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학업 스트레스가 문제가 되고 있다. 2019년 12월 통계청의 발행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아동·청소년들의 평균 수면시간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관리를 위한 운동이나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33.8%가 죽고 싶다는 생각을 가끔 혹은 자주 한다고 응답했으며, 그 원인 중 1위가 학업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에 가는 것이 즐겁다는 응답 비율도 초등학생 80%대에서 중학생 70%대, 고등학생 60%대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에는 학업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한 학생들이 학업 중단을 선언하고 학교를 그만두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학업 중단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지만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청소년들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미래를 위해 현재의 행복을 미뤄야 한다는 가치관이 청소년들의 생활을 강하게 제약하고 있는 데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부모의 역할은 어떻게 작용할 수 있을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학업 스트레스와 부모의 역할
2.1. 학업 스트레스의 개념과 특성
학업 스트레스는 학업과 관련해서 가정, 학교, 사회로부터 유발되는 갈등, 좌절, 불안, 억압, 분노, 우울 등의 부정적인 감정으로 개인이 느끼고 경험하는 심리적, 정서적 스트레스이다. 이는 개인이 학업을 수행하는 환경을 바탕으로 개인과 환경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감정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업 스트레스는 첫째, 학업 성적이 떨어져 청소년이 겪는 심각한 열등감과 좌절감, 그리고 그로 인해 생겨나는 심리적인 문제이다. 둘째, 청소년이 입시라는 환경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자신의 능력만으로는 완전하게 대처해나갈 수 없다고 느끼는 데서 비롯되는 불안이다. 이러한 불안 증세에는 피로, 의욕 상실, 무기력, 두통, 현기증, 시력 장애, 기억력 장애, 식욕부진, 불면증 등이 있다. 셋째, 학업에 대한 의욕과 동기가 높은 청소년이 공부에 장시간을 투자하여 열의 있게 학업에 임하는데도 성적이 오르지 않아 느끼는 좌절감 등이다.
이를 종합하면, 학업 스트레스는 학업이나 성적 향상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버겁고, 귀찮고, 하기 싫다고 느끼는 극도의 기피 현상이 일어나 정신적으로 심각한 부담을 느끼는 것, 학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감정 상태라고 할 수 있다.
2.2. 부모의 역할과 태도가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역할과 태도가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부모가 청소년의 학습이나 학업에 관여하는 역할과 태도는 청소년의 성적이 향상되기를 바라는 의도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이는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지지, 학습 참여,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 학업에 대한 조력 등 긍정적인 역할도 포함되지만 학습에 대한 압박, 성적 향상에 대한 압력, 성취에 대한 기대 등, 성적 하락 후 질책 등 부정적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청소년들의 입장에서는 학업과 학습에 대한 부모의 관여와 관심이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부모가 청소년의 학습에 지나치게 간섭하거나 성적 향상에 대한 심리적인 압박을 가할수록 청소년들은 오히려 학습에 대한 의욕이 줄어들고 동기가 낮아지게 된다. 부모의 기대가 클수록 청소년에게는 압박으로 작용하며, 청소년들은 자신의 능력에 비해 부모가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이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공부에 대한 흥미, 동기, 태도, 가치관 등이 부정적으로 자리잡게 된다.
따라서 부모의 지나친 학습 관여와 성적 향상에 대한 압박은 오히려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청소년들은 자신의 학습에 대한 자율성을 확보하고 싶어하지만, 부모의 과도한 개입과 기대로 인해 큰 압박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