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
1.1. 접근법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들이 있다. 우선 부인하는 접근법(The Denial Approach)은 심리학과 신학 사이에 중대한 차이점들이 있음을 부인하고 통합이 이미 이루어졌다고 가정하는 방식이다. 철로 접근법(The Railroad Track Approach)은 인식론과 과학에 대한 다른 가정, 용어, 자료 해석의 차이를 인정하지만 실제적 통합에 이르지 못한다. 분석수준 접근법(The Levels of Analysis Approach)은 우주의 창조와 보존은 하나님의 능력 때문이며, 다양한 수준의 묘사가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통합된 모델을 통한 접근법(The Integrated Models Approach)은 모든 진리가 하나님의 진리이며 심리학과 신학이 상호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가정한다. 마지막으로 강탈 접근법(The Spoiling the Egyptians Approach)은 부정적인 심리학 영향에 대한 신학적 대응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심리학에서 유용한 요소를 선별적으로 채용하고자 한다""
1.2. 통합의 목적
통합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과 심리학은 함께 서로의 질문들에 대합할 수 있고 연구를 자극할 수 있는 관점들을 공유할 수 있으며, 하나님의 진리(특별히 사람에 대하여)에 대한 더 위대하고 분명한 발견과 이해들로 인도할 수 있다"" 둘째, 통합 임무는 신학과 심리학 사이에 대화의 통로를 열어 놓을 수 있다""
분야들을 통합하려고 시간을 소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네 가지 견해가 있다. 첫째, 이 전체적인 주제를 무시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점이다. 둘째, 사람들은 노골적으로 통합을 반대한다. 셋째의 견해, 통합이 필요없다는 것이다. 넷째 견해는 통합은 필요하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1.3. 다양한 통합 시도와 그에 대한 평가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을 시도하려는 다양한 접근법들이 있다". 첫째, "부인하는 접근법(The Denial Approach)"은 심리학과 신학 사이에 중대한 차이점들이 있음을 부인하고 통합이 이미 이루어졌다고 주장하는 접근법이다. 둘째, "철로 접근법(The Railroad Track Approach)"은 심리학과 신학이 서로 다른 가정, 용어, 자료 해석을 하고 있음을 인정하지만 실질적인 통합은 이루지 못하는 접근법이다. 셋째, "분석수준 접근법(The Levels of Analysis Approach)"은 리챠드 부브가 제안한 것으로, 과학과 기독교가 서로 다른 수준에서 인간을 탐구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접근법이다. 넷째, "통합된 모델을 통한 접근법(The Integrated Models Approach)"은 카터와 몰라인이 제안한 것으로, 모든 진리는 하나님의 진리이며 신학과 심리학이 서로 조화롭게 통합될 수 있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다섯째, "강탈 접근법(The Spoiling the Egyptians Approach)"은 로렌스 크랩이 제안한 것으로, 기독교와 세속 학문을 구분하지만 서로 유익을 얻을 수 있다고 보는 접근법이다. 여섯째, "재건 접근법(The Rebuilding Approach)"은 하나님이 존재하시며 모든 진리의 근원이라는 가정 아래에서 심리학을 재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통합 시도들에 대해 평가해 보면, 심리학과 신학이 서로 다른 관점과 가정, 방법론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되 양자가 서로 보완적일 수 있다는 입장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단순히 통합을 주장하거나 분리를 주장하는 것보다는, 두 학문이 서로 간에 건전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면서 상호작용하며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성경이 갖는 권위와 진리성을 인정하면서도 심리학적 통찰과 방법론을 균형 있게 활용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인간에 대한 보다 통합적이고 균형 잡힌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1.4. 실제적 통합 영역
1.4.1. 전문적 상담
기독교 실미학자들과 심리학적 결론들이 그리스도의 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여러 영역 중 하나가 전문적으로 사람을 도와주는 일이다. 전문적 상담가들의 경우 심한 혼돈 상태에 빠진 사람들을 상담하기 위하여 훈련을 받지만, 이러한 전문가들은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한 집단으로서의 그들은 훈련과 감독 그리고 목회와 평신도 상담자들을 도와주는 일들을 할 수 있고 해야만 한다.
전문적으로 사람을 도와주는 일에 있어서 기독교상담가이더라도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하다. 기독교인들도 세속적인 상담자들의 기법들과 같은 것들을 사용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상담 방법론, 성경에 대한 새로운 이해, 그리고 미래에 나타나게 될 기독교 상담 접근법에 있어서의 새로운 발견들에 대하여 마음을 열어야 한다.
이러한 전문적 상담사들은 자신들의 기독교적 신앙을 상담의 일부분으로 만들고 싶어 한다. 그렇지만 이것이 과연 독특한 것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우리는 상담의 가정들, 목표들, 기법들을 살펴보아야 한다.
전문적으로 사람을 도와주는 이들은 훈련과 감독, 그리고 목회와 평신도 상담자들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들은 자신들의 기독교적 신앙을 상담의 일부로 활용하고자 하나, 이는 독특한 것이 아니며 상담의 가정, 목표, 기법들을 살펴봐야 할 것이다. 결국 전문적 상담은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이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