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간호임상과 이론의 차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최초 생성일 2024.10.10
12,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임상과 이론의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1.1.2. 연구의 목적
1.1.3. 연구가설
1.1.4. 용어의 정의
1.2. 연구방법
1.2.1. 연구 설계
1.2.2. 연구 대상
1.2.3. 연구 도구
1.2.4. 자료 수집
1.2.5. 자료 분석
1.2.6. 윤리적 고려사항
1.3. 연구결과
1.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정
1.3.2. 가설검증
1.4. 논의
1.5. 결론 및 제언

2. 현장실습과 온라인실습 경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비교
2.1. 서론
2.1.1. 연구의 필요성
2.1.2. 연구의 목적
2.1.3. 연구가설
2.1.4. 용어의 정의
2.2. 문헌고찰
2.2.1. 현장실습, 온라인실습
2.2.2. 임상수행능력
2.3. 연구방법
2.3.1. 연구설계
2.3.2. 연구대상자
2.3.3. 측정도구
2.3.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2.3.5. 자료분석
2.4. 기대결과 및 활용방안

3. 간호학과 학생의 MBTI 유형에 따른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 및 스트레스
3.1. 서론
3.1.1. 연구의 필요성
3.1.2. 연구의 목적
3.1.3. 가설
3.1.4. 용어정리
3.2. 문헌고찰
3.2.1. MBTI 성격유형
3.2.2. 심리적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3.3. 연구방법
3.3.1. 연구 설계
3.3.2. 연구 대상
3.3.3. 연구 도구
3.3.4. 자료수집방법 또는 연구 진행절차
3.3.5. 자료 분석 방법
3.4.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간호학은 응용학문으로 학생들을 능숙한 임상전문가로 준비시키기 위하여 간호이론과 더불어 숙련된 기술과 경험을 겸비하기 위하여 임상에서의 실습교육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간호대학생들은 임상실습 중에 이론과 실무현장의 차이, 실습환경 등에 의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실습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올바른 임상수행능력 함양을 저해할 수 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임상 실습 제한으로 인해 대면 실습의 대체 교육방법으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이 활용되고 있다.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은 자원적 제약이 적고 다양한 시나리오 설계가 가능하며 시간과 장소의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국내 간호학에서 도입단계인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이 간호대생의 임상 수행능력, 문제해결 능력, 간호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임상 실습에 대안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임상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둘째,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셋째,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간호 수행 자신감에 미지는 효과를 파악한다.


1.1.3. 연구가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2학년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임상 수행능력, 문제해결 능력, 간호 수행 자신감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1.4. 용어의 정의

'1)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1) 이론적 정의 : 여러 사용자가 인터넷 또는 시설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가상현실 객체 및 다른 대상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현실의 시나리오를 구현한 3차원의 가상현실 세계이다. (2)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Leardal사 VSIM®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성인 간호 영역 중 폐렴, 급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급성 심근경색, 당뇨병 시나리오를 말한다.

2) 임상 수행능력 (1) 이론적 정의 : 학습된 지식, 기술, 태도, 판단 등을 임상 상황에서 적절하게 보여주고 유능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개인의 특성과 상황이 다양한 임상 장소에 따라 과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수행하는지를 의미한다. (2)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IX-Dimension Scale을 기반으로 이원희가 개발한 임상 수행능력 측정 도구를 최미숙이 수정 및 보완 후 박수진, 지은선이 수정한 측정 도구로 측정한 '간호 과정', '간호 술기', '교육 및 협력' 정도를 말한다.

3) 문제해결 능력 (1) 이론적 정의 : 주어진 상황을 탐색하고 이해한 후 체계적 단계에 따라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다. 대안을 많이 생각하고 이 대안들이 가져올 결과를 예측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최대화하고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하는 해결책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다. (2)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우숙 등이 개발한 측정 도구로 측정한 문제해결과정 정도를 말한다.

4) 간호 수행 자신감 (1) 이론적 정의 : '어떤 일을 할 수 있다'라는 마음 상태이다. 원하는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다는 믿음이다. (2)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20가지 핵심기본 간호술을 실습 과정 중 간호대학생이 수행함에 따른 간호수행자신감 정도에 대한 주관적인 점수로 측정한다. 방순식, 김일옥의 도구와 김선옥의 도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각 시나리오에 해당하는 7가지 핵심 술기를 중심으로 개발한 측정 도구로 측정한 정도이다.""


1.2. 연구방법
1.2.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임상 수행능력, 문제해결 능력, 간호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실험군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적용받고, 대조군은 적용받지 않는 설계로 구성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임상 수행능력, 문제해결 능력, 간호 수행 자신감을 사전 조사하고, 실험군에게 5주 동안 주 1회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적용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임상 수행능력, 문제해결 능력, 간호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2.2.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은 J 대학교의 2학년 간호대생으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적용의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다. 연구 대상자 수는 G pow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유의수준 .05 검정력 .85 효과크기 .45를 기준으로 했을 때 최소표본은 47명이며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26명씩 총 5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2명이 중도 탈락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2부를 제외한 48부를 최종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1.2.3. 연구 도구

구조화된 웹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문항, 임상 수행능력 15문항, 문제해결 능력 30문항, 간호수행자신감 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임상 수행능력은 SIX-Dimension Scale을 기반으로 이원희 등이 개발한 임상 수행능력 측정 도구를 최미숙이 수정 및 보완 후 박수진, 지은선이 수정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간호 과정 5문항, 간호 술기 5문항, 교육 및 협력 5문항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 수행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박수진, 지은선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0.94였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8이었다.""

문제해결 능력은 이우숙 등이 개발한 성인의 문제해결 능력 측정 도구로 평가하였다. 이 도구는 문제의 명료화 6문항, 해결방안 모색 7문항, 의사결정 5문항, 해결책 수행 6문항, 평가 및 반영 6문항으로 총 5개 영역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해결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우숙 등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8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4였다.""

간호수행자신감은 방준식, 김일옥의 도구와 김선옥의 도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각 시나리오에 해당하는 7가지의 핵심 술기를 중심으로 개발한 측정 도구로 평가하였다.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수행자신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78이었다.""


1.2.4. 자료 수집

연구 대상자 모집을 위해 J 대학교 간호학부장에게 허락을 구한 후 2020년 12월 28일부터 2021년 1월 6일까지 간호학부 사무실을 통해 연구 참여 공고문을 게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중재를 위해 실험군에게 21년 1월 18일부터 21년 2월 19일까지 개별 아이디를 부여하여 진행하였고 사후조사는 21년 2월 20일부터 21년 2월 27일까지 진행하였다. 사후조사 후 대조군에게 5개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적용할 수 있도록 개별 아이디를 부여하였다. 이는 간호대학생 대상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연구의 일환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나누어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실험처치를 적용한 후 결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1.2.5.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임상 수행능력, 문제해결 능력, 간호 수행 자신감의 사전 동질성을 검정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 Fisher의 정확 검정, 독립표본 t-검정,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임상 수행능력, 문제해결 능력, 간호 수행 자신감을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 도구의 신뢰도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다양한 통계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참고 자료

김현실, 김은미, 이동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과의 교내실습 경험연구: 정신간호학 실습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1(2), pp.169-178 doi:10.5762
심미정.(2021). 코로나-19로 인한 교내실습교육의 실습만족도, 학습자신감 및 간호실무능력과의 관계.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2021(4), pp. 553-563. doi:10.33097
임재란, 송효숙(2021).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경험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환자안전관리 지식 및 수행자신감의 차이.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21(7), pp. 65-73 doi;10.9708
구옥희.(2021) 비대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 전문 직관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1(10), pp. 346-356, doi:10.5762
전은영, 김소현, 김민중, 김서현, 김성주, 김소영, ...김지수. 현장실습과 온라인실습 유형별 간호 대학생의 실습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경북간호과학지. 2021(2), pp.31-70. doi:10.38083
김혜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연구.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cty. 2002(1) 64-79,
김보영, 채명정, 최연옥.(2018).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8(2), pp.220-230. doi:10.12799
한상영. 2017. ⌜간호대학생의 mbti성격유형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2020.11.01. ~ 2020. 11. 09 H 대학교 3, 4학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도
(조사도 : http://naver.me/5Fk60EZO , 결과지 : http://naver.me/GI7aUGPo)
네이버 지식백과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박정운 외 3명. 2012. ⌜연구개발 인력의 성격유형(MBTI)과 근무환경이 조직유효성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격유형(MBTI)중 행동유형을 중심으로⌟
양영주. 2020. ⌜간호대학생의 간호이미지,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한영미 외 1명. 2017. ⌜간호대학생의 MBTI성격유형,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양보건대학교, 전남대학교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 동서의학과 2018.2(https://www.riss.kr심리유형이론(MBTI)과 사상체질에 관한 문헌 고찰)
학위논문(석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6. 2 (https://www.riss.kr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간호사의 교수효능감)
학위논문(석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2.2 (https://www.riss.kr 전담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학위논문(석사)--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 경영정보학과 2011. 2 (https://www.riss.kr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