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의 이해
1.1. 정의 및 병태생리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은 뇌조직의 혈액 공급이 갑자기 감소하여 뇌기능이 상실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경색(cerebral infarction)과 일과성 허혈성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뇌의 혈류는 윌리스 환을 통해 끊임없이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뇌혈류는 신체 대사 요구에 맞춰 일정하게 자동적으로 유지되며, 혈압, 이산화탄소량, 산소량, 수소이온 농도 등의 변화에 따라 반응한다. 이러한 자동조절기전은 수축기압 50~160mmHg에서 효율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혈류의 감소로 산소 공급이 감소되면, 신경세포는 충분한 ATP는 생성하지 못하면서도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게 되어 pH가 낮아지고 기능을 멈추게 된다. 이로 인해 허혈은 경색부위에서 세포 내 칼슘의 양을 증가시키고 글루탐산염을 유리하게 되는데, 이것이 지속되면 손상과정이 활성화되어 세포막이 파괴되고 더 많은 칼슘과 글루탐산염을 유리함으로써 혈관을 수축시키고, 자유기를 생성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손상 부위는 경색 부위에서 반음영 영역으로 점차 확대된다.
초기에는 손상된 부위의 회백질이 진흙색으로 변하고 백질에 약간의 변색과 연화가 오며, 4~5분 안에 세포 내에서 변화가 나타나고 분당 2백만의 뇌세포가 죽기 시작한다. 48~72시간 후에는 경색, 괴사, 병소 주변의 부종과 손상된 부위의 변성이 분명해지다가 낭종이 형성된다. 완전히 폐색되지는 않았으나 경화된 혈관들이 많아 허혈 부위에 측부 혈액공급이 어렵다면 경색은 더욱 촉진된다.
1.2. 원인 및 위험 요인
허혈성 뇌졸중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혈류가 차단되는 경우이다"" 그 외에도 심장부정맥, 심부전 및 심근경색의 후유증 등으로 인하여 심장에서 혈전이 생성되고, 이 혈전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뇌혈관을 막아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모야모야병, 호모시스테인혈증 등 극히 드물게 발생하는 질병에 의해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허혈성 뇌졸중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 심장질환, 비만, 노령, 가족력 등이 있다"" 고혈압은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지속적인 고혈압은 동맥경화를 가속화시켜 뇌혈관을 좁아지게 하고 혈전 형성을 촉진한다"" 당뇨병 환자는 뇌졸중 위험이 2-3배 증가하며, 당뇨병이 있는 경우 고지혈증, 비만, 고혈압 등 다른 위험 요인들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흡연은 혈관 내피 기능 장애, 혈액 점도 증가, 혈소판 응집 촉진 등으로 뇌졸중 위험을 2-3배 높인다"" 심방세동, 판막질환, 심근경색증 등 심장질환도 주요 위험 요인에 해당하며, 특히 심방세동은 심인성 색전증 발생 위험을 5배 증가시킨다"" 비만과 운동 부족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