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매독 산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생아 매독
1.1. 정의
1.2. 원인 및 전파 경로
1.3. 증상
1.3.1. 조기 선천성 매독
1.3.2. 지연 선천성 매독
1.4. 진단
1.4.1. 조기 선천성 매독의 진단
1.4.2. 지연 선천성 매독의 진단
1.5. 치료
2. 모체 수직감염 질환
2.1. 톡소플라스마증
2.2. 매독
2.3. 파르보바이러스 감염
2.4. 풍진
2.5.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2.6.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2.7. 백일해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생아 매독
1.1. 정의
신생아 매독은 세균 트레포네마 담창구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이다. 출산 전에 감염된 영아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매독은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지만, 임신부가 감염될 경우 매독을 유발하는 세균이 태반(태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기관)을 통과한다면 태아가 감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기가 매독을 가지고 태어날 때, 이를 선천성 매독이라고 한다.
1.2. 원인 및 전파 경로
매독은 세균 트레포네마 담창구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이다. 출산전에 감염된 영아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매독은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임신부가 감염될 경우 매독을 유발하는 세균이 태반(태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기관)을 통과하여 태아가 감염될 수 있다"이다.여성이 임신 중 매독에 감염되면 태반을 통해 태아로 전파될 수 있다. 이를 선천성 매독이라고 한다. 산모가 매독에 감염되었다면 태아로의 수직전파를 막기 위해 임신 기간 중 정기적인 혈액 검사가 필요하다. 산모의 혈액 검사 결과 양성인 경우 페니실린 치료를 통해 자신과 태아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이다.
1.3. 증상
1.3.1. 조기 선천성 매독
조기 선천성 매독은 생후 첫 3개월 동안 발현되는 매독 증상을 말한다. 이 시기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우선 큰 수포나 평평한 구리색 발진이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돋아난 소름이 코 및 구강 주변과 기저귀 부위에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증상 외에도 신생아가 잘 성장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입 주변에 균열이 있을 수 있고 코에서 점액, 고름 또는 피가 흐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림프절, 간 및 비장이 비대해지는 경우도 관찰된다.
드물게는 눈 또는 뇌의 염증, 발작, 수막염 또는 지적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생후 첫 8개월 이내에는 뼈 및 연골, 특히 장골 및 늑골의 염증으로 인해 영아가 움직이기 어려울 수 있으며 뼈가 부적절하게 발달할 수 있다. 또한 황달, 빈혈, 부종, 뼈의 이상, 가성마비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조기 선천성 매독은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며,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임신부의 정기적인 검진과 철저한 관리, 그리고 신생아 및 영아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2. 지연 선천성 매독
지연 선천성 매독의 경우, 생후 2년 후에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매독균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되어 구강 및 뼈의 기형, 눈 문제 등의 증상이 늦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코와 구강에 궤양이 형성될 수 있으며 뼈가 비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다"." 또한 눈...
참고 자료
박호란 외, 『아동간호학 하권』, chapter18 감염질환 아동, p58-19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 p103-111.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매독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34
서울아산병원, 퇴원안내, 신생아중환자실
http://amc.seoul.kr/asan/depts/neo/K/content.do?menuId=1745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신생아황달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신생아황달 (cdc.go.kr)
박호란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상). 현문사. 2020
주산기 주요 감염질환의 예방 및 관리 /박 채 연·조 현 진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XML/10103jksmch/pdf/jksmch-2020-24-3-13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