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광선치료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간호진단과 중재 결과가이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생아 황달과 광선 요법
1.1. 신생아 황달의 정의 및 원인
1.2. 신생아 황달의 진단
1.3. 신생아 황달 치료의 필요성
2. 광선 요법의 이해
2.1. 광선 요법의 정의 및 목적
2.2. 광선 요법의 원리
2.3. 광선 요법의 적응증
3. 광선 요법의 종류
3.1. 할로겐 램프
3.2. 형광등
3.3. 광섬유 담요
3.4. LED
3.5. 복합 치료법
4. 광선 요법의 준비
4.1. 필요 물품
4.2. 안전성 확보
5. 광선 요법의 간호 과정
5.1. 간호 사정
5.2. 간호 진단
5.3. 간호 계획 및 목표
5.4. 간호 중재
5.5. 간호 평가
6. 광선 요법의 부작용 및 관리
6.1. 부작용의 종류 및 예방
6.2. 합병증 관리
7. 사례 연구
7.1. 사례 1
7.2. 사례 2
7.3. 사례 3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생아 황달과 광선 요법
1.1. 신생아 황달의 정의 및 원인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이다.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의 피부와 공막이 노란 빛을 띠는 현상으로, 주로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상승하여 나타난다.
신생아 황달의 원인은 다양하다. 첫째, 신생아의 간 기능 미숙으로 인한 빌리루빈 대사 장애가 주요 원인이다. 신생아기에는 간 기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빌리루빈의 배설이 원활하지 않다. 둘째, ABO 부적합이나 Rh 부적합과 같은 용혈성 질환으로 인한 혈중 빌리루빈 상승도 신생아 황달의 원인이 된다. 셋째, 감염, 갑상선 기능 저하, 뇌출혈 등의 질환도 이차적으로 신생아 황달을 유발할 수 있다. 넷째, 모유 수유 부족이나 탈수와 같은 요인도 신생아 황달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이처럼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신생아 황달이 발생하며, 특히 미숙아나 저체중아의 경우 황달 발생률이 높다. 신생아 황달은 대부분 생리적인 현상이지만, 경우에 따라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어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1.2. 신생아 황달의 진단
신생아 황달의 진단은 임상 증상과 혈액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육안으로 신생아의 피부와 공막을 관찰하여 황달 여부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황달은 신생아의 얼굴에서부터 시작하여 몸통과 사지로 확산된다. 피부를 눌러보면 노란 빛깔이 관찰된다. 또한 신생아의 공막도 노란 빛깔을 띠게 된다. 황달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경피적 빌리루빈 측정기를 이용하거나 혈액 검사를 통한 총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한다. 정상 신생아의 총 빌리루빈 수치는 0.2-1.2mg/dL 이지만, 5mg/dL 이상일 때 황달이 육안으로 관찰된다. 신생아 황달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가 추가로 시행된다. 혈액 검사를 통해 ABO 부적합, Rh 부적합, 용혈성 빈혈, 감염 등을 확인하고, 간기능 검사와 빌리루빈 분획검사를 통해 담즙 배설 장애 등을 확인한다. 그 외에도 영상 검사나 그 밖의 검사를 통해 기저 질환을 감별하기도 한다. 따라서 신생아 황달의 진단은 임상 증상, 혈액 검사, 그리고 필요에 따른 추가 검사를 통해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1.3. 신생아 황달 치료의 필요성
신생아 황달 치료의 필요성은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의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여 피부와 점막이 노란빛을 띠는 증상이다. 빌리루빈이 높으면 핵황달이라는 중추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신생아 황달은 대부분 생리적 황달로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호전되지만, 일부 신생아들은 심한 황달이 나타나 신속한 치료를 요한다. 고빌리루빈혈증이 지속되면 핵황달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핵황달은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경련, 근력약화, 청력장애, 지능 저하, 뇌성마비 등의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어 반드시 예방해야 한다. 따라서 황달 증상이 관찰되면 신속한 검사와 함께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황달 치료의 목적은 혈중 빌리루빈 농도를 낮추어 핵황달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광선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이를 통해 피부에 축적된 불활성 빌리루빈을 수용성 물질로 변환시켜 대변과 소변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교환수혈 등의 침습적 치료도 고려할 수 있다.
신생아 황달에 대한 적절한 치료는 신생아의 예후에 매우 중요하다. 치료가 지연되거나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핵황달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히 치료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모든 신생아에 대해 정기적인 황달 검사와 함께 필요 시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2. 광선 요법의 이해
2.1. 광선 요법의 정의 및 목적
광선 요법(phototherapy)은 혈중 빌리루빈 농도를 감소시켜 황달(jaundice, 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을 치료하고, 핵황달(kernicterus)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방법 중 하나이다. 빛을 쬐어 피부에 축적된 불활성 빌리루빈을 산화시키고, 수용성으로 변화시켜 대변과 소변으로의 배설시킨다. 따라서 광선 요법의 정의는 "빌리루빈 수치를 낮추어 황달을 치료하고 핵황달을 예방하기 위해 신생아에게 적용하는 광선 치료"이며, 그 목적은 "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을 감소시켜 합병증을 예방하고 정상 신경 발달을 도모하는 것"이다.
2.2. 광선 요법의 원리
광선 요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빛을 쬐어 피부에 축적된 불활성 빌리루빈을 산화시키고, 수용성으로 변화시켜 대변과 소변으로 배설시킨다. 이를 통해 혈중 빌리루빈 농도를 낮추어 황달을 치료하고, 핵황달을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선 요법에 사용되는 빛은 주로 청록색의 가시광선 스펙트럼(460-490nm)에 해당한다. 이 빛은 피부로 투과하여 빌리루빈 분자의 이중결합을 파괴하고 수용성 빌리루빈 이성체로 전환시킨다. 이렇게 전환된 수용성 빌리루빈은 대변과 소변으로 배설되어 혈중 빌리루빈 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광선 요법은 피부의 빌리루빈을 산화시켜 간접적으로 혈중 빌리루빈 농도를 감소시킨다. 피부에 축적된 빌리루빈은 광선에 의해 수용성 물질로 변화되어 배출되며, 이로 인해 간에서 합성되는 빌리루빈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광선 요법은 신생아 황달의 치료와 핵황달 예방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3. 광선 요법의 적응증
광선요법의 적응증은 심한 신체적 황달의 치료, 병리적 황달의 치료, 핵황달의 예방이다.
심한 신체적 황달의 치료를 위해 광선요법이 실시되는데, 이는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여 피부와 점막에 노란색 착색이 나타나는 경우에 해당한다. 출생 후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생리적 황달과는 달리, 이러한 심한 황달은 핵황달로 진행될 수 있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병리적 황달의 치료를...
참고 자료
이수연 외, 최신 아동간호학, 수문사, 2019년 8월 28일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제10판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20년 2월 21일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제10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20년 2월 21일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21년 1월 25일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21년 1월 25일
이은혁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22년 10월 1일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2023년 8월 18일
서울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의약품정보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amc.seoul.kr), 2023년 8월 18일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4662BB8ECB
질병관리본부 건강정보, ‘탈수 및 전해질 이상’
https://kr1.nursingskills.kr/Home/SkillDisplay/tabid/69/sid/4905/Default.aspx
엘스비어 널싱스킬, ‘신생아 광선치료’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80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광선요법’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22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신생아 황달’
김희순 외. (2021).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Ι. 경기 : 수문사.
서울아산병원_검사/시술/수술정보_광선요법(Phototherapy)_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80
서울아산병원_신생아 황달_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22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_황달_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433&cid=51007&categoryId=51007
널싱스킬_신생아 광선 치료_ https://kr1.nursingskills.kr/Home/SkillDisplay/tabid/69/sid/4905/Default.aspx
유튜브, Maeil_신생아황달_ https://www.youtube.com/watch?v=8Sue3ogqaY0
https://www.gehealthcare.co.kr/products/maternal-infant-care/phototherapy
https://img1.daumcdn.net/thumb/R720x0.q80/?scode=mtistory2&fname=http%3A%2F%2Fcfile23.uf.tistory.com%2Fimage%2F254B3B4E52E6394428C1C6
https://blog.naver.com/kapssong/80142902762
https://blog.naver.com/sangyasi/220845956373
https://blog.naver.com/haklv86/220900236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