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구개음화
1.1. 구개음화의 정의와 특성
구개음화는 구개음이 아닌 'ㄷ, ㅌ'이 'ㅣ'모음이나 반모음'[j]'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함께 쓰이면 구개음인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그러나 이는 협의적인 정의로, 원래 구개음화는 경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특정 조건 아래에서 경구개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가리킨다"" 즉, 국어사에서의 구개음화는 모음 i, y 앞에서 'ㄷ, ㅌ, ㄸ'이 'ㅈ, ㅊ, ㅉ'이 되는 현상 이외에도 'ㄱ, ㅋ, ㄲ'이 모음 i, y 앞에서 'ㅈ, ㅊ, ㅉ'이 되는 현상, 'ㅎ'이 모음 i, y 앞에서 'ㅅ'이 되는 현상 ' 치조음이였던 'ㅈ, ㅊ, ㅉ'이 경구개음으로 옮겨가는 현상이 포함된다""
1.2. 구개음화의 발생 조건
구개음화의 발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치조 파열음인 'ㄷ, ㅌ, ㄸ'이 단모음 'ㅣ'나 반모음 'y' 앞에서 경구개음 'ㅈ, ㅊ, ㅉ'으로 바뀌며 일어난다. 예를 들어 "같-+이→가치", "닫-+히→다치"와 같이 음절말에 위치한 자음이 'ㅣ' 모음 앞으로 연음된 후 구개음화가 일어나거나, "닫-+히→다티→[다치]"와 같이 유기음화가 일어난 후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이처럼 구개음화는 치조 파열음이 'ㅣ' 모음이나 반모음 'y'와 결합할 때 일어나는 음운 동화 현상이다. 'ㄷ, ㅌ, ㄸ'과 단모음 'ㅣ' 및 반모음 'y' 사이의 관계보다는 'ㅈ, ㅉ, ㅊ'과 'ㅣ', 'y' 사이의 관계가 더 가깝기 때문에 동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1.3. 구개음화의 발생 시기
ㄷ-구개음화의 발생 시기는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15세기 문헌에서 ㄷ-구개음화가 발견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이 주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15세기 문헌에 나타난 ㄷ-구개음화 관련 자료들은 대부분 고정된 표기만을 보여줄 뿐, 음운 변화가 진행 중임을 보여주는 흔적이 없다. 또한 이 당시의 'ㅈ, ㅊ, ㅉ'은 경구개음이 아닌 치조음이었기 때문에, 이를 순수한 ㄷ-구개음화로 보기는 어렵다""
16세기에 들어서면, 전라도와 충청도 방언을 반영한 문헌에서 ㄷ-구개음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문헌상 증거를 통해 볼 때, 16세기 중반 이후 남부 방언에서 ㄷ-구개음화가 발생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17세기에 이르러서는 중부 방언에서도 ㄷ-구개음화가 확산되었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중부 방언에서 ㄷ-구개음화가 시작된 시기는 17세기 중반 이후로 추정된다""
그리고 18세기 전반기에 이르면 ㄷ-구개음화가 전국적으로 일반화되었다. 이 시기에 간행된 많은 문헌들에서 구개음화가 광범위하게 적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4. 구개음화의 발생 지역
구개음화는 남부 방언에서 먼저 발생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다"이다.
남부 방언에서는 'ㄱ, ㅋ, ㄲ'이 'ㅣ, y' 앞에서 'ㅈ, ㅊ, ㅉ'으로 구개음화되는 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는 중앙 방언과 구분되는 남부 방언의 특징으로, 'ㄱ' 구개음화는 어두에 놓인 자음에만 적용되고 형태소 경계에서는 일어나지 않으며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는다. 'ㄱ' 구개음화의 예로는 '길 > 질', '기름 > 지름' 등이 있다.
중부 방언의 경우, 일부 어휘에서 'ㅎ'이 'ㅣ, y' 앞에서 'ㅅ'으로 변하는 'ㅎ' 구개음화가 적용되었다. 'ㅎ' 구개음화는 형태소 내부와 외부에서 모두 발생되지만 부산 방언에서는 형태소 연결에서 구개음화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구개음화는 남부 방언에서 먼저 발생해 점차 중부 및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17세기 중반 이후 중앙 방언에서도 'ㄷ' 구개음화가 활발하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18세기 말엽에 이르면 대부분의 환경에서 구개음화가 일반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1.5. 구개음화와 파찰음화
구개음화와 파찰음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어의 주요 음운 현상이다. 구개음화는 경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특정 조건 아래에서 경구개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즉, 모음 'ㅣ'나 반모음 'y' 앞에서 'ㄱ, ㅋ, ㄲ'이 'ㅈ, ㅊ, ㅉ'으로, 'ㄷ, ㅌ, ㄸ'이 'ㅈ, ㅊ, ㅉ'으로, 'ㅎ'이 'ㅅ'으로 바뀌는 것이다.
한편 파찰음화는 자음이 파열음과 마찰음의 혼성음인 파찰음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국어에서 'ㅈ, ㅊ, ㅉ'은 대표적인 파찰음이다. 이러한 파찰음은 구개음화의 결과로 형성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구개음화에 따라 발음이 변화하면서 파찰음이 새롭게 출현하게 된 것이다.
구개음화가 먼저 발생하고 그 결과로 파찰음화가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15세기 국어에서는 'ㅈ, ㅊ, ㅉ'이 치음이었으나 점차 경구개음으로 변화하면서 파찰음화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자, 저, 조, 주'와 '쟈, 져, 죠, 쥬'의 구별이 점차 어려워졌고, 결국 '쟈, 져, 죠, 쥬'가 '자, 저, 조, 주'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처럼 구개음화와 파찰음화는 국어 음운 변화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현상이다. 구개음화가 일어나면서 파찰음이 새롭게 출현하고, 이러한 파찰음이 점차 정착되어 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이는 국어의 음운 체계가 역동적으로 변화해온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6. 구개음화와 과도교정
구개음화는 특정한 음운론적 환경에서 치음(齒音)이 경구개음(硬口蓋音)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국어에서는 'ㄷ, ㅌ, 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