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신약신학에 대한 개괄
신약신학에 대한 개괄은 다음과 같다.
신약성경 전체의 경관을 조망하는 것이 이 책의 목표이다. 개별적 본문이나 책에만 몰두하여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성경 전체 66권의 경관을 볼 수 있는 시야를 갖추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신약은 무엇에 관한 것인가? 주요 주제는 무엇인가? 어떻게 서로 맞아 들어가는가?"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과도 연관된다.
저자는 서론에서부터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하나님 중심성, 구원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 성령의 역할, 종말에 대한 내용 등 신약신학의 핵심 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신약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통일성 있는 주제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저자는 신약신학의 핵심 주제로 "이미-아직 아니"의 주제, 즉 하나님의 구원 약속이 그리스도 사건을 통해 이미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완성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신약신학을 관통하는 중요한 주제로, 구약의 약속이 신약에서 어떻게 성취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처럼 저자는 신약의 전체적인 흐름과 주요 주제들을 일관되게 다루고자 하며, 이를 통해 신약성경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저자의 주제 선정과 구성 방식
저자는 신약성경 전체의 경관을 조망하는 것을 목표로 책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저자가 중요시하는 것은 개별적 본문이나 개별적 책에만 몰두되어서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성경 전체 66권의 경관을 볼 수 있는 시야를 갖추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서 본서를 구성하고 있다.
이는 저자가 서론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신약은 무엇에 관한 것인가? 주요 주제는 무엇인가? 어떻게 서로 맞아 들어가는가?"에 대한 답변과도 연관이 되어있다. 저자인 토마스 R. 슈라이너는 이러한 설명을 하기 위해서 본서 전체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책에서 다루고 있는 13가지의 주제를 성경 전체를 통해서 일관되게 반복되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다.
저자는 1장에서부터 13장에 이르기까지 성경 속에 등장하는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제1장에서는 "하나님의 구원 약속의 성취: 이미-아직 아니"라는 주제를 가지고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있고, 이어서 제2장에서는 "신약신학의 하나님 중심성"에 대해서 저자는 다루고 있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복음서의 그리스도 중심성"에 대해서 살펴보는데, 이 세 가지 주제들은 저자가 서론에서도 언급했던 것처럼 성경 속 가장 중요하고도 분명하게 드러나는 주제 중 하나이다.
저자는 3장까지 복음서를 살펴본 이후에 사도행전, 그리고 바울서신에서 등장하는 중요 주제들, 이후에는 히브리서에서 요한계시록까지의 기독론을 설명하는데 이는 각각의 장 속에서 등장하는 본문을 살펴보는 설명 패턴과 동일한 것이다. 즉, 사복음서-사도행전-바울서신-신약의 나머지 성경들로 구성되는 이 순서는 각 장의 주제를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를 읽는 독자들은 각 장의 구조에서부터 본서 전체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구성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들은 성경을 통일성 있게 보려는 저자의 시도에서 비롯된 것이며 실제로 성경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중요한 개념들을 각 권의 성경 속에서 성경을 뛰어넘지 않고, 성경 속에서 말하는 데 까지만 다루는 저자의 개념이 드러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1.3. 책의 구성 및 주요 내용
저자는 이 책의 구성 및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신약신학의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서론 부분에서는 저자가 신약신학을 다루는 접근방식과 구성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저자는 신약신학의 핵심 주제로 하나님 중심성, 그리스도 중심성, 성령의 사역과 인간의 반응, 종말론적 관점과 미래의 사건 등을 강조하고 있다"" 본론에서 각 장을 통해 이러한 주제들을 공관복음, 요한복음, 사도행전, 바울서신, 기타 서신서 등 신약의 다양한 문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며 다루고 있다""
이처럼 저자는 신약 전체의 관점에서 주요 신학 주제들을 조망하고 있으며, 특히 하나님 중심성과 그리스도 중심성을 핵심으로 제시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신약신학의 핵심 주제들을 요약하고,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어떻게 성취되고 완성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진리가 신자들의 삶에 어떤 실천적 함의를 주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2. 본론
2.1. 하나님 중심의 신약신학
2.1.1. 공관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주권, 긍휼, 영광
공관복음이 전하는 하나님은 세 가지 주요 주제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하나님의 주권이다. 공관복음에 따르면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것이며, 하나님은 모든 것을 통치하시는 주권자이다. 둘째, 하나님의 긍휼이다.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는 하나님의 구원 약속의 성취를 의미하며, 하나님은 그의 언약적 약속을 이루시는 약속의 수호자이자 긍휼의 하나님이시다. 셋째, 하나님의 영광이다. 하나님 나라를 발견할 때 인간은 하나님의 위대한 보화를 얻게 되므로, 인간은 하나님 나라를 위해,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아야 한다.
공관복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또 다른 주제는 하나님의 아버지 되심이다. 하나님이 "하늘에 계신 아버지"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권위와 주권을 강조한다. 하나님은 주권자이신 아버지이시므로 인간은 하나님의 뜻을 행해야 하고 그분의 말씀에 순종해야 한다.
이처럼 공관복음은 하나님의 주권, 긍휼, 영광을 일관되게 부각시킨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통치하시는 주권자이자, 구원 약속을 지키시는 긍휼의 하나님이시며, 인간이 하나님 나라를 발견할 때 하나님의 영광을 누리게 된다. 또한 하나님의 아버지 되심은 그분의 권위와 주권을 드러낸다. 이처럼 공관복음은 하나님 중심의 신학을 일관되게 전개한다."
2.1.2. 요한복음의 하나님의 아버지 되심과 사랑
요한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아버지 되심과 사랑은 신약신학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 요한은 예수님이 하나님의 독생자이며 아버지와 독특한 관계를 가지고 계신다는 것을 강조한다.
요한복음에서 하나님은 "아버지"로 자주 언급된다. 이는 하나님의 권위와 주권을 강조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주권자이신 아버지이시므로 인간은 하나님의 뜻을 행해야 하고 그가 말씀하시는 것에 순종해야 한다. 요한은 특히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아버지와 독특한 관계를 가지고 계신다는 것을 여러 번 강조한다. 예수님은 아버지의 뜻을 온전히 따르시며 아버지를 완벽하게 드러내신다.
또한 요한복음은 하나님의 사랑이 중심 주제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하나님은 세상을 구원하시기 위해 자신의 독생자를 보내셨다. 이는 하나님의 무한하신 사랑을 보여준다. 요한은 하나님의 사랑이 먼저이며, 인간의 사랑은 이에 대한 응답적 사랑이라고 설명한다. 하나님의 사랑은 그리스도를 통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났다.
그러나 요한복음은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뿐만 아니라 그의 공의와 심판도 강조한다. 요한은 실현된 종말론의 측면에서 불신자들은 이미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다고 강조한다. 종말적 심판이 있다는 것도 가르친다. 요한은 구원이 하나님의 사역이며 인간이 성취하거나 유효하게 할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래서 구원 받은 자는 모든 일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한다.
요약하면, 요한복음에서 하나님은 자신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자신을 드러내시는 아버지이시며, 세상을 향한 무한한 사랑을 가지고 계신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공의로운 심판자이기도 하다.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만 가능하며, 구원받은 자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한다는 것이 요한복음의 핵심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2.1.3. 사도행전의 구속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하나님
사도행전의 구속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 죽음, 그리고 부활을 통해 자신의 구원 계획을 성취하시는 주권적이고 선교적인 하나님이시다.
사도행전의 저자 누가는 하나님이 역사의 주관자이시며, 구원 약속의 성취를 향한 자신의 계획을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을 통해 점진적으로 드러내셨다고 강조한다. 즉,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성취하신 구원을 이방인들에게도 확장하시어 자신의 언약적 약속을 완성해 가는 분이시다.
구체적으로 사도행전에서 하나님은 역사의 주권자로 묘사되신다. 누가는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복음 전파의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시며, 선교의 과정을 이끌어 가신다고 설명한다. 또한 그는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를 향한 하나님의 구원 의지를 강조한다. 이방인들이 복음을 받아들이는 것도 ...