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화조사와 온라인조사의 장단점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여론조사의 이해
1.1. 여론조사 발전에 특별한 계기가 된 사건
1.1.1.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1.1.2. 2000년 제16대 총선
1.2. 신고리 원전 5,6호기 관련 여론조사 비교
1.2.1. 한국갤럽 여론조사
1.2.2. 리서치뷰 여론조사
1.2.3. 여론조사 결과 차이 발생 이유
1.3. 공론조사의 개념, 장단점, 실시 방법
1.4. 전화조사와 온라인 조사의 장단점 비교
1.4.1. 전화조사의 장단점
1.4.2. 온라인 조사의 장단점
1.4.3. 혼합조사의 필요성
2. 여론조사의 발전과 변화
2.1. 1948년 미국 대통령선거 예측조사 실패 이유
2.2. 실패로 인한 여론조사 방법의 변화
3. 여론조사 방법의 비교
3.1. 확률추출법의 장단점
3.2. 비확률추출법의 장단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여론조사의 이해
1.1. 여론조사 발전에 특별한 계기가 된 사건
1.1.1.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한국 최초의 선거여론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뤄진 중요한 사건이었다. 1987년은 군부 권위주의 정치 문화에 대한 시민들의 거센 저항으로 인해 5공 정부가 정치적 자유를 보장하고 자유선거를 실시한다는 6·29 선언이 발표된 해였다. 이 선거에서는 국내 최초로 조사기관의 선거예측이 성공함에 따라 정당과 언론이 점차 여론조사와 선거와의 관계를 의식하기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이후 한국 여론조사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1.2. 2000년 제16대 총선
2000년 제16대 총선은 국내 최초의 선거여론조사가 실시된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이후, 여론조사의 정확성과 신뢰도 제고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 중요한 사건이었다.
MBC-한국갤럽은 단독으로 227개 지역구 전체를 조사대상으로 삼아 민주당 107석, 한나라당 100석을 예상했고, KBS/SBS와 4개 조사회사 역시 민주당 112석, 한나라당 95석을 예상했다. 그러나 이러한 여론조사 예측은 실제 선거 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2000년 제16대 총선에서의 여론조사 예측 실패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드러냈다. 첫째, 표본크기와 추정오차 문제였다. 227개 전 지역구의 선거 예측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조사 경비가 필요했지만, 실제로는 지역별 표본 수 500명(추정오차 ±4.4%P)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다. 둘째, 조사 시기의 문제였다. 120개 지역은 선거일 7일 전에 조사된 결과를 활용했기 때문에 막판 여론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
이러한 2000년 제16대 총선 여론조사 실패 사례는 이후 조사 기법과 선거예측 보도 방식의 개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총선과 같은 선거여론조사에서는 방송사와 조사 전문가들의 긴밀한 이해와 협의 하에 보다 진화된 조사 방법과 보도 방법이 마련되었다. 예를 들어 투표소 추출 시 각 투표소의 투표 성향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정보를 활용하는 정렬계통추출법이 도입되었다.
이처럼 2000년 제16대 총선은 여론조사의 정확성과 신뢰도 제고를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선거 여론조사 방법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그 과정에서 2000년 총선의 실패 사례는 중요한 참고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2. 신고리 원전 5,6호기 관련 여론조사 비교
1.2.1. 한국갤럽 여론조사
한국갤럽이 9월 1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을 계속해야 한다는 응답이 42%로 나타났다. 중단해야 한다는 38%였고 모름, 무응답 비율은 20%였다. 이 조사에서 원전 건설 찬성 비율이 오차범위 안에서 처음으로 앞선 결과가 나온 것이다. 한국갤럽은 8월 29일 ~ 31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1.2.2. 리서치뷰 여론조사
환경운동연합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뷰에 의뢰하여 신고리 5,6호기 추가건설과 관련한 국민여론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에서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지진 발생 위험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원전 추가 건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해 국민들의 절대 다수(80.7%)가 계획대로 추진하지 말고 추...
참고 자료
박무익. 한국의 선거여론조사 – 그 역사와 의의. 한국조사학회 `여론조사 신뢰도 제고방안 Workshop` 발표원고. 2002
공론조사. 이번 주 경제용어, 중앙일보
오현철. 해외 사례로 본 원전 공론조사의 7가지 장점. 프레시안. 2017
심재웅. 공론조사의 소개 및 그 실행의 장단점과 문제점. 한국리서치. 2003
심규호. 인터넷 조사 개선 방안 연구. 통계청 하반기 연구보고서. 2009
혼합조사에서의 모드효과 파악을 위한 시험조사 및 결과분석 보소서. 통계개발원. 2014
[보도자료] 여론조사 신고리 5,6호기 원전건설 재검토 및 백지화 의견이 80.7%. 환경운동연합 인터넷 사이트
경희대 사회과학연구원, “알기 쉬운 조사방법론”, 한국언론자료간행회, 2000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9
최성재,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나남출판, 2005
김남균, “미국 대통령 선거제도와 선거문화 : 1948년과 2004년 대통령 선거 비교”, 한국미국사학회, 2005
이영찬, “정치주식시장과의 비교를 통한 선거기간 중 여론조사결과 공표금지기간의 실효성 고찰”, 한국외국어대,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