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원식물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원식물의 개요
1.1. 자원식물의 정의
1.2. 자원식물의 특성
1.3. 자원식물의 산업적 이용
2. 식물유전자원의 유전적 침식
2.1. 유전적 침식의 개념
2.2. 유전적 침식 원인
2.3. 유전적 침식 대책
3. 오메가-3 지방산
3.1. 오메가-3 지방산의 효능과 기능
3.2. 오메가-3 지방산의 주요 자원
4. 약용식물
4.1. 약용식물의 주요 성분
4.2. 고품질 한약재 생산요건
5. 인삼의 수경재배
5.1. 인삼 수경재배의 주요 과정
5.2. 새싹삼 생산의 필요성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원식물의 개요
1.1. 자원식물의 정의
자원식물이란 인류가 식물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는 생물종 중에서 뿌리나 줄기, 잎, 꽃, 열매 등을 다방면으로 인간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식물자원을 의미한다. 자원식물은 채취하여 그대로 먹을 수 있는 식물, 약으로 이용 가능한 식물, 독이 있는 식물, 독이 있으나 약으로 이용 가능한 식물, 연료와 공업연료 및 토양 보존에 이용되는 식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1.2. 자원식물의 특성
자원식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자원식물은 종류가 많고 분포지역도 다양하기 때문에 용도가 다양하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식물도 야생식물로부터 적응과 선발을 거쳐오는 동안 그 환경에 잘 적응하여 생존할 수 있게 특성이 변화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 재배법이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식물들이 매우 많다. 자원식물은 수량도 중요하지만 품질로 가치가 평가되는 식물이 많다. 심한 경우 품질이 규격에 맞지 않으면 쓸모없는 것으로 되어버리기도 한다. 이러한 자원식물의 특성은 특정 지역에서 양질의 식물이 재배되는 환경적 요인과 맞물려 자원식물의 특산지로 개발되는 결과를 낳았다. 예를 들면 인삼은 개성, 강화, 김포, 풍기, 금산 등지가 특산지이고 모시풀은 한산지방, 호프는 강원도 고랭지대가 재배적지로 알려져 있다.
자원식물은 파종기, 수확기, 생육습성이나 생육환경이 다른 것이 많으므로 이들은 잘 적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토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노력을 계절적으로 고루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자원식물 중에는 용도 및 이용법이 확실하게 밝혀진 종이 많지 않다. 따라서 자원식물의 가치는 현재의 이용가치는 물론, 앞으로의 잠재적인 이용가치가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자원식물은 직접 순화하여 재배하기도 하지만 품종 개량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이용하여 이들로부터 유용형질을 도입하면 재배적 가치가 높은 자원식물을 육성할 수 있다. 자원식물의 생산물의 품질과 규격을 통일시키기 위한 가공시설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원료 생산을 위한 가공 산업과 유통 산업 등 다양한 유관산업이 발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1.3. 자원식물의 산업적 이용
자원식물은 수량의 증대와 품질 개선을 위한 육종소재로서의 유전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체를 그대로 또는 건조가공하여 각종 산업의 원료로 직접 이용하거나 유효성분을 추출분리하여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자원식물의 산업적 이용으로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는 의학이다. 스트레스에 의한 각종 암, 치매, 골소공증, 혈관 및 뇌혈관 장애, 관절염, 당...
참고 자료
류수노외, 『자원식물학』, 2018,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81899&cid=62861&categoryId=62861 유전적 침식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qlswhddl&logNo=221723892081&categoryNo=17&proxyReferer=&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새싹인삼 자료사진
자원식물학 (2021), 류수노·이봉호·이병윤,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원
류수노, 『자원식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