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상영양대학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인 30-49세 여성 대상 비타민C를 첨가한 레드비트주스 섭취의 빈혈예방 효과평가 연구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2. 연구가설
1.3. 연구방법
1.3.1. 대상자 선정 및 자료수집
1.3.2. 신체계측
1.3.3. 재료준비 및 제공방법
1.3.4. 혈액채취 및 측정항목
1.3.5. 통계방법
2. 콩 제품 섭취와 인터루킨 유전자 다형성이 위암 발병률에 미치는 영향
2.1. 연구 배경 및 목적
2.2. 연구 방법 및 결과
2.2.1. 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
2.2.2. 콩 제품 섭취량 및 이소플라본 분석
2.2.3. 인터루킨 유전자 다형성 분석
2.2.4. 콩 제품 섭취량과 인터루킨 유전자 다형성의 상관관계
2.3. 연구 결과 종합
3. 영양사의 직업 선택에 관한 고찰
3.1. 근무환경
3.2. 요구학력 및 관련전공
3.3. 입직경로
3.4. 발전 가능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인 30-49세 여성 대상 비타민C를 첨가한 레드비트주스 섭취의 빈혈예방 효과평가 연구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빈혈은 전세계 대략 1/3에 해당하는 인구, 약 8억명의 여성과 어린이에게서 나타나고 있으며, 저,중,고소득 모든 국가에서 인류 건강 및 사회경제적 개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3년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10세이상 국민의 빈혈 유병률은 11.6%로, 여자가 남자에 비해 약 4.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빈혈은 어지러움, 피곤함 증상을 보이며 어린이에게는 인지 기능 저하 및 운동 발달 장애가 유발될 수 있고, 임신 중 발생할 경우에는 출생 체중과 미숙아 출산 등에 영향을 미치며 출산 전후 사망률과 관련되어 있다.
영양 결핍성 빈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식품섭취 및 공급이 매우 중요하며, 비트(Red Beet, Beta bulgaris L.)는 전세계적으로 소비되는 주요 식품 중의 하나로 빈혈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트는 철 다량 함유 야채들과 비교했을 때 비용이 저렴하고 저장이 쉬운 특징이 있으며, 엽산이 가장 풍부한 식품 중의 하나이며 식이섬유와 칼륨, 망간, 철, 비타민C 등 여러 비타민과 무기질의 공급원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철 흡수를 돕는 비타민C를 첨가한 레드비트주스 섭취를 통하여 빈혈과 연관된 혈중 지표들의 수치 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주고 어느 정도의 빈혈예방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2.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 레드비트주스 섭취군, 비타민C를 50mg 첨가한 레드비트주스 섭취군, 비타민C를 100mg 첨가한 레드비트주스 섭취군 간 빈혈과 연관된 혈중지표 평균 수준에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또한 각 그룹의 섭취 전후 빈혈과 연관된 혈중 지표들의 평균 수준에도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1.3. 연구방법
1.3.1. 대상자 선정 및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30-49세 여성을 대상으로 비타민C를 첨가한 레드비트주스 섭취의 빈혈 예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 이중맹검 임상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총 160명의 한국인 만 30-49세 여성으로 선정되었다. 대상자 선정 기준은 체질량지수가 20 초과 25 미만이며 질병이 없는 자이다. 임산부, 식품알레르기가 있는 자, 흡연자, 혈액암·유전성용혈 빈혈증·혈액관련 질병이 있는 자, 기타 연구참여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자는 제외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대상자들의 성별, 나이, 주거 및 가족형태, 가족 또는 개인월 수입, 가족내 아동 수, 식사섭취유형, 하루 식사섭취 횟수, 거주지역, 음주정도, 하루 커피 또는 에너지드링크 섭취빈도, 이전 빈혈경험 여부, 규칙적인 월경주기 여부 등의 정보가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보는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한국인 30-49세 여성을 대상으로 비타민C 첨가 레드비트주스 섭취의 빈혈 예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체계적인 대상자 선정과 자료 수집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1.3.2. 신체계측
신체계측은 연구대상자들의 키, 체중, BMI를 측정하는 것이다. Inbody 측정기계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키, 체중, BMI를 측정한다고 밝혔다. 신체계측을 통해 연구대상자들의 기초적인 신체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1.3.3. 재료준비 및 제공방법
재료준비 및 제공방법이다. 플라시보는 사용이 허용된 적색식품색소와 정제수를 사용하여 제조하되, 당을 첨가하여 제공되는 주스의 맛과 열량을 유사한 수준으로 맞추었다. 비트주스의 경우 구입한 비트를 세척 후 200g을 갈아서 착즙한 후 정제수 100ml과 당 30g을 넣어 제조하고, 비타민C 첨가 비트주스의 경우 비트주스에 비타민C 50mg, 100mg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연구참여자에게 동일한 식이와 준비된 플라시보, 비트주스, 비타민C를 첨가(50mg, 100mg)한 비트주스를 각각 200ml씩 밀봉된 형태로 제공하여 매일 아침식사 전에 섭취하도록 하였다.
1.3.4. 혈액채취 및 측정항목
실험 시작 전과 후 채취된 혈액으로 혈중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철(Iron), 페리틴(Ferritin), 총 철 결합력(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트렌스페린(Transferrin), 적혈구(Red blood cell, RBC), 평균 적혈구 용적(Mean co...
참고 자료
Effects of Soy Product Intake and Interleukin Genetic Polymorphisms on Early Gastric Cancer Risk in Korea: A Case-Control Study, Cancer Res Treat. 2017;49(4):1044-1056
World Health Organization, Nutritional anaemias: Tools for effective prevention and control. 2017; 12-27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나라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nutrient
Gheith, A. El-Mahmoudy. Laboratory evidence for the hematopoietic potential of Beta vulgaris leaf and stalk extract in a phenylhydrazine model of anemia. Brazilian Journal of Medical and Biological Research. 2018; 51(11): e7722.
Ninfali P, Angelino D. Nutritional and functional potential of Beta vulgaris cicla and rubra. Fitoterapia. 2013; 89:188-199
Gilchrist M, Winyard PG, Fulford J, Anning C, Shore AC, Benjamin N. Dietary nitrate supplementation improves reaction time in type 2 diabet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ovel nitrate-depleted beetroot juice placebo. Nitric Oxide 2014; 40: 67–74.
Indhumathi T, Kannikaparameswari K. Hematopoietic study of the methanolic root extract of Brta vulgaris on albino rats-an in vivo study. Int. J. Pharm. Bio. Sci. 2012; 3(4):1005 -1015.
Jaiswal A, Ganeshpurkar A, Awasthi A, Bansal D, Dubey N, Singh AK, et al. Protective effects of beetroot extract against phenyl hydrazine induced anemia in rats. Phcog J. 2014; 6: 1–4.
Al-aboud NM. Effect of red beetroot(Beta vulgaris L.) intake on the level of some hematological tests in a group of female volunteers. ISABB Journal of Food and Agricultural Sciences. 2018; 8: 10–7.
Gayathri PN, Malarvizhi M, Annal JJ. Beet root juice on haemoglobin among adolescent girls. J. Nurs. Health Sci. 2013; 2(1):09-13.
Zielińska-Przyjemska M, Olejnik A, Dobrowolska-Zachwieja A, Grajek W. In vitro effects of beetroot juice and chips on oxidative metabolism and apoptosis in neutrophils from obese individuals. Phytopher. Res. 2009; 23:49-55.
Nadadur SS, Srirama K, Mudipalli A. Iron transport and homeostasis mechanisms: Their role in health and disease. Indian J. Med. Res. 2008; 128:533-544.
Maryam Lotfi, Mohammad Azizi, Worya Tahmasbi, Parviz Bashiri, The effects of consuming 6weeks of Beetroot juice(Beta vularis L.) on hematological parameters in female soccer players. Kermanshah Univ Med Sci. 2018; 22(3):e82300.
Anupam Jaiswal, Aditya Ganeshpurkar, Ankita Awasthi, Divya Bansal, Protective effects of Beetroot extract against Phenyl Hydrazine induced Anemia in rats. Phcog J. 2014; 6(5).
FAOSTAT, http://www.fao.org/faostat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발간등록번호11-1352000-001546-14.
보건복지부 129 www.mw.go.kr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1544-4244 www.kuksiwon.or.kr
대한영양사협회 (02) 832-5680 www.dietitian.or.kr
지역 교육청 홈페이지 영양교사 채용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