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환경교육과 쓰레기 분리수거
1.1. 우리나라의 생활폐기물 처리 현황
우리나라의 생활폐기물 처리 현황은 다음과 같다.
한 해 발생하는 쓰레기량은 약 1500만 톤에 달하며, 현재 생활쓰레기의 약 16%는 매립, 25%는 소각되고 있다. 재활용을 위한 노력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의 단위면적당 쓰레기 발생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4위로 스웨덴보다 약 5배 더 많은 실정이다. 1995년 종량제 시행으로 쓰레기 발생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최근에는 한계에 봉착하였다. 종량제 봉투 값의 상승이 미미하면서 쓰레기 재활용 유발 효과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의 절반 이상이 여전히 종량제 봉투에 버려지고 있다. 현 추세대로라면 향후 4년 후에는 쓰레기를 매립할 땅조차 사라질 것으로 우려된다. 생활쓰레기가 제대로 분리수거와 소각 등의 과정을 거쳤다면 매립해야 할 쓰레기는 불연성 물질(14%)정도에 불과할 것이다.
1.2. 독일의 쓰레기 처리 사례
2005년 쓰레기 매립 금지를 선언한 독일은 필요 기술 개발을 위해 12년 동안 노력한 끝에 2010년 이미 매립률이 0.42%에 불과하다"". 독일은 쓰레기를 소각과 재활용을 거쳐 1% 이내로 축소했다"". 생활쓰레기 배출 시 비용을 한국의 2배 이상 부과하고 있으며, 민간 재활용협회를 중심으로 중고품 재활용 운동을 활성화하고 있다"". 또한 대낮 일과 중에 주택가 쓰레기를 회수하고 있으며, 청소노동자들의 안전에 철저하고 비닐봉지가 아닌 가정마다 보급된 쓰레기 수거 통으로 모든 종류의 폐기물을 위생적으로 수거하고 있다"".
1.3. 분리수거의 필요성
분리수거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쓰레기 처리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쓰레기는 모두 같은 쓰레기가 아니며, 가연성 쓰레기와 불연성 쓰레기, 유해 쓰레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쓰레기들을 각자의 특성에 맞게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리수거를 통해 쓰레기 처리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자원 순환과 재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분리수거를 통해 자원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우유팩은 화장지로, 쇳덩이는 철 공급으로, 유리병은 유리 제품 생산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족한 자원을 대체하고 자연 훼손과 경제적 타격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분리수거는 자원 순환과 재활용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한다."
1.4. 올바른 분리수거 방법
올바른 분리수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재활용 가능 품목과 배출요령으로는 첫째, 종이류는 신문지, 책, 종이상자 등의 종이 류를 서로 섞이지 않게 모아 버린다. 둘째, 플라스틱류는 페트병, 비닐, 스티로폼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