있는 변수이다.
이러한 변수의 특성 차이에 따라 연구 설계 및 분석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명목변수와 서열변수는 비연속적 변수로, 빈도와 백분율 등의 분석 방법이 적절하다. 반면 등간변수와 비율변수는 연속적 변수로,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분석 방법이 적절하다. 따라서 연구자는 변수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분석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변수는 연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개념은 인과관계 규명에 핵심적이다. 독립변수는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수이고, 종속변수는 독립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결과 변수이다. 이러한 변수 간의 관계를...
참고 자료
유영준, 「사회복지조사론의 이해」, 학지사, 2014.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론 (이해와 활용)」, 학지사, 2007.
“개념”, 네이버 지식백과, 실험심리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71246&cid=41990&categoryId=41990
“개념”,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복지학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68585&cid=42120&categoryId=4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