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니엘서 2장의 예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묵시문학과 종말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및 개요
2. 묵시문학의 이해
2.1. 묵시문학의 정의와 특징
2.2. 예언문학에서 묵시문학으로의 전환
3. 묵시문학의 사례: 다니엘서
3.1. 다니엘서의 시대적 배경
3.2. 다니엘서의 구조
3.3. 다니엘서의 핵심 메시지
4. 묵시문학의 종말 사상
4.1. 예언자 종말론과 묵시문학 종말론의 비교
4.2. 묵시문학 종말론의 특징
5. 한국교회에 주는 교훈
5.1. 묵시문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의 종말론
5.2. 다니엘서가 제시하는 신앙의 자세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묵시문학과 종말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지금까지 종말론적 사상에 잘못된 이해와 주장들은 많은 이단을 만들어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묵시문학은 오랫동안 관심 밖의 대상이었다. 특히 한국 교회에서는 묵시 문학 안에 있는 상징과 세계관은 난해하며 이질적인 부분이 다분해서 전통 신학의 밖에 있다고 치부했었다. 이러한 잘못된 편견으로 인해 묵시문학과 종말에 관한 말씀은 늘 민감한 주제로 교회에서도 쉽게 다루지 않는 경향이 많다. 이러한 상황 속에 발제자는 종말에 깊은 관심이 많아 묵시문학과 종말의 발제를 선택하게 되었다."라고 할 수 있다.
1.2. 연구 목적 및 개요
본 연구는 묵시문학과 종말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약의 대표적인 묵시문학 작품인 다니엘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묵시문학은 하나님의 구속사와 종말론을 다루는 중요한 신학적 주제이지만, 상징과 환상이 많아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영역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묵시문학의 정의와 특징, 예언문학에서 묵시문학으로의 전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다니엘서의 시대적 배경과 구조, 핵심 메시지를 분석할 것이다. 특히 다니엘서 7장을 중심으로 묵시문학의 종말 사상, 하나님 나라, 인자의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것이다.
마지막으로 묵시문학적 관점에서 한국 교회의 종말론을 조명하고, 다니엘서가 제시하는 신앙의 자세를 탐구하여 한국 교회에 주는 교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묵시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 교회의 종말론적 신앙을 재정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2. 묵시문학의 이해
2.1. 묵시문학의 정의와 특징
묵시문학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묵시문학은 "폭로하다, 드러내다"라는 의미를 가진 아포칼립시스(apokalypsis)에서 유래한 용어로, 시간과 공간을 포함하는 초월적 실재를 사람에게 은밀히 소개하는 형식의 계시를 담은 언어 표현이다. 이러한 묵시문학은 일반적으로 꿈과 환상이 많이 있는데 세 가지의 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묵시"가 있다. 이는 문학의 한 장르를 말하는 것으로 하나님께서 중보자를 통해 환상가에게 미래의 일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둘째, "묵시론적인 종말론"이 있다. 이는 문학적 장르나 종교적 운동으로 보지 않고 하나님께서 일상생활의 세계를 어떻게 다루시는가를 관망하는 종교적 견해이다. 셋째, 핸슨(Hanson)이 말한 "묵시 문학 운동"이다. 이는 묵시 문학의 발전된 상태로 사회에서 소외 의식을 느낀 집단이 이상향을 꿈꾸어 혁명적 집단으로 변하거나, 지하로 숨어버리는 현상의 사회 종교적인 운동이다.
묵시문학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저자의 익명성이다. 묵시문학의 저자들은 자신의 이름을 밝히며 선포하는 예언자들이 아니며, 오히려 자기의 정체를 숨기고 다른 사람의 이름을 빌려 발표했다. 둘째, 꿈과 환상이 많이 나타난다. 묵시문학을 말하는 이들은 환상을 보는 이들이며 그 환상 속에서는 대체로 미래의 역사가 계시되어진다. 셋째, 이원론의 특징이 있다. 현세와 내세를 포함하는 범 우주적인 차원에서 논의되며, 현세를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묵시문학은 미래에 대한 계시와 초월적인 세계에 대한 이해를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역사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2.2. 예언문학에서 묵시문학으로의 전환
예언문학에서 묵시문학으로의 전환은 이스라엘 신앙에서 미래를 지향하는 성격이 점점 강화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이스라엘 신앙은 맨 처음부터 미래를 지향하고 있었다. 이스라엘 신앙에 의하면 역사 속에서 야훼의 활동은 '목적 지향적'이었고, 사건들은 이스라엘과 열방들을 향한 하나님의 목표를 실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역사가 하나님의 인도 아래에서 최종적인 완성을 향하여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
포로기 이전 시대에는 이러한 소망이 다가오는 "야훼의 날"로 나타났다. 즉 야훼가 원...
참고 자료
안토니 A 호크마, 류호준 역, 『개혁주의 종말론』
왕대일, 『묵시문학과 종말론』 (대한기독교서회, 2004)
앤더슨, 버나드 W. 『구약성서 이해』. 강성열 · 노항규 옮김. 서울: CH북스, 1994. 744-745.
쿡, 스티븐 L. 『묵시문학』. 차준희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5. 25/ 168-169/ 170-171.
장일선. 『구약신학의 주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9. 381/ 396-397.
핸슨, 폴. 『묵시문학의 기원』. 이무용 · 김지은 옮김. 서울: CH북스, 2007. 15/ 21.
민영진, 이경숙, 임태수, 김이곤, 박준서, 김찬국, 박준서, 『새롭게 열리는 구약성서의 세계』.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6. 160.
안병무. 『민중신학 이야기』.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8.
김정혁. “다니엘서와 주전 2세기 이스라엘 공동체 : 다니엘서 7장 1-28절에 관한 주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25-26.
왕대일. “신학과 세계 제 45호 : 묵시문학 다니엘서에 수록된 상징 이해”. 논문, 감리교신학대학교, 2002. 9-13.
바이블프로젝트 BibleProject – Korean, “다니엘 개요 Daniel”.
https://www.youtube.com/watch?v=clI5OYY4lV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