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내시경 검사 후 출혈 및 감염 예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용어 및 약어
1.1. 용어
1.2. 약어
2. 주요 학습내용
2.1. 소화기계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검사 전·후 간호
2.1.1. GFS (위내시경)
2.1.2. CFS (대장내시경)
2.1.3. ERCP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
2.1.4. TACE (간동맥 화학색전술)
2.1.5. EVL (내시경 정맥류 결찰술)
2.1.6. 간 생검
2.1.7. 복수 천자
2.2. 위장관 점막 절제술 환자 관리
2.3. 각종 배액관 삽입환자 관리
2.3.1. PTBD (피부간경유쓸개관배액술)
2.3.2. ENBD (내시경적 경피적 담즙 배액술)
2.3.3. ERBD (내시경적 역행 담즙 배액술)
2.4. 간성혼수간호
3. 주요 질환
3.1. 위염, 궤양, 위암
3.2. 염증성 장질환, 국소장염, 대장암, 궤양성 대장염, 과민대장증후군, 장폐색
3.3. 직장암
3.4. 간염, 간경화증, 간암, 정맥류 출혈, 간세포암
3.5. 담석증, 담낭염, 담낭암, 담관암
3.6. 췌장염, 췌장암
4. 주요 수술 및 시술
4.1. GFS (위내시경)
4.2. EMR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4.3. ESD (내시경적 점막하 절제술)
4.4. PTBD (피부간경유쓸개관배액술)
4.5. EST (내시경적유두괄약근절개술)
4.6. ERCP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조영술)
4.7. PTCA (경피적 간담도 조영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용어 및 약어
1.1. 용어
용어는 의미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낱말이나 어구로, 특정 분야에서 널리 쓰이거나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 용어들을 의미한다.
'AGC'는 "Advanced Gastric Cancer"의 약어로, 진행성 위암을 의미한다. 위암은 위 점막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크기가 크고 주변 조직으로 침윤된 암을 지칭한다.
'AGE'는 "Acute Gastric Enteritis"의 약어로, 급성 위장염을 의미한다. 위장염은 위 점막의 급성 염증 상태를 의미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상복부 통증, 오심, 구토, 식욕부진 등이 있다.
'BCC'는 "Basal Cell Cancer"의 약어로, 기저세포암을 의미한다. 기저세포암은 피부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악성 종양 중 하나이다.
'CBD'는 "Common Bile Duct"의 약어로, 총담관을 의미한다. 총담관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CPR'은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의 약어로, 심폐소생술을 의미한다.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멎었을 때 인공적으로 심장과 호흡을 유지하는 술기이다.
'DNR'은 "Do Not Resuscitate"의 약어로, 심폐소생술 거부를 의미한다. 심폐소생술 거부는 말기 환자나 불가역적인 상태의 환자가 심폐소생술을 받지 않기로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DU'는 "Duodenal Ulcer"의 약어로, 십이지장 궤양을 의미한다. 십이지장 궤양은 십이지장 점막에 생기는 궤양성 병변이다.
이와 같이 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와 약어가 있으며, 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의료 실무에서 매우 중요하다.
1.2. 약어
약어는 다음과 같다:
AGC는 "Advanced Gastric Cancer"로, 진행성 위암을 의미한다.
AGE는 "Acute Gastric Enteritis"로, 급성 위장염을 의미한다.
BCC는 "Basal Cell Cancer"로, 기저세포암을 의미한다.
CBD는 "Common Bile Duct"로, 총담관을 의미한다.
CPR은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으로, 심폐소생술을 의미한다.
DNR은 "Do Not Resuscitation"으로, 심폐소생술 거부를 의미한다.
DU는 "Duodenal Ulcer"로, 십이지장궤양을 의미한다.
EIH는 "Endoscopic Injection Hemostasis"로, 내시경 국소 주입 지혈술을 의미한다.
EIS는 "Endoscopic Injection Sclerotherapy"로, 내시경 경화 요법을 의미한다.
EMR은 "Endoscopic Mucosal Resection"으로, 내시경 점막 절제술을 의미한다.
ERBD는 "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로, 내시경 역행 담즙 배액술을 의미한다.
ERCP는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로,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을 의미한다.
ESD는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으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의미한다.
EST는 "Endoscopic Sphincterotomy"로, 내시경 유두괄약근 절개술을 의미한다.
EVL은 "Esophageal Variceal Ligation"으로, 식도 정맥류 결찰술을 의미한다.
GERD는 "Gastric Esophageal Reflex Disease"로, 역류성 식도염을 의미한다.
GFS는 "Gastrofibrocscopy"로, 위내시경을 의미한다.
GU는 "Gastric Ulcer"로, 위궤양을 의미한다.
HBV는 "Hepatitis B Virus"로,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의미한다.
HCC는 "Hepato Cellular Cancer"로, 간세포암을 의미한다.
IR은 "Intrarectal"로, 직장 내를 의미한다.
LC는 "Liver cirrhosis"로, 간경화증을 의미한다.
LFT는 "Liver function Test"로, 간기능검사를 의미한다.
PTBD는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educt Drainage"로, 경피경간 담즙배액술 또는 피부간경유쓸개관배액술을 의미한다.
PTGBD는 "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로, 경피경간담낭배액술 또는 피부간경유쓸개배액술을 의미한다.
RFA는 "Radio Frequency Ablation"으로, 고주파 절제술을 의미한다.
TACE는 "Trans Arterial Chemo Embolization"으로, 간암 화학 색전술을 의미한다.
2. 주요 학습내용
2.1. 소화기계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검사 전·후 간호
2.1.1. GFS (위내시경)
위내시경(GFS, Gastrofiberscope)은 입으로 내시경 기구를 삽입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하면서 염증이나 종양 등을 진단하는 검사방법이다. 연하 장애, 상복부 통증, 오심, 구토, 식욕부진 등의 상부 소화기계 증상이 있는 경우나 건강검진 시 시행한다.
위내시경 검사 전 준비사항은 다음과 같다. 검사 전 8시간 이상 금식해야 하며, 틀니를 제거해야 한다. 최근 치과 치료 중이거나 흔들리는 치아가 있는 경우 사전에 알려야 한다. 시야 확보를 위해 위장 내 기포 제거제와 위장 운동 억제제를 투약하며, 내시경이 삽입되는 부위에 국소 마취를 시행한다. 수면 내시경의 경우 진정제를 투약한다. 검사는 왼쪽으로 누운 상태에서 진행된다.
위내시경 검사 후 간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안정제나 국소마취가 풀릴 때까지 환자를 옆으로 눕히며 구역반사가 돌아올 때까지(1~2시간) 금식시킨다. 목의 자극을 완화시키기 위해 마취성 인후 함당정제나 따뜻한 생리식염수로 함수하도록 한다. 활력징후를 3~4시간 동안 30분마다 측정하여 출혈, 발열, 연하곤란 등의 천공 증상이 나타나는지 사정한다.
위내시경 검사는 상부 소화기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검사이다. 검사 전 금식, 마취제 투여, 검사 중 환자의 자세 유지 등 검사 전후 간호가 매우 중요하며, 천공이나 출혈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1.2. CFS (대장내시경)
대장내시경(CFS, Colonofiberscope)은 대장의 점막과 내부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대장암, 대장용종, 염증성 장질환, 대장 협착 등의 질환을 진단하는 데 필수적인 검사이다.
대장내시경 검사 전 준비사항으로는 검사 3일 전부터 씨 있는 과일, 소화되지 않는 잡곡, 단단한 섬유질의 채소 섭취를 피하도록 한다. 검사 전날 자정부터 금식하며, 검사 당일 관장약을 복용하여 장을 깨끗하게 비운다. 또한 Polyethylene glycol(Colonlyte) 용액 4L를 약 2시간에 걸쳐 마시도록 한다. 이를 통해 대장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검사 시 환자는 왼쪽으로 누운 자세(심즈체위)를 취하며, 내시경 삽입 시 힘을 주거나 말을 하면 내시경 진입이 어려워질 수 있어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대장내시경 검사 중에는 가스를 주입하여 시야를 확보하지만, 이로 인한 복부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 걷거나, 더운물을 복부에 대거나, 엉덩이를 올리고 엎드린 자세를 취할 수 있다.
검사 후에는 장천공, 출혈, 복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찰이 필요하다. 특히 조직 검사 시 출혈이 있는 경우 흑색변이나 혈변, 심한 어지러움, 빨라진 맥박, 식은땀, 심한 복부 통증 등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수면 내시경을 받은 경우 활력징후를 관찰해야 하며, 일반 식이를 제공하고 수분 섭취를 증가시켜 탈수를 예방해야 한다. 검사 후에는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귀가하고 운전은 피하도록 한다.
2.1.3. ERCP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
ERCP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었다가 필요 시 담낭이 수축하면서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흘러가 소화에 관여하게 되고, 췌장에서 만들어진 췌액은 췌관을 통해 필요 시에 십이지장으로 흘러 들어가 소화에 관여하는 방법을 확인하기 위한 내시경 검사이다.
ERCP는 담도와 췌장에 기능이 저하되어 소화기계 증상이나 황달 등이 발생하였을 때, 담석증의 치료, 담즙의 배액, 담관 폐쇄의 치료를 위해 의료진의 판단하에 시행한다.
시술 전 준비사항으로는 간, 심장, 폐, 신장, 혈액 질환, 고혈압, 당뇨병 등 각종 병력이 있을 경우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특히, 과거에 복부 수술을 받은 병력이 있을 경우에도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를 투약 중인 경우에는 약의 중단 여부에 대해 주치의와 상의해야 한다. 시술 전날 저녁 식사는 오후 6시 이전에 평소보다 가볍게 하고 술이나 고기는 먹지 않는 것이 좋으며 자정 이후부터는 금식해야 한다. 당일 아침에는 금식하신 채 양치질을 깨끗이 하고 립스틱은 바르지 말아야 하며, 인슐린 주사를 맞는 당뇨병 환자는 당일 아침 주사는 맞지 않고 고혈압 환자는 새벽 5시에 충분한 물과 함께 약제를 복용해야 한다. 동의서 작성, 금속 물질 제거, 정맥 주사로 확보 등의 준비도 필요하다.
ERCP 검사/시술/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검사를 위해 모든 옷과 악세사리는 제거하고 검사용 가운을 착용한다. 그 다음 검사 직전 내시경 삽입 시 구역질이나 구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목 마취를 시행하고, 수면 내시경일 경우 수면제를 투약한다. 이후 입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십이지장 유두부까지 도달한 후 담관과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한다. 검사 시간은 보통 30~40분 정도 소요되며, 시술을 병행할 시 소요 시간은 길어질 수 있다.
ERCP의 적응증으로는 담도 혹은 담낭관 담석, 급성 담관염 혹은 담석성 급성 췌장염, 담도 및 담낭암 혹은 췌장암으로 인한 악성 담도 폐쇄, 췌석 및 췌관 협착을 동반한 만성 췌장염, 양성 담관 협착, 바터팽대부 선종 및 암, 간 이식 환자에서 발생한 담관 협착, 오디괄약근 기능 이상 등이 있다. 반면 금기증으로는 심근경색증 환자, 심한 폐기능 저하 환자, 급성 췌장염, 급성 담관염, 요오드제 과민증 등이 있다.
ERCP 시행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출혈이나 장 천공, 췌장염 등이 있다. 따라서 의료진은 시술 전후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야 하며, 합병증 발생 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2.1.4. TACE (간동맥 화학색전술)
TACE (간동맥 화학색전술)은 간암 환자의 치료를 위해 시행하는 특수 검사이다.
TACE는 간동맥을 통해 항암제와 색전제를 주입하여 간암 조직의 ...
참고 자료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380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380-38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상) 제 5판, 현문사, 2011, p.321-322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482-483
이용찬, NEW 내과학 소화기질환 6, 정담, 2008, P.67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528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487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543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542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519-520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413-433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417-424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424-433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442-448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448-451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434-435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490-501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538-540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545
이용찬, 내과학(소화기질환), 정담, 2008, P.279-280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545-550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17, P.553-554
유양숙 외 공저, [제8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22.01.
유양숙 외 공저, [제8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22.01.
김미향 외 공저, [병태생리학], 은학사, 2022.07.
양선희 외 공저, [제4판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20.01.
양선희 외 공저, [제4판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20.01.
「서울대학교병원」N의학정보.
「서울아산병원」의료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