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부터 현재까지의 디자인사와 함께가구 디자인의 변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모더니즘부터 현재까지의 디자인사와 함께가구 디자인의 변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디자인의 역사와 변화
1.1. 고전(classic)의 의자와 활자
1.2. 산업 혁명기의 의자와 활자
1.3. 모더니즘

2. 빅터 파파넥의 "인간을 위한 디자인"
2.1. 등장 배경
2.2. 깡통 라디오 사례
2.3.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 디자인
2.4. 의료·보건 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 디자인
2.5. 생활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 디자인
2.6.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제품 디자인

3. 4차 산업혁명과 의자
3.1. 산업혁명에 따른 의자의 변천사
3.2.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의자 상상 스케치
3.3. 소비자들의 시장변화
3.4. 공예디자이너의 일자리 변화와 미래 전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디자인의 역사와 변화
1.1. 고전(classic)의 의자와 활자

산업혁명 이전, 디자인은 장식을 뜻했다. 이러한 양식적인 장식, 즉 '겉치레'를 걷어내고 합리적인 태도로 사물의 형태와 색을 생각하는 것이 모더니즘의 발상이지만, 인류가 이른바 단순함이라는 콘셉트를 손에 넣은 것은 인류사적으로는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기나긴 인류사의 대부분의 시간 속에서 디자인은 풍요를 은유했으며 인위의 흔적을 읊은 장식이었다.

때문에 클래식이라고 일컬어지는 중세부터 르네상스까지의 의자에는 장식적인 요소가 가득하다. 과하게 장식된 의자만이 '디자인된 것'혹은 '가치있는 것'으로 인정 받았다. 의자의 과잉된 장식은 숙련된 장인의 길고 긴 시간에 걸친 노동을 뜻한다. 이런 긴 생산시간에 의해 만들어진 공예품을 구매 할 수 있을 정도의 부와 힘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은 귀족이나 부유한 상인정도였을 것이다. 즉, 가진 자들만이 디자인을 소유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문자의 발명과 동시에 시작된 글씨의 역사가 활자의 역사로 넘어간 것은 15세기 금속 활자가 등장했을 때부터였다. 1455년 구텐베르크 활자와 함께 등장한 인쇄물의 성공여부는 '펜으로 쓴 손글씨와 얼마나 비슷해 보이는 가' 에 있었다. 당시의 사람들이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봐왔던 글자라곤 펜으로 쓴 손글씨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당시 인쇄문화의 꽃이 피었던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는 인문주의 학자들의 손글씨 양식을 흉내 낸 활자가 대거 등장했다. 이 양식을 '휴머니스트(humanist) 스타일','베네치안(venetian) 스타일'이라고 부른다.

모더니즘의 시점에서 고전시대 손글씨를 본딴 서체의 가장 특이한 점을 꼽자면 단연 세리프의 존재일 것이다. 세리프는 자획 끝부분에 나있는 돌출선을 뜻하고 세리프가 있는 글자체를 세리프체라 칭한다. 물론 세리프체 역시 모더니즘이 주류인 현대에도 널리 쓰이고 있지만 모더니즘의 정신을 강하게 물려받은 산세리프체(돌출선이 없는 글자체)와는 다르게 세리프체의 원형이 과거의 손글씨에서 태어난 점을 본다면 세리프체가 더 클래식하다고 볼 수 있다.


1.2. 산업 혁명기의 의자와 활자

산업 혁명기의 의자와 활자는 이전 시대와는 뚜렷이 구분되는 모습으로 발전하였다.

19세기, 유럽은 18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산업혁명과 그로 인한 기계생산의 열기가 최고조에 달해 있었다. 당시의 대량생산품에 대한 디자인은 아직 고전 양식을 따라하는 수준이었다. 산업혁명기의 기계는 현대의 정교한 기계와 달리 서툴렀다. 자연히 장인의 손에 빚어지던 정교한 공예품들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그런 사람들이 모여 기계생산에 반기를 들고 과거로의 회기를 외치던 대표적 운동이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이다. 미술공예운동은 산업혁명과 기계생산이라는 시대의 흐름에 밀려 점차 쇠퇴해갔다. 하지만 예술을 일상의 삶속에 통합시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고 했다는 점, 삶의 질 개선에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미적인 소통을 중요시 했다는 점은 아르누보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과거의 공예품과 다르게 만인이 함께 나누어 가질 수 있는 예술을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주의적인 성질을 엿볼 수 있고 이것은 산업혁명 전의 공예품과의 뚜렷한 차별점이었다.

미술공예운동을 발판삼아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유럽 전역에서 디자인 의식의 폭발이 일어난다. 기계생산이라는 거대한 변화와 예술이 드디어 충돌한 것이다. 의자 디자인 역시 이 폭발적인 변화의 흐름을 표면적으로 보여주는 선두 주자 중 하나 였다. [그림3]과 [그림4]는 대표적인 과도기의 양식인 '아르누보'와 '데스틸'의 인물들이 만든 의자이다. 각 지역, 시기 별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던 과도기의 양식들은 이제껏 본적 없었던 특이한 그들만의 스타일을 맘껏 뽐냈다. 아르누보는 고급예술과 저급예술, 순수 미술과 응용미술간의 위계를 타파하고자 하였으며 모든 분야에서 새롭고 통일적인 양식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아르누보는 넝쿨식물 모티프와 유연한 선이 특징적이다. [그림3]은 아르누보의 대표적 디자이너로 알려진 헨리 반데 벨데의 작품이다. 유연하게 뻗은 선은 중세의 의자와는 다르게 조밀한 장식없이도 아름답고 우아하다. [그림4]는 리트벨트의 적청의자이다. 이 의자는 직각과 사선, 삼원색과 흑, 백만을 사용한 순수 주상조형을 추구한 데스틸의 양식을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이 역시 클래식 의자에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파격적인 조형이다. 산업혁명기의 의자는 이렇듯 외형적으로 그 전 시대의 조형과 완전히 단절된 듯한 조형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모더니즘의 시각에서 본다면 장식이라는 틀을 완연히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직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평해진다.

활자 역시 산업혁명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기계생산으로 가능해진 대량생산물의 판매가 진행되면서 광고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많은 광고물들 사이에서 강한 시각적 인상을 줄 수 있는 서체에 대한 요구가 증대했고 세리프를 극단화한 표현이 등장했다. 슬랩 세리프 양식은 그런 극단적인 표현의 대표적인 예이다. 슬랩 세리프 양식은 장방형의 슬랩 세리프가 활자의 굵은 기둥과 직각으로 만나면 이집션, 곡선으로 연결되면 클라렌든 양식이라고 구분한다. [그림5]는 클라렌든 체로 옥스퍼드 대학의 클라렌든 출판사를 위해서 로버트 비즐 리가 디자인한 서체이다. 다소 제도적이고 과잉된 셰리프 표현이 특징적이다.

산업혁명과 함께한 예술사조의 변화는 활자 디자인도 피해가지 않았다. 의자와 마찬가지로 활자역시 산업혁명이라는 야구배트에 맞아 모더니즘을 향해 날아가고 있었다. 중세,르네상스의 활자가 글을 읽을수 있던 특권층을 위한 것이었다면 '소수의 특권층이 아닌 다수에게 전달될 수 있는 예술'을 상징하는 산세리프체의 등장과 유행으로 활자 디자인의 수혜자 역시 민중으로 완전하게 변했다.


1.3. 모더니즘

모더니즘은 산업혁명 이후 등장한 새로운 디자인 사상이다. 모더니즘의 등장에 빼놓고 설명할 수 없는 것은 바우하우스의 설립이다. 바우하우스는 독일 바이마르에서 1919년에 설립 되었다. 초대 교장인 발터 그로피우스를 필두로 한 여러 거장 디자이너, 건축가, 장인, 미술가들과 그들의 가르침을 받던 학생들이 형성한 '디자인'의 개념은 확실한 방향을 제시했다. 윌리엄 모리스에서 아르누보, 데스틸, 다다이즘, 큐비즘, 세세션, 구성주의 등 국가와 지역에 따라 그 명칭이나 표현방식을 다르지만, 한마디로 과거와 결별하기 위한 과감하고 열성적인 시도가 유럽 각지에서 일어났다. 그전까지 장식 예술 역사에서 축적된 다양한 조형양식들은 이 해체작업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한 해체작업 결과 기존의 조형과 예술의 제반 영역이 '영양이 넘치는 쓰레기더미'가 되었다. 이 쓰레기더미를 합리성이라는 사상 아래 더 철저히 분해해 정리한 것이 바우하우스이다. 이런 사상 속에서 의자 디자인 역시 변화했다. 바우하우스를 대표하는 디자이너 가운데 한 명인 마르셀 브로이어가 디자인한 바실리...


참고 자료

윤정윤, 디자인을 향한 윤리적 접근에 관한 고찰,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Vol.22 No.3, 2019, 280-287
강현대•홍선기, 사회적 디자인(Social Design)의 등장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가구학회지(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ol.23 No.4, 2012, 425-434
김승찬•최명식, 빈곤계층을 위한 제품디자인 성공사례에 관한 연구, 산업디자인학연구(JOURNAL OF INDUSTRIAL DESIGN) VOL.6 NO.3, 55-64
윤민희, 디자인의 윤리적 시각에 관한 연구 및 제안(사회를 위한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Journal of Intefrated Design Research Vol.17 No.2, 2018, 77-88
홍성욱, 적정기술을 활용한 ODA(공적개발원조)의 효과적 추진방안에 대한 연구, 한밭대학교, 2010, 1-165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B%B9%88-%EA%B9%A1%ED%86%B5%EA%B3%BC-%EC%98%A4%EB%AC%BC%EB%A1%9C-%EB%9D%BC%EB%94%94%EC%98%A4%EB%A5%BC-%EB%A7%8C%EB%93%A0%EB%8B%A4/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chanjkim&logNo=222097727831&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topReferer=https%3A%2F%2Fsearch.naver.com%2Fsearch.naver%3Fsm%3Dtab_hty.top%26where%3Dnexearch%26query%3D%25EB%25A8%25B8%25EB%258B%2588%25EB%25A9%2594%25EC%259D%25B4%25EC%25BB%25A4%25ED%258E%258C%25ED%2594%2584%26oquery%3D%25EC%259E%2590%25EC%25B2%25B4%25EB%258F%2599%25EB%25A0%25A5%25EC%259E%25A5%25EC%25B9%2598%26tqi%3DhEhFesp0YihssiC7sIZssssss60-433175&directAccess=false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D%8F%90%EC%9E%90%EB%8F%99%EC%B0%A8-%EB%B6%80%ED%92%88%EC%9C%BC%EB%A1%9C-%EC%9D%B8%ED%81%90%EB%B2%A0%EC%9D%B4%ED%84%B0-%EB%A7%8C%EB%93%A0%EB%8B%A4/
4차 산업혁명 시대 현대적 공예의 의미와 가치 고찰을 위한 기술 융합 연구 – 3D 프린팅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chnology Convergence for the Meaning and Value of Modern Craf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ed on 3D printing examples
신성창,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과정 / 나건(교신저자),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교수 Shin, Seong Chang_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Hongik University / Nah, Ken(Corresponding author)_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Hongik University
김선아 외, 『4차 산업혁명 해석 지도』, 컬쳐코드, 2017 김정필, 『공예의 변천으로 본 한국문화의 조형』, 도서출판재원, 2008 야나기 무네요시, 『공예문화』, 신구출판사, 2014 존 듀이,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ebook, 2015 신성창, 나건, 「키워드 분석을 통한 취미공예의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4권 제1호, 2018 오영란,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이 아르누보양식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이헌국, 나유석, 「야나기 무네요시의 "공예문화"에 내포된 사회주의 철학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2권6호, 2011 장주영, 「한국 근대 ‘공예’ 용어의 개념」,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4 전영옥, 나건, 「자원순환 디자인 개발에 있어 오픈 디자인적 접근 탐색」, 기초조형학연구 18권 5호(통권 83호), 201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국제갤러리, ‘요리스 라만(Joris Laarman) 개인전 <요리스 라만 랩: Gradients> 개최’, 기자간담회 Press Release, 2018 성우철,‘3D프린팅 국내외 표준화 동향’, 국가기술표준원, 2016 손병호, 김진하, 최동혁,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주요 과학기술혁신 정책과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송성수, ‘산업혁명의 역사적 전개와 4차 산업혁명론의 위상’, 과학기술학연구 제17권 제2호 005-040, 2017 이경숙 외, ‘3D프린팅이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산업연구원, 2016 이인범 외, ‘2014-2015 공예백서’,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7 http://designwhy.org/board_Glossary/5998 http://material.kcdf.kr https://www.weforum.org/agenda/2018/06/from-blockchain-to-mobile-payments-these-technol ogies-will-disrupt-global-trade, 2018.0609
인공지능 시대에서 미래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고찰 -디자인 프로세스와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정원준1, 김승인2* 1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제품디자인전공, 2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교수 A Study on the Role of Designe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Design Process and A.I based Design Software
Won-Joon Jeong1, Seung-In Kim2* 1Dept. of Product Design,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2Prof. of Digital Media Design,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3755&cid=42407&categoryId=42407 디자인 어원
https://dict.naver.com/search.nhn?dicQuery=%EA%B3%B5%EC%98%88&query=%EA%B3%B5%EC%98%88&target=dic&query_utf=&isOnlyViewEE= 공예 네이버 어학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9D%98%EC%9E%90%EC%9D%98_%EC%97%AD%EC%82%AC
https://www.designmap.or.kr:10443/dt/DtDfFrD.jsp?p=65&x=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319&cid=58789&categoryId=58802
http://www.manzlab.com/news/articleView.html?idxno=1377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290072
<산업혁명의 역사적 전개와 4차 산업혁명론의 위상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4%EC%B0%A8_%EC%82%B0%EC%97%85%ED%98%81%EB%AA%85
http://magazine.contenta.co/2017/12/2%EB%B6%84%EC%95%88%EC%97%90-%EB%B3%B4%EB%8A%94-4%EC%B0%A8-%EC%82%B0%EC%97%85%ED%98%81%EB%AA%85-%EC%99%84%EB%B2%BD-%EC%A0%95%EB%A6%AC/
소비자평가 “iot 의자”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5445
네이버포스트 “iot 의자”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ocienews&logNo=221218624046&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302447&memberNo=37534410
전자신문 “유아용 iot 식탁의자” http://www.etnews.com/20170103000279?m=1
한국디자인진흥원(2016) 제4차 산업혁명과 디자인의 미래
네이버 포스트 “밀레니얼 세대”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622663&memberNo=3904650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