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건강의 개념
건강의 개념은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신체적, 정신적, 영적인 인간 유기체가 가족, 지역사회 공동체 속에서 조화를 이루면서 안녕 상태를 유지하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건강 개념은 크게 생태학적 관점, 생의학적 관점, 사회의학적 관점, 사회생태학적 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환경과의 조화로운 상태를 건강으로 보며, 생의학적 관점에서는 인간을 기계와 같은 것으로 보고 질병을 고장난 부품을 고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사회의학적 관점은 건강의 범위를 개인의 정신 상태까지 확장하였고, 사회생태학적 관점은 국가가 개인의 심각한 질병으로 인한 재난 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돕는데 관심을 가진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노악은 건강 개념을 건강 균형과 건강잠재력의 두가지 차원으로 요약하였다.
즉, 건강은 신체적, 정신적, 영적인 측면에서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가 조화를 이루며 안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2. 간호이론가의 건강관
2.1. 안정성(stability)으로서의 건강
2.1.1. 파슨(Parsons)의 구조기능주의 이론
파슨(Parsons)은 생리학적 규범보다 사회적인 규범으로 건강을 정의내렸다"이다. 파슨은 건강상태를 현재와 미래의 역할 및 과업 수행이 적절한지 규범적 표준에 맞추어봄으로써 건강수준을 결정한다고 보았다.
파슨은 사회체계에서 개인의 건강상태를 사회적 규범에 비추어 평가하였는데, 이는 개인이 사회화 과정을 통해 얻어진 가치 있는 역할과 과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건강상태는 현재와 미래의 역할 및 과업 수행이 적절한지 규범적 표준에 맞추어 판단된다는 것이다.
파슨은 사회체계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네 가지 필수적인 기능적 요구가 충족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목적달성, 적응, 통합, 잠재적 유형유지의 네 가지 기능이다. 개인의 건강상태는 이러한 사회체계의 기능적 요구에 부합되는 정도에 따라 평가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파슨의 구조기능주의 이론에서 건강은 사회적 규범에 부합하는 개인의 역할 및 과업 수행능력으로 정의되며, 이는 사회체계의 원활한 기능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이다.
2.1.2. 레빈(Levin)의 보존모델
레빈(Levin)의 보존모델은 건강을 에너지 유입과 유출이 균형을 이룬 상태라고 정의한다. 그는 인간을 구조적, 개인적, 사회적의 합성체로 보았으며, 이러한 합성체에서 총제성, 적응, 보존이 중요한 개념이라고 하였다.
총제성은 에릭슨의 개방체계로서의 총제성 개념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개인이 통합적이고 단일한 방법으로 환경의 도전에 반응하는 것을 강조한다. 적응은 되느냐 안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정도의 문제이며, 역사성, 특이성, 잉여성의 특징을 가진다. 보존은 심하게 공격받는 상황에서도 복잡한 체계가 기능을 계속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보존을 통해 개인은 장애에 대항할 수 있고 적절히 적응하며 독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레빈의 모델에 따르면, 간호중재는 환자 개인의 에너지 보존, 구조적 통합성 보존, 개인적 통합성 보존, 사회적 통합성 보존에 근거해야 한다. 건강은 합리적으로 정상인 방법에 따른 기능 능력에 의해 사회적으로 결정되며, 건강이란 병적 상태가 아닌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즉, 레빈의 보존모델은 건강을 인간 개인의 에너지, 구조, 통합성이 균형을 이루어 유지되는 상태로 정의하며, 간호중재 역시 이러한 보존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2.1.3. 뉴만(Ne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